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및 영상 시나리오론(Research on the Cultural Studies) | 드라마의 일반 이론 습득과 영상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형식에 대해 비교 탐구한다. 공연예술, 영화, TV드라마 등의 형성원리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터득한다. |
---|
세계의 문화와 신화(World Culture and Myth) |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와 신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보편성을 확보하여 글로벌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제작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또한 인류공통의 정신적, 문화적 자산을 발굴하여 창작의 원천소스로 삼는 능력을 함양한다. |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 스토리가 배제된 탁월한 문화콘텐츠는 없다. 공연/공간 콘텐츠, 영상 콘텐츠 등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법을 탐구하고, 그것에 내재된 원리를 습득하여 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데 토대로 삼는 능력을 함양한다. |
---|
현대명작강독(Reading Modern Texts) | OSMU 가능성이 있는 현대의 명작을 분석하여 그것에 내재된 동시대의 문화 환경과 인간의 욕망을 파악한다. 아울러 다양한 장르로의 전이를 기획하여 콘텐츠 소스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
문화연구(Research on the Cultural Studies) | 동시대인들의 문화욕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울러 문화욕구의 심층적 내면을 파악하여 문화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
---|
매체론(Theories of Media) | 영상, 공간, 방송, 인쇄, 디지털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 매체에 대한 원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각 매체의 발전과정과 특성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 매체의 문화적 영향력과 그 의미를 연구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매체와 수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연구한다. |
---|
예술사회학(Sociology of the Arts) | 예술과 사회의 연관성 및 상호 작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예술의 범주와 정의에 대한 연구 및 예술이 어떻게 형성되고 소비되는지를 이해하고, 예술의 산업화를 탐색한다. |
---|
문화콘텐츠 산업론(Theorie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 문화콘텐츠 상품의 의의와 중요성 및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생성, 유통 및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
---|
문화콘텐츠 정책론(Theories of Cultural Contents Policy) | 문화정책의 성립 배경 및 정책 이론을 숙지한다. 또한 국내의 문화정책을 정밀 분석함으로써 국내 문화정책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한다. |
---|
콘텐츠저작권(Copyright of Contents) | 문화콘텐츠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강화하고 투명한 유통질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매체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다양한 실제 사례를 통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해 이해를 습득한다. |
---|
문화마케팅론(Introduction to the Culture Marketing) | 문화콘텐츠라는 상품에 대한 마케팅 방법과 그 과정을 연구한다. 다양한 문화콘텐츠 상품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방식을 연구하여 문화콘텐츠의 효율적이고도 바람직한 유통 경로를 모색한다. |
---|
스토리텔링연구(A Study of storytelling) | CT의핵심이라고일컬어지는스토리텔링에대한개념을이해하고스토리텔링이라는용어가실제현장에서어떠한기능과범주로사용되는지를알아본다.이를위해드라마,영화,뮤지컬,공간등매체별장르별스토리텔링사례를조사분석하고실제자료접근 및콘텐츠화과정을실습,결과물을만들도록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