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현대미술의 프랙탈적 현상이 아동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現代美術의 프랙탈적 現象이 兒童美術敎育에 미치는 影響 硏究

한신학 han theology 2018. 7. 10. 17:44

現代美術의 프랙탈적 現象이 兒童美術敎育에 미치는 影響 硏究

A Study of effect that fractal phenomenons of post-modern art get in child fine art education

저자
박용진
발행정보
서울교육대학교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제분야
예술체육 > 미술
키워드
미술교육
초록

20세기에서 21세기로의 전환은 새로운 질서가 광범위하게 이뤄진 패러다임의 전환이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담론이 형성된 시기로서 미술에 있어서 모더니즘이후의 새로운 이데오르기인 다원론을 바탕으로 한 시각문화로서의 현대미술을 형성하였으며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방법론으로서 인문과학에서의 해체와 자연과학에서의 프랙탈 및 카오스이론을 수용하였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도 전환된 패러다임을 수용 할 수 있는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의 방법론의 하나인 프랙탈적 시각으로 현대미술의 성격과 어린이 미술교육에서의 시사점들을 살펴보는 것은 그러한 변화를 창조하는 작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프랙탈의 의미는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세계관과 뉴튼의 물리학의 결정론, 유클리트의 기하학 등이 설명 할 수 없었던 세계의 수많은 불확실성을 이해하기 위한 새 패러다임에 의한 새로운 비유크리트 기하학으로 세계의 복잡한 계들을 하나의 유기체로 파악하며 무질서 속에 내재 된 질서를 찾는 방법으로 자연에 있어서 프랙탈의 속성은 자기유사성과 부분들과 전체의 상호간의 교류와 부분들이 전체의 중심들이 되는 형식과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서 현대미술에서의 적용은 탈 중심, 다 중심 현상과 연결되어 있으며 각자의 개성을 가진 고유의 성격으로 모여진 미술의 부분들이 독립적이고 독자적세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어린이미술, 여성미술, 원주민 미술 등이 서구중심의 미술의 주변이나 하위개념의 미술이 아닌 각각 동등한 가치와 중심으로 여기는 미시미학으로의 현대미술의 경향을 설명해준다. 프랙탈의 중첩, 복제, 부분들의 유사함, 나열, 불규칙성의 요소들은 현대미술과 어린이 미술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는 형태적 요소에서 의미적 요소로 전환되어지는데 반복에 의한 강조, 시간에서의 미래, 현재, 과거의 동시성, 자연의 순환성, 이라는 의미로 재해석되며 프랙탈의 의미를 단순히 형태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과 의미, 가치, 문화의 특성이라는 중심들의 배치와 관계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미술이란 미술이 삶의 이야기로서 미술이 되는 시대적 공간이 생산해내는 맥락의 복잡 다양한 관계를 함축한 담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각문화로서 미술이라고 할 수 있는, 그러한 현대미술을 파악하는 방법론의 프랙탈이 갖는 조형적 특징으로서 디지털 적 반복, 본제의 성격과 중심과 주변의 구분이 의미 없는 형식과 부분들이 합이 전체가 되는 소산구조의 내용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조형적 특징은 실험미술, 현대미술에서의 장르가 해체된 작품, 설치작품,이미지의 반복, 복제가 이뤄진 작품으로 나타났으며 이미지의 차용과 함께 퍼포먼스와 같은 음악이나 문학, 연극의 다른 영역과 결합된 미술로 나타나고 있으며, 장르가 해체된 작품의 경우 프랙탈의 자기유사성의 특성을 가진 각 장르간의 경계가 파괴되어 앗상블라주와 같은 조각 같은 회화, 회화 같은 조각의 등장과, 비디오아트와 같은 디지털영상과 오브제로서의 티비등이 결합한 새로운 유형의 미술이 등장되었으며 이러한 경향들은 아동 미술에 있어서도 더욱 다양화된 재료와 표현방법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어린이 미술에 있어서도 반영되어 어린이 미술에서도 그 전 보다 더욱 다양한 형식의 미술이 등장되어지고 있다. 또한 아동미술이 자연의 재현능력에 관련된 발달이론의 관심에서 아동의 미적체험, 성격, 경험 과 같은 내면의 요소에 의한 자유롭고 더욱 열리어진 자연의 재구성이라는 관심으로 전환되어지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미술의 프랙탈 현상은 어린이 미술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적용된 시각문화교육으로서 확대된 영역의 미술의 교육이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미술교육의 연구가 보다 다양하고 폭 넒은 시각과 실험적인 모색들을 통하여 더욱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방향으로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실험적인 모색들이 미술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들은 후속연구가 되어져야 될 과제로 남아있다.

The turning point of the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triggered the change in paradigm which established a new system and was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a branch of art named post-modernism was created, resulting in modern art based on pluralism, a new ideology. Moreover, as a methodology for the comprehension of modern art, it accepted the dissection from human biology, and fractals and chaos theory from natural science. Therefore, in art education, it is imperative that a change which could accept the altered paradigm takes place in art education, and perceiving the aspects of modern art and current event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fractals is helpful in boosting such a change. The meaning of fractals is a method that helps to seek order hidden in chaos and identify complex systems of the world as one organic matter, using new non-Euclid geometry which has been created by new paradigm to understand countless uncertainties in the world that Descartes' mechanistic world-view, Newton's determinism of physics, and Euclid's geometry could not explain. Microscopic aesthetic is linked with center phenomenon all and parts of art that is gathered by unique personality which have each character are independent and child art, woman art, native art etc. are surrounding of art of West Europe center as that form the individual world but explain tendency of post modern art of esthetics each equal value that art of subordinate concept is not and Watch of the Sheep that think as center. Though elements of fractals nesting, duplicate, kindredness of parts, array, irregularity are appearing naturally post- modern art and child art and are converted to element meaning enemy from element form new meaning department about it, emphasis by repeat, have to be understood by relation with arrangement of centers of contents and meaning, value, characteristic of culture not that is reinterpreted and grasp fractals meaning in form simply to, now, past simultaneity, circularity of nature, meaning that is the future in time. I can speak that is discourse that imply complexity various relation of veins that space has dissipative structure that art called post modern art tooth becomes art as story of life and can hear substance of form that repeat, personality of reproduction and balance and surrounding division are no meaning and parts are product structure that conjunction becomes whole digital as design create characteristic of fractals of methodology that grasp such post modem art that can speak that is art as sight culture and this design characteristic is appearing by art that is combined with music or literature such as performance, theatrical other area with borrowing of image was expose to experiment art, work that genre in post modem art is disjointed, establishment work, repeat of image, work that reproduction is achieved, and because the border between each genre that have special quality of fractals own similarity in case of work that genre is disjointed is broken, conversation such as piece such as assangblage, entrance on the stage of piece such as conversation and art of digital reflex and new type that T.V etc.. as object combine such as video art is these tendencies appeared are offering material and expression methods that is diversified more is in child art and are reflected is in child art and art of more various form is appeared.more than the ago in child art. Also, is acting role that child art is free by element of child' s aesthetic experience, personality, inside such as experience course in interest of development theory connected with reappearance ability of nature and is converted by interest of reconfiguration of nature that is opened more. Fractal phenomenon of post - modem art education of art of area that is magnified as sight culture education that new paradigm is applied is in child art education is required and research of art education is various and width previews that can be achieved for more affirmative and worth direction through sight and underground groupings and specific methodologies that such underground evening twilight dusks can be applied in art education remain to subject that must be become succession research.

목차
  • 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6
  • II 현대미술과 프랙탈 = 7
  • 1. 프랙탈의 의미 = 7
  • 가. 과학으로서의 프랙탈 = 7
  • 나. 현대미술에 적용된 프랙탈 = 12
  • 2. 작품 속의 프랙탈 = 20
  • III 어린이미술에 나타난 프랙탈 현상 = 30
  • 1. 어린이미술에 나타난 프랙탈 = 30
  • 가. 어린이 미술과 현대미술 = 30
  • 나. 어린이미술에 나타난 프랙탈 = 37
  • 2. 프랙탈현상과 미술교육 = 48
  • 가. 프랙탈현상이 아동미술에 미치는 영향 = 48
  • 나. 어린이미술교육에서의 시사점 = 50
  • IV 결론 = 58
  • 참고문헌 = 61
  • ABSTRACT = 64


'(NAMGUNGE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임 프랙탈 현상  (0) 2018.07.11
프랙탈의 연구  (0) 2018.07.11
물리학 호점 접는날  (0) 2018.07.10
동양학 [東洋學]  (0) 2018.07.09
[춘천]102보충대에 연대급 부대 들어선다  (0) 2018.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