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대학원]

한의과대학 한의예과

한신학 han theology 2016. 4. 17. 20:17
HOME > 교육과정 > 전공과목해설

전공과목해설

OPC 101, 102 한의학개론Ⅰ․Ⅱ Introduction to Korean MedicineⅠㆍⅡ
한의학의 개괄적 지식을 습득케 함으로서 한의학의 본질을 이해한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Oriental Medicine through learning the basic knowledge of the subject.

OPC 103, 105 한의학한문ⅠㆍⅡ Chinese Literature of Oriental medicine ⅠㆍⅡ (‘08)
한의학에 상용되는 전공의 기초적 개념과 용어들을 습득함에 있어 바탕이 되는 한자 지식의 배양함을 목적을 두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의학 한문 이해의 폭을 넓힘과 동시에 한의학의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자 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acquire bas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which is the foundation of oriental medicine. Based on this, we can deepen understanding for oriental Medicine and chinese character.

OPC 201, 210 중국어강독ⅢㆍⅣ Readings in ChineseⅢㆍⅣ (‘08)
초급 중국어 발음 및 문법을 계속해서 익히면서, 한편 중의학의 전문용어를 숙달하고 중의학 지식과 문화를 습득함으로써, 중의 중국어 구어 및 독해 능력을 배양한다.
Learning basic Chinese prounciation and grammar, students master Chinese medicine terminology and by acquiring Chinese medicine knowledge and culture, students develop capability of Chinese reading as well as speaking.

OPC 202, 211 의고문ⅠㆍⅡ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ⅠㆍⅡ
한의학의 원전을 해독하기 위한 기본적 한문 실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기 위한 한문문법과 중국고전문화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We should aim to understand about grammar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al culture for translating oriental medicine classics.

OPC 203 약용식물학 Pharmaceutical Botany
자원식물 중에서 특히 사람의 질병 치료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물에 대해 연구한다.
This course helps students to study resource plant, specially with the object of treat disease.

OPC 204, 213 발생학ⅠㆍⅡ EmbryologyⅠㆍⅡ
인체의 기관발생과정을 외?중?내배엽 순으로 발생조직적인 측면에서 연구하고 한의학과 관련하여 신경, 피부, 뇨, 생식, 소화, 호흡, 골근 및 순환계의 발생에 미치는 화학조성, 삼투압, 점도, 장력, 세포질, 핵산 등의 유전기작을 중심한 발생기능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생물학적인 기초학리를 연구하게 한다.
This course helps students to study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human body organs, from the view of developmental and organized, such as ectoderm? mesoderm?endoderm and, with regard to Oriental medicine, by analyzing problem of function resulting from chemical composition, osmetic pressure, viscosity, tensile, cellular, nucleic acids, students study biological priciple such as nerve, skin, urination, reproduction, digestion, respiration, skeleton, and circulation.

OPC 205, 214 의학영어ⅠㆍⅡ Medical EnglishⅠㆍⅡ
의학도로서 갖추어야 할 영어지식과 원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This course will provide the health-related English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oriental medicine classic.영문해설

OPC 206, 215 동양철학사ⅠㆍⅡ History of Oriental PhilosophyⅠㆍⅡ
동양철학사상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통하여 동양의 한문화권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설정된 한의학 학설의 기초지식을 함양하게 한다.
By understanding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Korean culture in the Orient through the historical changing process of oriental philosophy, the basic knowledges of Korean medical theories established on it can be promoted.

OPC 207, 216 해부학및실습ⅠㆍⅡ Anatomy and LabⅠㆍⅡ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들을 기능별로 묶어서 관찰하는 계통해부학과 각 부위별로 관찰하는 국소해부학으로 나누어서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systematic anatomy, observing organs consisting of human body, and topographic anatomy, observing by each part.

OPC 208, 217 조직학및실습ⅠㆍⅡ Histology and LabⅠㆍⅡ
인체를 이루는 각 기관의 정상적인 기본조직과 구조를 학습하며 이들 각 기관이 어떤 기전에 의해서 상호관련이 되어 있나를 연구하여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study human body that make up the basic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each organ and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clinical by studying the mechanism, how the organs are correalted.

OPC 209, 218 생화학및실습ⅠㆍⅡ Biochemistry and LabⅠㆍⅡ
생화학은 생명의 기본 단위인 세포에서 일어나는 생체분자의 반응 및 조절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및 핵산의 기능과 대사를 학습함으로써 생명현상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
Biochemistry is a science that studies the reactions and regulatory processes of biomolecules within the cells, a unit of life. By studying the function and metabolism of proteins, carbohydrates, lipids, and nucleic acids,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 of life phenomenon.

OPC 212 임상본초학Ⅰ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al HerbologyⅠ
본초학의 발달과정과 임상의가 한약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여러 가지 가공 기술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to study Herbology's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ed to clinical medicine, clinicians to perform many of the processing technology.

ORI 101, 108 한의임상생리학및실습ⅠㆍⅡ Clinical Physiology of Oriental Medicine and LabⅠㆍⅡ
음양, 오행, 육기론에 근거하여 장부경락의 기능과 상호 관계를 분류?분석함으로써 생명현상의 본질을 임상과 연계하여 인식하게 함으로써 임상의 선행 지식을 함양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functions and dynamic interaction of Jang-Bu(藏腑)· Meridian(經絡) based on the theory of Yin-yang,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and six Qi of nature, and build up their clinical prior knowledge.

ORI 102 임상본초학Ⅱ Clinical Medicinal HerbologyⅡ
임상의가 급성상기도감염증과 발열 증상, 배변장애에 사용하는 한약물의 기원 및 형태와 성미, 효능, 주치, 배합 등을 임상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study how the clinician using medical herbs such as acute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fever, and evacuation disorders, applying origin, shape, chracter, flavor, effect, chief virtue, as well as combination of medical herb to clinical treatment.

ORI 103, 110 양방인체생리학및실습ⅠㆍⅡ Human Physiology and LabⅠㆍⅡ
임상의가 급성상기도감염증과 발열 증상, 배변장애에 사용하는 한약물의 기원 및 형태와 성미, 효능, 주치, 배합 등을 임상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study how the clinician using medical herbs such as acute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fever, and evacuation disorders, applying origin, shape, chracter, flavor, effect, chief virtue, as well as combination of medical herb to clinical treatment.

ORI 104, 111 원전및세미나ⅠㆍⅡ Yellow Empero's Canon Internal Medicine & SeminarⅠㆍⅡ
한의학의 최고이론서인 황제내경을 교재로 하여 원문의 동양의학 원전의 독해력을 기르고, 이를 바탕으로 한의학 이론을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This course improves reading skills for oriental medicine classics through 『Yellow Empero's Canon Internal Medicine』. Based on this, we will acquire clinical skills produced from the theory.

ORI 105, 112 임상약리학및실습ⅠㆍⅡ Clinical Pharmacology and LabⅠㆍⅡ
임상증례를 이용하여 약물 작용의 원리를 인체생리학, 생화학 및 병리학의 기반으로 이해하며, 약물작용을 분자표적수준에서 환자수준까지 통합하여 연구한다.
This course, using clinical case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drug action from the melecular-targeted level to patient-level integrated in the framework of human physiology, biochemistry and pathophysiology.

ORI 106, 113 예방의학및실습ⅠㆍⅡ Preventive Medicine and PracticeⅠㆍⅡ
질병을 예방하는 학문으로 정신관리와 육체의 섭생방법, 음식관리 등을 연구한다.
The academic of preventing disease and health care, then study mental management, physical regimen and food management.

ORI 107, 114 의사학ⅠㆍⅡ History of Oriental MedicineⅠㆍⅡ
동양의학의 역사를 배움으로써 각 시대의학 및 의가를 통해 현대의 의학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 의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By studying the history of Oriental medicine, we understand today's medical condition objectively.
Based on this, we will provide future direction of clinical medicine.

ORI 109 임상본초학및실습Ⅰ Clinical Herbology and LaboratoryⅠ
임상의가 관절질환, 소화기질환, 빈혈질환, 만성호흡기질환, 정신신경계질환, 소모성질환, 성장장애, 허약증, 수액대사이상에 사용하는 한약물의 기원 및 형태와 성미, 효능, 주치, 배합 및 금기사항 등을 임상 의료에 적용,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apply origin, shape, character, flavor, effect, chief virtue, combination, as well as taboo subject of medical herb to clinical medicine, clinician using joint , digestive, anemia, chronic respiratory, mental nervous, wasting disease, growth failure, weakened condition, dysbolism.

ORI 115 면역학 Immunology
면역학은 면역계를 연구하는 의생물 과학이다. 강의에서는 면역세포와 림프조직의 발생 및 기능, 체액성 면역과 세포매개성 면역의 특성과 조절기전을 학습한다. 또한, 면역계의 의학적 적용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Immunology is a biomedical science that studies the immune system. The lecture will cover the development and function of immune cells and lymphoid organ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The medical applications of immune systems will also be lectured.

ORI 201, 209 한의병리학및실습ⅠㆍⅡ Oriental Pathology and LabⅠㆍⅡ
한의학의 기본 이론체계를 근간으로 연구목표를 설정하여, 인체의 다양한 기준을 기, 혈, 한, 열 등의 병리적 가치관으로 분류 종합하면서, 내외병인에 의해 유발되는 병증의 규율을 체계화시킴으로써 임상적 효용성과 응용이 가능하도록 그 교량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mplex nature of human body and numerous diseases are understoo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theories such as essential Qi, Yin-yang, heat-cold and so on. Patterns and syndromes of diseases , which are caused by internal and external pathogens, are taught to students in preparation for clinical practice.

ORI 202, 210 한의진단학 및 실습ⅠㆍⅡ Diagnostics of Korean Medicine and LaboratoryⅠㆍⅡ
한의학적 기본이론에 따라 병정을 파악하고 병증을 분별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하여 한의학적 진단체계인 망?문?문?절의 네가지 진단법과 변증체계(증상증후변별)등을 학습한다.
Diagnosis in Korean Medicine is a general judgement about diseasea and syndromes as well as state of health of the human body by collecting and analysing clinical materials on the basis of its diagnostic methods. Diagnostics of Korean Medicine is a discipline to study the basic theories, methods and techniques of diagnosis in Korean Medicine. The diagnostic methods of Korean Medicine include mainly the four techniques of diagnosis, namely, interrogation, inspection, auscultation and olfaction, pulse-feeling and palp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yndromrs.

ORI 203, 211 양방병리학ⅠㆍⅡ PathologyⅠㆍⅡ
병적상태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병적현상을 규명하는 방법을 강의와 실습을 통해 확인한다.
This lecture instructs the pathogenesis and diagnostication method of diseases through lecture and practice.

ORI 204, 212 방제학및실습ⅠㆍⅡ Herbal Prescription and LaboratoryⅠㆍⅡ
본초 및 약리학적 지식을 기초로 기존 방제의 내용, 구성원리 및 임상에서의 처방 방법 등을 학습한다.
On the basis of herbology and pharmacology, this lecture instructs the details, organization theory and the directions in clinic of various herbal formulas.

ORI 205, 213 경혈학및실습ⅠㆍⅡ Meridian & acupoints and LaboratoryⅠㆍⅡ
십이정경, 경외기혈, 신혈, 경혈 등의 취혈상 실제를 습득시키고 타경맥과의 비교 취혈법을 실습하고 특이 반응 경혈을 기본 경맥의 경혈과 비교하고 정확한 위치판단 실습에 중점을 둔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acquire practical acupuncture point of 12 original meridian(regular channels) and odd meridian(8 extra meridians) etc., and practice method of acupoint comparison, placing emphasis on comapring specific reaction with fundamental reaction as well as positioning exact location.

ORI 206, 214 상한론ⅠㆍⅡ Classical Literature: Sang Han TheoryⅠㆍⅡ
병적상태를 크게 육경으로 분류하여 그 원인 증상 및 치료법을 연구한다.
Pathological states of human are principally classified into six courses, and the causes, symtoms, and treatments are studied accordingly.

ORI 207 양방진단학 Diagnostics of Western Medicine
질병 발생 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을 병력, 이학적 진단법, 실험실적 검사법과 문진 등을 통하여 진단하는 능력을 기른다.
n this course, students develop ability to diagnose, when disease appeared with several symptoms, history, physical diagnosis, laboratory test method and medical examination.

ORI 208 임상본초학및실습Ⅱ Clinical Herbology and LaboratoryⅡ
임상의가 기생충감염증, 혈액의 이상질환, 피부질환, 비뇨기질환 등에 사용하는 한약물의 기원 및 형태와 성미, 효능, 주치, 배합 및 금기사항 등을 임상 의료에 적용,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apply the origin, shape, character, flavor, effect, chief virtue, combination as well as taboo subject to clinical medicine, clinician using for parasite infections, blood disorders, skin, urinary disease.

ORI 223 임상총론Ⅰ General Principle of Clinical Korean MedicineⅠ
간담도 소화기질환, 조혈계통질환, 췌장복막질환 및 비뇨·생식기질환의 임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는 내과 과목이다.
This course will introduce internal medicine that understands the disease of hepatobiliary, gastrointestinal, hematopoietic, pancreatic and urogenital system.

ORI 224 임상총론Ⅱ General Principle of Clinical Korean MedicineⅡ
심혈관계질환, 호흡기계질환, 중추신경계인성질환 및 심인성질환에 대한 임상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과목이다.
This course give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sychogenic disease and the disease of cardiovascular, respiratory and central nervous system.

ORI 225 임상총론Ⅲ General Principle of Clinical Korean MedicineⅢ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십이정경 및 기경팔맥의 경혈과 경외기혈, 천응혈, 신침혈등의 혈위와 취혈법, 주치증에 대한 연구및 한의학기초이론과 현대의학의 이화학적,물리적인 이론을 치료학적인 측면에서 개발연구하는 과목이다. 또한 눈, 귀, 코, 인두, 후두 등의 해부학적인 구조와 기능을 한의학적인 개념인 오관과 비교분석 하는 과목이다.
This is a course that helps students to study the acupuncture methods and treatment of acupuncture points of twelve main meridians and eight extra meridians, extraordinary acupuncture points and ashi points, etc. This course also helps students to research and develop the basic theory of Korean medicine and the physicochemical and physical theories of modern medicine. And this course will explore the anatomical structures and functions of eyes, ears, nose, throat and larynx, while making comparative analyses for the five senses from an Korean medical concept.

ORI 226 임상총론Ⅳ General Principle of Clinical Korean MedicineⅣ
변증논치 체계에 따라 여성의 성기 및 이와관련된 생리, 병리의 영역에 속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소아특유의 생리, 병리연구와 올바른 섭생과 양생법을 연구 검토하는 과정을 배우는 과목이다.
동의수세보원을 중심으로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체질 분류를 통한 임상교육에 대한 원인 증상에 대한 학습하는 과목이다.
This course will study treatment methods for diseases, physiology and pathology of the women’s reproductive organs. This course also gives an opportunity to study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unique to children, while researching and reviewing proper hygiene and regimen. And this course helps students to learn the basic theories of constitutional medicine, and to study the cause symptoms of clinical education for constitutional categories

ORI 301, 317 피부외과학ⅠㆍⅡ Oriental DermatologyⅠㆍⅡ
외과, 피부과의 한방적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를 연구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knowledge of various dermatological diseases as well as tumors found in tissue or organs.
Based on the principles of Oriental Medicine, this course will enable students to become professional clinicians in this area.

ORI 302, 318 간계내과ⅡㆍⅢ Internal Medicine of Liver SystemⅡㆍⅢ
肝과 膽의 병증과 혈병증에 대한 증후의 원인과 병리 진단 치법과 응용 처방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간담도 소화기 질환과 조혈계통 질환의 임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는 내과 과목이다.
Internal Medicine of Liver System is the subject that require reasonable understanding of hepatobiliary digestive and hematopoietic system disease, through understanding the cause of symptom and diagnostic treatment method to liver, gall bladder and spleen etc.(liver of Oriental Medicine)

ORI 303, 319 심계내과ⅡㆍⅢ Internal Medicine of Heart SystemⅡㆍⅢ
심장 및 혈관계와 이에 수반되는 질환을 다룬다.
This course range over heart and vascular disease as well accompanying disease.

ORI 304, 320 비계내과ⅡㆍⅢ Internal Medicine of Spleen SystemⅡㆍⅢ
脾 胃 小腸 大腸 병증에 대한 증후의 원인과 병리 진단 치법과 응용 처방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소화관 질환과 췌장 복막 질환의 임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는 내과 과목이다.
Internal medicine for understanding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pancreatic disease and peritoneal disease, through study for path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escription of 脾, 胃, 小腸, 大腸(oriental concept of digestive tract) symptoms.

ORI 305, 321 폐계내과ⅡㆍⅢ Internal Medicine of Lung SystemⅡㆍⅢ
폐 및 호흡기계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동의 내과학의 일부분이다.
As a par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this lecture focuses mainly on lung and respiratory diseases.

ORI 306, 322 신계내과ⅡㆍⅢ Internal Medicine of Kidney SystemⅡㆍⅢ
비뇨기 및 생식기계 질환을 대상으로 하며 동의학적인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와 예방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aims at urinary as well as reproductive system disease, targeting Oriental medical cause, symptom, diagnosis, treatment, and a method of prevention.

ORI 307, 323 부인과학ⅡㆍⅢ Oriental GynecologyⅡㆍⅢ
부인과학은 변증논치 체계에 의해 여성의 성기 및 이와 관련된 생리, 병리와 그 영역에 속하는 질병의 치료방법을 연구한다.
Based on the concep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course will lead to understand physiology and pathology of the female genital organs, and also to learn clinical skills for gynecologic conditions.

ORI 308, 324 소아과학ⅡㆍⅢ Oriental PediatricsⅡㆍⅢ
한의학적 원리를 기초로 하여 소아청소년 특유의 생리병리를 배우는 동시에 소아질환의 진단치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연구한다.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is a course to learn the right caring regimen and physiopathology of children and juveniles and to study various methods to treat pediatric diseases on basis of Korean Medicine.

ORI 309, 325 신경정신과학ⅠㆍⅡ Oriental NeuropsychiatryⅠㆍⅡ
중추신경계인성 질환 및 심인성 질환에 대한 서양의학과 임상심리적 접근을 통해 신경정신과 질환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적 측면을 임상적으로 연구 활용한다.
In this course, through Western medicine and clinical neuropsychiatric access to central nervous system as well as cardiac disease, student study cause, symptom, diagnosis, and treatment for clinical research applying.

ORI 310, 326 안이비인후과ⅠㆍⅡ Oriental OtorhinolaryngologyⅠㆍⅡ
안, 이, 비, 인두와 후두의 해부학적인 구조와 기능을 논하고 한의학적인 개념으로서의 오관을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This course is to study the structure, physiology, and pathology concerning this Ophthal &Otorhinolaryngology with the basis of Oriental Medicine. 
Allowing a student to grow a perspective, that is based on the concept of Oriental medicine, this course would aim to help students achieve a successful clinical practice in this area.

ORI 311, 327 한방재활의학과ⅠㆍⅡ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ⅠㆍⅡ
한의학의 기초이론과 현대의학의 이화학적, 물리학적인 이론을 치료학적인 측면에서 개발 연구한다.
Basic concept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 of human body is investigated. Clinical aspect of therapeutic modalities for rehabilitation will also be studied.

ORI 312, 328 진단검사의학ⅠㆍⅡ Laboratory MedicineⅠㆍⅡ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생물학적 이화학적 검사방법을 이해하고 주로 혈액학, 임상생화학, 세균학, 면역학, 기생충학 및 병리진단학을 강의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comprehend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tes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 mainly hematology, clinical biochemistry, bacteriology, immunology, parasitology as well as pathology diagnostics.

ORI 313, 329 침구과학ⅡㆍⅢ Acupuncture and MoxibustionⅡㆍⅢ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십이정경 및 기경팔맥의 경혈과 경외기혈, 천응혈, 신침혈 등의 부위, 취혈법, 주치증 등에 관해 연구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 study acupoint, acupuncture method, and taking charge of a case considering 12 original meridian(regular channels) as well as odd meridian(8 extra meridians) etc.

ORI 314, 330 영상의학ⅠㆍⅡ Clinical Imaging ⅠㆍⅡ
첨단 영상진단기기의 활용을 통하여 한의학적 진단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부가하며, 이에 따른 질병의 치료방법을 강의하여 실제 임상응용의 효용을 제고한다.
By utilizing of imaging diagnosis equipment, it adds accuracy and objectivity of Oriental diagnosis, accordingly, students study treatment of disease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clinical application.

ORI 315, 331 상한론ⅢㆍⅣ Classical Literature: Sang Han TheoryⅢㆍⅣ
병적상태를 크게 육경으로 분류하여 그 원인 증상 및 치료법을 연구한다.
Pathological states of human by external pathogens are principally classified into six courses. The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s are studied accordingly.

ORI 316, 332 사상체질의학ⅠㆍⅡ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ⅠㆍⅡ
동의수세보원을 중심으로 하여 사상체질의학의 기초이론을 이해시키고 체질 분류에 대한 임상교육에 대한 원인 증상에 대하여 학습한다.
With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as the central figure, it comprehend Study on Sasang(四象) Constitutional Medicine, and study cause symptom about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clinical education.

ORI 401, 418 피부외과학및실습ⅠㆍⅡ Oriental Dermatology and PracticeⅠㆍⅡ
임상에서 많이 접하는 피부질환과 피부미용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법을 중점적으로 실습한다.
Have a practice about dermatic disease and?skin care?which is good at?in clinical medicine.

ORI 402, 419 간계내과및실습ⅠㆍⅡInternal Medicine of Liver System and PracticeⅠㆍⅡ
간계내과 분야의 한의학 병증과 간담도 조혈계의 질환에 대한 임상의 합리적 이해에 접근하기 위한 최신지견을 공부하고 증례 검색을 하여 확인하는 임상 실습 과목이다.
In this course, students study latest knowledge to approach reasonable understanding of clinical about Oriental medicine, hepatobiliary, hematopoietic disorders of internal medicine of liver system, checking a case of disease.

ORI 403, 420 심계내과및실습ⅠㆍⅡ Internal Medicine of Heart System and PracticeⅠㆍⅡ
임상의 심계내과 분야의 실습을 중점적으로 한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clinical internal medicine of heart system practice.

ORI 404, 421 비계내과및실습ⅠㆍⅡ Internal Medicine of Spleen System and PracticeⅠㆍⅡ
비계내과 분야의 한의학 병증과 소화관 병증 질환에 대한 임상의 합리적 이해에 접근하기 위한 최신지견을 공부하고 증례 검색을 하여 확인하는 임상 실습 과목이다.
In this course, students study latest knowledge to approach reasonable understanding of clinical about Oriental medicine, gastrointestinal disorders of internal medicine of spleen system, checking a case of disease.

ORI 405, 422 폐계내과및실습ⅠㆍⅡ Internal Medicine of Lung System and PracticeⅠㆍⅡ
임상의 폐계내과 분야의 실습을 중점적으로 한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clinical internal medicine of lung system practice.

ORI 406, 423 신계내과및실습ⅠㆍⅡ Internal Medicine of Kidney System and PracticeⅠㆍⅡ
임상의 신계내과 분야의 실습을 중점적으로 한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clinical internal medicine of kidney system practice.


ORI 407, 424 부인과학및실습ⅠㆍⅡ Oriental Gynecology and PracticeⅠㆍⅡ
임상의 부인과 분야의 실습을 중점적으로 한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clinical medicine of oriental gynecology and obstetrics practice.

ORI 408, 425 소아과학및실습ⅠㆍⅡ Oriental Pediatrics and PracticeⅠㆍⅡ
소아과학 실습을 통하여 소아청소년 질환에 대한 문제해결식 진단치료의 지식을 얻도록하고 소아청소년 질환에 대한 임상적 술기를 연마시킨다.
Through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practice, students can obtain problem-solving information on diagnoses and treatments and excercise the clinical skills about pediatric diseases.

ORI 409, 426 신경정신과학및실습ⅠㆍⅡ Oriental Neuropsychiatry and PracticeⅠㆍⅡ
신경정신과 관련 질환의 유연한 진료 접근을 위한 각종 진단법 및 치료법을 숙지하며 또한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understand fixible access to care and treatment for the various diagnostic methods, and develop utilization ability about oriental neuropsychiatry.

ORI 410, 427 안이비인후과및실습ⅠㆍⅡ Oriental Otorhinolaryngology and PracticeⅠㆍⅡ
안이비인후과Ⅰ?Ⅱ의 계속
This course concentratse on clinical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otorhinolaryngology practice.

ORI 411, 428 침구학및실습ⅠㆍⅡ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PracticeⅠㆍⅡ
인체에 포함하여 있는 경혈에 자침하여 치료되는 치료방법과 치료증상을 학습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study acupuncture treatment and therapy symptom by applying acupuncture including human body.

ORI 412, 429 사상체질의학및실습ⅠㆍⅡ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PracticeⅠㆍⅡ
사상체질의학 분야의 임상실습을 중점적으로 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practic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RI 413, 430 한방재활의학및실습ⅠㆍⅡ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and PracticeⅠㆍⅡ
한방재활의학의 치료적인 측면에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In this exercise session, the practice regarding rehabilitation medicine will widely be trained.

ORI 414, 431 병원경영학ⅠㆍⅡ Hospital ManagementⅠㆍⅡ
치료이외의 병원과 관련된 행정?재무?인사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다.
Hospital management ~ To learn information relating to hospital ; administration, finance, human resource as well as treatment.

ORI 415, 432 응급의학ⅠㆍⅡ Emergency MedicineⅠㆍⅡ
응급환자의 관리요령등 신속을 요하는 의료분야를 학습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study requiring rapid medical field such as carring for emergency etc.

ORI 416, 433 법의학ⅠㆍⅡ Forensic MedicineⅠㆍⅡ
의료행위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 학습한다.
The primary aiml of this course FORENSIC MEDICINE is to offer a basic and practical knowledge with the interpretation of medical evidences associated-legal problem in the cases of unexplained or violent deaths and injury. Furthermore, the related forensic science theory and technique will be presented.

ORI 417, 434 보건법규ⅠㆍⅡ Public Health LawⅠㆍⅡ
개업 시 문제되는 병원개설, 환자관리, 약품관리 등의 여러가지 제반문제를 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배운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study way to deal with problem of all sorts by legal point, when practicing such as hospitals open, patient care, and medication management etc.


'[정신분석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PT. OF CULTURE & CONTENT SCIENCE  (0) 2016.04.18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과  (0) 2016.04.17
철학 교육과정  (0) 2016.04.17
철학과 전체 개설 교과목  (0) 2016.04.17
철학과 박사과정 2  (0) 2016.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