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한신대학교 신학전공 교과목 내용

한신학 han theology 2017. 12. 28. 10:29
신학전공 교과목 내용
구약개론 (Intruduction to the O.T.)이스라엘역사 (History of Israel)
본 과목은 구약성서 형성과정과 구약 각 책에 대한 비평학적 연구와 각 책의 중심사상을 개관하는 기초 학과목이다.
구약성서가 갖고 있는 모범적 구원사(민족해방사)를 기술하고 있는 육경(Hexateuch)를 중심하여 히브리인의 사관과 역사신상, 초기 이스라엘에 관하여 연구한다.
히브리어 문법Ⅰ,Ⅱ (Elementary Hebrew Ⅰ,Ⅱ)구약원전(Hebrew Bible Reading and Grammar Review)
성서 히브리어의 기초문법을 공부하되 어근 식별법을 집중적으로 연습하여 사전 사용법을 익히게 하고 구약원전에 임하기 위한 예비과정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히브리어 문법을 복습하면서 구약원전을 사전에 의거하여 읽는 훈련을 하고 마소라 텍스트를 다른 사본과 대조하며 읽는다(히브리어 문법을 마친 학생만 수강가능하다).
구약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the O.T. Exegesis)구약신학(Theology of the O.T.)
주석학의 방법론을 연구하며 이것을 기초로 하여 구약성서 해석학의 과제를 습득한다.구약성서의 통일성의 문제와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을 다룬다.
예언서 연구(A Study of the Prophetic Books)구약의 시문학(Hebrew Poetry in O.T.)
문서 이전 예언자 엘리야로부터 시작하여 기원전 8세기 이래의 문서 예어자들의 예언활동과 그들의 전승해석을 신학적 컨텍스트에서 연구한다. 히브리 시문학(시편, 애가, 욥기, 제2이사야, 예레미야 등)속에 나타난 찬양,탄식,항변의 신학을 고난신학의 맥락에서 분석해 내는 학과목이다.
출애굽기 신학(Theology of Narrative in the Book of Exodus)창세기 신학(Theology of Genesis)
출애굽에 관한 집중적(주석적, 신학적)연구를 통하여 이스라엘 사가들의 역사신앙을 검토하고 민중신학과의 대화를 시도하는 학과목이다. 창세기에 관한 주석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창세기 설화자들의 설화문학 속에 담긴 설교 주제들을 발굴해 내는 학과목이다.
신약연구방법론(Methods of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ment)요한신학(Theology of John)
성서를 역사적, 문학적,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교회 현장에서(설교,성서연구)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한다. 신약성서의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요한의 문서들의 내용, 저술목적등을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각 문서들이 전하고자 하는 신학적 의미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그리스어 문법Ⅰ,Ⅱ (N.T. Greek Ⅰ,Ⅱ)신약개론(Introduction to the N.T.)
신약원전의 독습과 신약주석을 위한 기초 그리스어 문법과 구문론을 학습한다.신약학의 기초과목으로서 신약성서의 형성과정, 각 문서의 내용, 저자, 저작장소와 연대, 저술목적등 신약성서의 각 문서에 대한 개론적인 연구를 한다.
신약원전 (Greek Bible Reading and Grammer Review)역사적 예수 연구(Historical Jesus)
그리스어 문법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신약성서의 원전을 독습하며 주요 낱말의 분석과 신학적 의미를 탐구한다.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와의 관계, 20세기초까지의 예수 생애 연구사, 1950년 이후의 새로운 예수연구방법 등을 소개하고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역사적 예수를 연구한다.
복음서신학(The Gospels and Theology)바울신학(The Pauline Theology)
공관복음서를 근거하여 주로 예수의 활동과 가르침에 대해서 연구하고 문학비평, 편집비평, 양식비평 등의 방법으로 각 복음서간의 차이, 신학적 특징, 구전관계의 사회적 사정 등을 밝힌다. 바울의 생애와 선교활동, 그의 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다룬다.
칼빈신학(Theology of John Calvin)신학입문 (Introduction to Theology)
개혁과 교회전통의 기초를 수립한 16세기 종교개혁자 죤 칼빈의 생애, 사상, 그의 신학사상의 창조적 요소들을 연구하며, 한국 장로교회의 부리를 연구한다. 그의 ‘기독교강요(Institute)’내용을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신학의 학문적 과제, 신학하는 자세, 신학의 각 분야별 특성과 신학의 규범으로서의 성서의 위치, 간략한 교회사를 소개한다. 이 과정은 신학전반에 대한 입문적 신학개론이다.
교의학개론(Introduction to the Dogmatics)기독교와 세계종교(Christianity and the World Religions)
교의학의 중심사상들을 방법론적으로 취급하여 기독교사상의 역사적인 근거를 추구하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를 오늘의 상황에서 이해한다. 힌두교, 불교, 유교, 도교 등 동양종교의 개관을 다루고 종교다원화 사회에서 기독교 선교문제를 연구한다.
현대신학(Modern Theology)성령론과 교회론(Pneumatology and Ecclesiology)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에서 몰트만(Moltmann)에 이르기까지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신학과 역사를 다룬다. 교회론의 성령론적 바탕을 취급하며 동시에 성령론의 핵심 내용을 취급한다.
문화신학(Theology of Culture)여성과 종교(Women and Religion)
폴,틸리히의 문화신학을 중심으로 다룬다. 현대문화의 상황과 기독교 메시지를 상관시킨다. 아시아 종교문화와 기독교의 만남을 아시아 신학도의 입장에서 비교 연구한다. 단순히 각 종교의 여성관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 세계종교들에 있어서 여성들의 역할, 행위, 여성들에 대한 각 종교들의 견해를 오늘의 여성해방이론, 운동들과 관련하여 탐구하며 특히 여성신학의 관점에서 탐구 검토한다.
여성신학(Feminist Theology)해석학과 현대신학(Hermeneutics and Theology)
현대 기독교운동과 교회운동에서 점증하고 있는 여성신학의 문제를 이론과 실제의 양면에서 심층적으로 다룬다. 20세기 인문과학 그의 꽃이라 할 수 있는 해석학의 발달전사를 슈라이에르마하로부터 가다머까지 개관하고, 해석학이 신학학문함에 있어서 가지는 의미, 특히 성서해석학, 계시론, 선교학 등에 미치는 의미를 깊이 연구한다.
자연과학과 창조신학(Natual Science Theology of Creation)기독교윤리개론(Introduction to Christian Ethics)
20-21세기에 중요한 주제로서 떠오른 생태계의 위험에 직면하여, 성서적 세계관을 조명한다. 창조설화의 의미, 창조와 보존 그리고 새로운 창조, 자연의 신학, 창조안에서 인간의 위치, 생명의 영으로서의 성령론 등을 다룬다. 또한 자연과학과의 관계에서 조명해 본다. 기독교윤리란 그리스도인의 선하고 정의로운 삶에 대한 반성적 숙고이다. 이 과목은 윤리학의 일반적 이해와 기독교윤리의 중요한 원리 및 방법론과 주제들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문제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가치관 및 사회적 책임을 밝히고자 한다.
신학윤리(Theological Ethics)종교와 이념(Religion and Ideology)
기독교 윤리학의 성서적,신학적 토대와 방법론의 유형들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고 윤리적 이슈들을 주제별로 탐구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속에서 기독교 윤리의 정체성과 의미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과 실천을 지향한다. 역사속에서 전개되어 온 종교와 이념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래의 교회를 이끌어 갈 신학도들에게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관점과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서양교회사 Ⅰ,Ⅱ(A History of Christianity Ⅰ,Ⅱ)기독교 사상사(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이 강좌는 학생으로 하여금 서양기독교의 역사를 초대교회로부터 중세교회에 이르기까지 탐구, 학습함을 통하여 현재의 교회를 보다 잘 이해하게 하며 과거 역사를 거울삼아서 교회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가를 스스로 사고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강좌는 삼위일체론, 그리스도론, 죄와 은총론, 교회론, 성서전론등의 형성, 발전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은 기독교사상들이 생성된 배경, 과정을 알게됨으로써 기독교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한국교회사(History of the Korean Churches)아시아교회사(History of the Asian Christianity)
이 강좌는 한국 민족의 근.현대사 속에서 수용된 복음의 전개와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교회형성과 선교정책, 그리고 토착화 신학등의 주요문제들을 논구하여 21세기 한국교회의 선교적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강좌는 그동안 기독교 역사연구에서 제외되었던 시리아, 중국, 인도등의 아시아 기독교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세계기독교사에 대한 이해의 지평확대와 함께 에큐메니칼한 역사방법론을 배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교신학개론(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Ministry)현대선교학(Theology of Missions)
선교의 개념, 성서적 근거, 선교의 역사 및 선교학과 선교신학의 유형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과목이다. 선교학은 신학의 역사에서 비교적 젊은 학문영역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학문의 영역을 넘나들면서 신학적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학문영역으로, 현대 선교학의 역사와 주제들을 중심으로 전개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선교의 성서적 전거, 선교의 역사,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등 현대선교학의 중심 주제들을 배우게 될 것이다.
설교와 커뮤니케이션(Homiletics and communication)예배와 설교(Worship and Homiletics)
설교는 교역자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특히 말씀 선포 중심의 예배를 발전시킨 개신교 전통에서 설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시대별로 설교가 어떻게 발전했으며 설교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배우고, 학생 스스로 설교를 준비하여 실연하는 경험도 나누는 과정이다. 그리스도교 예배의 원형과 역사적 발전과정, 예전의 발달과 교파별 차이를 익힌다. 특히 장로교 전통의 예배와 예전을 다양하게 경험함으로써 예배와 예전을 스스로 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교역학개론(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Ministry)목회와 상담(Pastoral Counseling)
신학연구는 교역실천을 전제로 한다. 교역의 역사적 발전과 신학적 이론을 연구하고, 그 실천(praxis)을 위한 방향정립을 이 교과목의 내용으로 한다. 기독교 전통의 목회학과 최근 발전되어 오고 있는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교회음악Ⅰ.Ⅱ(Church MusicⅠ,Ⅱ)목회실습Ⅰ,Ⅱ,Ⅲ,Ⅳ (Practice of MinistryⅠ,Ⅱ,Ⅲ,Ⅳ)
예배와 교회음악의 관계, 교회음악의 역사, 찬송가 익히기, 성가대 지휘등의 실제등을 배워 교회음악의 기본소양을 넓히기 위한 과정이다. 3학년 1학기부터 4학기에 걸쳐 봉사하는 교회현장에서 목회실습 경험을 쌓는 필수과정이다. 목사후보생으로 등록한 학생들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과목이다.
신학영어 Ⅰ,Ⅱ (Introduction to English Theological ReadingⅠ,Ⅱ)영신학 Ⅰ,Ⅱ (Reading Theology in EnglishⅠ,Ⅱ)
영어로 쓰여진 신학서들을 읽고 해석하는 초급과정이다. 신학영어과정을 이수하고 들어가는 중급과정이다. 신학의 각 전공영역에서 대표적인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독해와 번역능력을 기르는 과정이다.
신학독어 Ⅰ,Ⅱ (Introduction to German Theological ReadingⅠ,Ⅱ)독신학 Ⅰ,Ⅱ (Reading Theplogy in GermanⅠ,Ⅱ)
독일어문법을 익힌 후, 독일어 신학 개념들에 접근하기 위한 입문과정이다. 쉬운 독일어 신학 텍스트의 문법구조를 분석하고 해석하면서 동시에 신학적 개념들을 배울 수 있다. 독일어로 쓰여진 신학텍스트들을 신학사에서 의미 있는 획을 그은 명문중심으로 각 신학의 학문영역을 포괄하는 텍스트를 모아 읽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길러 대학원 독일어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종교학개론(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Relogion)종교심리학(Psychology of Religions)


'(NAMGUNGE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0) 2017.12.28
몰트만 자서전  (0) 2017.12.28
한신대학교 신학과 교육과정   (0) 2017.12.28
블로그 비즈니스  (0) 2017.12.27
블로그 판매  (0) 201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