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한산 이씨 (제천) [韓山李氏]

한신학 han theology 2017. 8. 16. 21:24

한산 이씨

[ ]
분야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성씨/성씨
지역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대조선/조선 후기
출처디지털제천문화대전-한산 이씨

정의

이윤경을 시조로 하고 이빈의 후손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제천시의 세거 성씨.

연원

한산 이씨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 서로 다른 두 혈족을 가리킨다. 이곡()의 5대조인 이윤경()을 시조로 하는 혈족이 호장공계() 한산 이씨이며, 이무()의 3대조로 이윤우()를 시조로 하는 혈족이 권지공계() 한산 이씨이다. 호장공계()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권지호장()에 오른 이윤경인데, 그는 한산 지방에 토착하여 세거해 온 호족()의 후예이다. 호장공계의 중시조는 목은() 이색()인데, 1362년 홍건적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한산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그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권지공계의 시조는 권지문하사사()를 지낸 이윤우이다. 그의 후손 이무가 충렬왕() 때 공을 세워 대호군()에 오르고 광정대부() 검교대장군()에 이르러 한주군()에 봉해진 이후로 그 후손들이 한산을 관향으로 삼았다. 한산 이씨는 조선조에 재상 4명, 대제학 4명, 청백리 5명, 공신 11명을 내었으며, 문과 급제자만 198명에 이른다. 청풍에는 선조() 때 이전에 이지번()[?~1575], 이지함()[1517~1578] 형제에 대한 설화가 있으나 재지 사족적 성격은 보이지 않는다.

입향 경위

한산 이씨는 목은 이색의 후손인 이공기()가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한계군()에 봉해졌으며, 아들인 이영남()도 한풍군()에 봉해졌다. 이영남의 아들인 이빈()계의 후손들이 제천 송학으로 들어와서 습봉()과 추증을 통해 족세를 유지하였다. 이빈의 아들 이두용()은 한천군()에 봉해졌다.

현황

1998년 마을지에 따르면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 등지에서 거주하였다. 최근에는 본관 성씨별 자료를 수집하지 않아 자세한 세대수는 알 수 없으며, 2000년 자료에 따르면 제천시에는 한산 이씨가 100가구 309명이 있었다.

관련 유적

현재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에 이공기의 부조묘()가 있으며, 한계영당()이라고 이름한다. 한계영당에는 37종의 고문서와 이공기의 초상화가 있었으며, 후손들이 2008년 제천시에 기증하였다.

참고문헌

  • 박인호 외, 『충청북도의 고서』-제천시편(충청북도·충북향토문화연구소, 2003)
  • 박인호, 『제천 관련 고문헌 해제집』(이회, 2005)
  • 박인호, 『제천 지역사 연구』(이회, 2005)
  • 『제천 한방의 역사와 이공기』(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8)

    [네이버 지식백과] 한산 이씨 [韓山李氏]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NAMGUNGE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억 라면  (0) 2017.08.17
한계군  (0) 2017.08.16
산업윤리  (0) 2017.08.15
초등 수학  (0) 2017.08.14
윤리와 사상  (0) 2017.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