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학교 석박사과정]

철학 박사(哲學 博士, Philosophiæ Doctor, Ph.D., PhD,)

한신학 han theology 2016. 9. 3. 16:18

철학 박사(哲學 博士, Philosophiæ Doctor, Ph.D., PhD,)는 대학교에서 주는 대학원 학위이다. 간단히 PhDPh.D.DPhilD.Phil로 줄여 말하기도 한다. 철학박사의 "철학"은 현대의 분과적 철학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모든 분야를 지칭하기 때문에 철학전공이 아닌한 구어에서는 철학박사로 부르지 않고 "박사"로 부른다[1]. 학위 수준은 박사학위(博士學位)에 준하며 국가, 교육 기관, 기간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다.

역사[편집]

"철학박사"가 여러분야 박사의 통칭으로 불리게 된 것은 독일의 대학에서 기인하는데 한국, 일본의 문리대, 영미권의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혹은 Faculty of Arts and Sciences에 해당하는 독일어가 Philosophische Fakultät이기 때문이다. 즉 중세대학의 4분야 중기초학문 분야인 Faculty of Arts에서 Arts[2]가 독일어로는 Philosophische인데 19세기 초 독일의 베를린 대학교에서 시작된 연구중심 대학으로의 개혁당시 오리지널 연구를 통해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여 박사학위를 받는 현대적 의미의 박사학위가 독일에서 시작되었고 그것이 영미권으로 전파되면서[3] Ph.D라는 영미식 표현이 보편화된 것이다[4].

일본과 한국[편집]

일본과 한국에서는 Ph.D.를 공식번역어로 사용하지만 자국내의 공식학위명으로는 "문학박사", "공학박사"등의 분과박사명을 사용한다. 그런데 "의학박사"도 Ph.D.로 번역하기 때문에 해외 교류시 MD와 개념적 혼란을 자주 일으킨다. 한국과 일본에서 공식적으로는 MD(미국에서 의대 졸업자에게 수여하는 전문직 학위)라는 학위를 인정하지 않지만[5] 번역어로는 MD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근래엔 미국에서 약대졸업자에게도 Pharm.D라는 전문직 학위를 주기 시작했는데 이것과 일본/한국식 "약학박사"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의학박사"나 "약학박사"는 개별 분과의 철학박사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동 일본과 한국에서는 Ph.D도 분과별로 나눠서 "문학박사", "공학박사"등으로 나누어 부른다
  2. 이동 현재 국내 대학에서도 문학사등의 인문사회계 학사학위명으로 Bachelor of Arts가 쓰이고 하버드등의 대학에서는 인문계 자연계 공히 모든 기초학문에 BA라는 학위명을 사용한다.
  3. 이동 “History of the Ph.D.”. Phdcourse.net. 2011년 2월 1일에 확인함.
  4. 이동 물론 영미권에도 고참 교수들에게 수여하던 종래의 학위(Master of Arts등)가 있었으나 독일에서 시작된 신식 박사가 유행하면서 새로운 종류의 박사학위가 정착됐다. 한편 독일에서는 철학박사를 Doktor라고 부르며 자연과학에 한해 Dr. rer. nat.라고 구별해서 부르고 있다.
  5. 이동 한국의 의대졸업자는 공식적으로 "의학사"즉 Bachelor of Science in Medicin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