각 장은 교육학의 세부 전공으로서 전공 분야의 전반적 이론을 소개하는 교육학의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또한 학부 학생들이 교육학을 쉽게 이해하며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이론도 소개하였다. 각 장마다 7개 내외의 학습과제를 두었으며, 관심 있는 내용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참고문헌에 further reading 자료를 함께 제시하였다.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를 시작으로, 제2장은 교육의 역사적 기초, 제3장은 교육의 철학적 기초, 제4장은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5장은 교육의 사회적 기초를 설명하며, 제6장은 교육과정, 제7장은 교수.학습, 제8장은 교육평가, 제9장은 교육공학, 제10장은 생활지도와 상담, 제11장은 교육행정, 제12장은 평생학습과 평생교육, 그리고 제13장은 교사론을 다루고 있다.
저자 : 성태제
저자 성태제는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석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입학처장, 교무처장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저자 : 강대중
저자 강대중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박사
문화일보 기자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 정책보좌관
평생교육진흥원 국제협력팀장
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동아시아평생교육연구회 회장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Associate Editor
저자 : 강이철
저자 강이철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Syracuse University 철학박사
삼성인력개발원 컨설팅팀 과장
안동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겸임교수
경북대학교 교수학습센터 교수부장
저자 : 곽덕주
저자 곽덕주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철학박사
홍콩 시립대학교 전임 연구원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저자 : 김계현
저자 김계현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Oregon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한국상담학회 회장
한국가족치료학회 회장
서울가정법원 가사조정위원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서울경인지역 상담학회 회장
저자 : 김천기
전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Georgia State University 박사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 객원교수
국가고시위원(행정고시, 5급 승진시험 출제위원)
현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장
한국교육사회학회 편집위원
저자 : 김혜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Utah 박사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부학장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현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인적자원부 지방교육혁신평가 위원
저자 : 봉미미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남가주 대학교 대학원 박사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부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부교수
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저자 : 유재봉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영국 University of London 철학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자 : 이윤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철학박사
한국...(하략)
2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5
Chapter 01교육의 개념적 기초14
ㆍ교육의 어원과 비유 ● 16
1) 교육의 어원 / 162) 교육의 비유 / 20
ㆍ교육의 정의방식과 대표적 정의 ● 24
1) 교육의 정의방식 / 252) 교육의 대표적 정의 / 28
ㆍ교육의 목적과 교육학의 성격 ● 39
1) 교육의 목적 / 402)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42
Chapter 02교육의 역사적 기초50
ㆍ교육사 학습의 필요성 ● 52
1) 교육사 학습의 목적 / 522) 교육사 접근의 방법 / 54
ㆍ교육의 발생과 제도적 교육의 전개 ● 56
ㆍ서양교육의 역사적 전개 ● 58
1) 서양의 전통적 교육 / 582) 서양의 근대교육 / 67
ㆍ한국교육의 역사적 전개 ● 71
1) 한국의 전통적 교육 / 712) 한국의 근대교육 / 81
Chapter 03교육의 철학적 기초92
ㆍ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 ● 94
1) 교육철학의 역할과 과제 / 942) 교육철학의 방법 / 98
ㆍ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 104
1)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사조 / 1052)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사조 / 109
ㆍ현대 교육철학의 탐구주제 ● 115
1)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간의 논쟁 / 116
2) 도덕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 / 117
3) 공교육의 역할과 민주사회에서의 시민교육 / 118
4) 근대성, 합법성, 교육적 실천 간의 관계 / 120
Chapter 04교육의 심리적 기초124
ㆍ교육심리학의 성격 ● 126
ㆍ학습자의 특성 ● 126
1) 인간 발달 / 1262) 개인차와 학습 / 133
ㆍ학습의 원리 ● 138
1) 행동주의 / 1382) 인지주의 / 144
ㆍ교육심리학의 기능 ● 150
Chapter 05교육의 사회적 기초156
ㆍ교육의 사회적 기능 ● 158
1) 기능주의적 관점 / 158
2) 갈등론적 관점: 불평등 재생산이론 / 162
ㆍ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 165
1) 교육평등의 원리 / 1652) 교육평등과 교육정책 / 169
3) 한국의 교육불평등 / 171
ㆍ사회불평등과 교육 ● 174
1) 사회불평등에 대한 ...(하략)
2판 머리말
『최신 교육학개론』을 출간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5년마다 책을 개정해 주어야 책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다는 통설을 지키려 하기보다는 그간 이 책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불편함을 덜고 새로운 교육의 변화를 담으려고 개정하게 되었다.
이 책을 집필할 때 신진이셨던 분은 중년으로, 중년이던 분은 60세를 바라보게 되었다. 열세 분이 이 책을 집필하면서 교육학 이론뿐 아니라 교육현상 전반에 대한 허심탄회한 논의도 하고, 다른 전공 분야의 내용을 공유하며 친목을 다지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학기말에 모임을 하자고 약속했지만, 그 약속이 쉽게 지켜지지 않음은 집필 대표인 내게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다.
각 장에 따라 개정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내용이 많이 변하는 분야도 있을 것이고, 교육의 본질을 다루는 분야는 초판과 내용이 별로 변하지 않아 수정 내용이 없을 수 있다. 변화는 발전을 의미하고, 그 발전의 내용을 이 책이 담아야 토플러가 제3의 물결에서 ‘교육과 행정이 사회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있어 이 책의 저자들은 보이지 않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이 책은 꾸준히 수정되고 보완되기를 기대하며,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개론서의 역할을 다할 것을 기대한다.
존경하는 정범모 교수님께서 ‘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이고, 이런 사람들로 구성된 국가의 국격을 높여야 하며, 나아가 국혼을 갖게 하여야 한다.’고 하신 말씀을 인용한다. 교육을 하는 사람들은 이를 넘어서 인류애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마지막으로 개정판 인사를 마친다.
꾸준히 이 책을 관리해 주시고 개정판을 출간하게 해 주신 학지사 김진환 사장님과 직원분들께 감사드린다.
2012년 1월
집필인 대표 성태제
1판 머리말
교육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나라나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을 자처하는 나라도, 열악한 나라의 지도자들도 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항상 강조한다. 그러면서 교육은 변하고 새로워야 한다는 슬로건 아래 조약, 법안, 구호들을 쏟아 낸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대통령이 새로 부임할 때마다 새교육, 신교육 그리고 교육개혁, 교육혁신하면서 많은 교육정책을 내놓는다. 그래서 그런지 교육현장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육의 변화만을 주장하는 이런 단어에 무디어 있다.
교육이란 무엇인가? ‘가르치고 기르다.’라는 우리 어원에 비...(하략)
'[한신대학교 석박사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의 눈 EYE OF PHILOSOPHY (0) | 2017.03.29 |
---|---|
생물철학 (0) | 2017.03.29 |
실기교육방법의 이해 (0) | 2017.03.27 |
실기교사를 위한 교육학개론 (0) | 2017.03.27 |
마르틴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