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대학원]

철학과 교육과정

한신학 han theology 2016. 4. 17. 12:11
년도학기학수번호교과목명(영문)이수구분교과목 개요
20161HP254과학철학
(Philosophy of Science)
전공선택세계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제공한다고 알려진 과학의 본성에 대해 논의한다.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이 있는지, 과학적인 연구는 어떤 방법론에 따라 진행되는지 분석해본다. 나아가 과학적 지식은 누적되어 발전하는 것인지 아니면 혁명과도 같이 교체되는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과학적 지식이 실재를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20161HP404그리스철학
(Greek Philosophy)
전공선택-
20161HP265노장철학
(Taoistic Philosophy)
전공선택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일컫는 노장철학은 중국문명의 한 축인 도가의 사상을 다룬다. 유가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이들의 중심문제를 다룬다.
20161HP373독일관념론
(German Idealism)
전공선택칸트에서 피히테, 셸링을 거쳐 헤겔에 이르는 독일관념론의 철학적 문제들과 주요 개념, 그 역사적 유산 등을 학습한다.
20161HP507문학철학
(Literature Philosophy)
전공선택문학사상을 철학적으로 조명한다. 고대 공무도하가에서 현대 문학에 이르기까지 주요 문학 작품을 철학적으로 분석한다.
20161HP204미학의기초
(The Fundamentals of Aesthetics)
전공선택-
20161HP382불교철학
(Buddhist Philosophy)
전공선택불교철학의 기본사상을 소개한다. 불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철학적 구조를 밝히고 그것을 현대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려고 한다.
20161HP147비판적사고
(Critical Thinking)
전공선택본 과목은 사물과 기존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정리하는 사유를 배양하며, 그러한 자신의 사유를 논리적 문장으로 작성하는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20161HP141서양고중세철학사
(History of Greek and Medieval Philosophy)
전공선택서양의 고대 희랍철학과 중세철학을 철학사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중요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탐구함으로써 그 시대 철학의 성격과 그것이 오늘날 갖는 의미를 동시에 파악하려고 한다.
20161HP475예술철학
(Aesthetics)
전공선택인간의 삶에 있어서 아름다움, 즉 미의 문제를 다루는 예술철학의 분야이다. 아름다움의 문제는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높고 궁극적인 가치의 차원으로서, 이것에 도달하지 못하면 인간의 삶은 영원한 미완성의 차원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는 불가결의 것이다.
20161HP231정치철학
(Political Philosophy)
전공선택국가란 무엇인가를 비롯해, 정치적인 것의 개념, 공정성과 정의 등의 핵심적 주제를 다룬다. 정치공동체의 이상적 형태에 대한 고전적 탐구에서 시작해 그 공동체의 규범적 운영원리를 조명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관계가 철학적으로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정치와 정치 현상에 대한 규범론적 접근과 그 구체적 역사연관성을 함께 해명하는 과목이다. 한국의 정치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항상 수반하는 강좌이다.
20161HP465중국고대철학사
(History of Ancient Chinese Philosophy)
전공선택서양철학사는 플라톤의 철학의 각주에 불과하다는 화이트헤드 주장의 의미는 중국에도 적용된다. 본 강좌는 이른바 “기축시대”에 있어서 중국철학사상의 맹아를 비교철학적 관점에서 천착함을 목표로 한다.
20161HP508한국근세유가철학
(Korean Neo-Confucianism)
전공선택한국의 성리학과 양명학의 이론적 특징을 학파별로 심도 있게 탐구한다.
20161HP318현대영미철학
(Contemporary Anglo-American Philosophy)
전공선택현대영미철학은 언어철학, 과학철학, 논리학 등을 중심으로 시작되나 그 이외에도 분석적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미학 등 여타의 분야 논의들로 확장되고 있다. 이 강좌는 과학철학, 심리철학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여러 분야의 현대 영미철학의 문제들을 선택하여 다룬다.
20161HP379형이상학
(Metaphysics)
전공선택감각적 인식론으로써 파악되는 존재자들의 집합으로써의 존재의 전체와 본질을 귀납법적으로 탐구하는 존재론에서(아리스토텔레스), 그러한 전체적이고 본질적인 존재 파악의 인식론적 가능성과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존재론을 거쳐(칸트), 인간의 본성상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유가 가능하다고 보는 존재론에 이르기까지(하이데거), 그리고 전체는 부분들의 집합이라는 귀납법적 관점과 전체는 부분들의 집합 이상이라는 연역법적 관점을 변증법적으로 탐구한다.
20162HP312논리학
(Logic)
전공선택논증을 다루는 학문이다. 논증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과 더불어 명제논리, 술어논리(삼단논법 포함) 등의 연역추리를 공부한다.
20162HP300문화철학
(Philosophy of Culture)
전공선택인간을 다른 존재와 구분하는 결정적 잣대가 바로 문화를 창출하는 능력이다. 즉 인간은 문화 창조자와 향수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해 온 것이다. 이 과목은 문화에 대한 이런 고전적 이해가 어떻게 변화하고 심화되어왔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근대 이후 지배적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대중문화의 흐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한다.
20162HP513불교와중국
(Buddhism and China)
전공선택인도와 중국의 만남은 인류의 지성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다. 본 과정은 인도 기축시대사상의 한 형태인 불교가 중국에 들어와 흡수?변용되는 과정을 다룬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문화적“퓨전”의 형태를 목도한다.
20162HP206서양고대사상
(Ancient Western Thought)
전공선택-
20162HP221서양근세철학사
(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전공선택서양의 근세철학을 철학사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그 안에 담긴 철학의 역사적 중심인물, 중심사상, 중심개념들을 추구함으로써 그 시대 철학의 성격과 그것이 오늘에 대해서 갖는 의미를 동시에 파악하려고 한다.
20162HP471신화와사상
(Myth and thought)
전공선택체계적인 사유 이전의 여러 신화들을 배우고 해석하여 그 안에 감추어진 세계관을 이해하고 이후의 철학 사상들과 비교해본다.
20162HP349실존철학
(Existential Philosophy)
전공선택-
20162HP340심리철학
(Philosophy of Psychology)
전공선택정신현상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한다. 정신(마음)는 무엇일까? 그것은 물질과는 다른 어떤 것일까? 어떻게 마음은 물질인 몸과 인과관계를 맺는 것일까? 마음이 물질에 불과하다면,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등의 물음들에 대하여 답하고자 한다.
20162HP469영화철학
(Philosophy of Film )
전공선택영화는 현대예술의 한 정화이자, 가장 강력한 의미전달매체로서 자리를 굳혔다. 본 강의는 영화에 대한 철학적 독해작업이, 영화와 철학 모두의 지평을 확대시킨다는 전제에 입각해 영화문법에 대한 철학적 연구가 독자적 영화존재론과 영화가치론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예컨대 영화존재론은, 서양형이상학의 전체 역사를 재서술하는 한 기획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20162HP315윤리학
(Ethics)
전공선택인간의 행동과 그 철학적 규범을 다루는 실천철학의 한 분야이다. 행동의 단위가 개체이냐, 전체이냐라는 문제가 있고, 행동의 규범이 본질적으로 어떤 것이냐 라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윤리규범이 개체와 전체, 본질과 경험, 시간과 공간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그 합법적 정당성을 획득해 가는지를 다룬다.
20162HP113인도철학사
(History of Hindu Philosophy)
전공선택인도사상은 기축기 인류문명의 일원이면서, 동아시아 사상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이러한 인도사상의 원류를 다루는 본 강좌는 수많은 인도사상의 원류들이 기축시대의 사상으로 통합,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20162HP241인식론
(Theory of Knowledge)
전공선택인식론은 철학의 가장 기초적인 근본문제를 다루는 것으로서, 곧 진리의 인식을 그 내용과 목표로 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인식의 주체와 인식의 대상, 인식내용으로서의 진리의 문제를 다룬다.
20162HP495제2기유학사상
(Confucianism in the Second Epoch )
전공선택본 강좌는 유학의 제2기인 송명대 철학의 발전을 고찰한다.
20162HP263한국철학
(Korean Philosophy)
전공선택-
20162HP223한국철학사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전공선택한국 철학사상의 기원을 시발점으로 하여 고대사상과 삼국, 고려시대의 불교철학과 조선조의 신유학사상을 다루는 과정, 아울러 천도교와 증산교 등의 민족종교에 나타난 철학사도 취급한다.
20162HP317현대유럽철학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전공선택현대 유럽 철학의 흐름은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실증주의와 이성의 전체주의적 지배에 대한 반격으로서 성립되었다. 대표적인 이론으로서는 현상학, 비판이론, 구조주의, 해석학, 해체주의를 들을 수 있는데, 이러한 철학은 세계를 실체로서 파악하는 관점을 비판하고 관계와 언어, 그리고 삶의 세계를 중시한다. 이 강의는 이러한 다양한 철학적 운동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20161HP145전공한문
(Philosophical Reading in Classical Chinese Caracter)
전공필수논어 맹자 등 동양 철학의 주요 교재를 사용하는 강독 중심의 강의이다. 기초 한문에 대한 훈련 과정이다.
20161HP419졸업논문
(Thesis)
전공필수-
20161HP148철학강독Ⅰ
(Introduction to Philosophy Reading 1)
전공필수철학 원전 강독을 위한 기초 영어 훈련 교과 과정이다. 철학 전공 서적을 교재로 하여 해석 중심으로 강의 진행한다.
20161HP137철학여행I
(Philosophical Excursion I)
전공필수구체적인 삶의 현장들을 방문하여 삶의 현장을 몸소 느끼고 그 안에서 철학함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1HP287철학여행II
(Philosophical Excursion II)
전공필수구체적인 삶의 현장들을 방문하여 삶의 현장을 몸소 느끼고 그 안에서 철학함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1HP243철학의제문제
(Topics in Philosophy)
전공필수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등의 다양한 철학의 문제들을 주제별로 분석 ? 평가한다.
20162HP419졸업논문
(Thesis)
전공필수-
20162HP149철학강독Ⅱ
(Introduction to Philosophy Reading 2)
전공필수철학 원전 강독을 위한 기초 영어 훈련 교과 과정이다. 철학 전공 서적을 교재로 하여 해석 중심으로 강의 진행한다.
20162HP150철학개론
(Introduction to Philosophy)
전공필수‘철학이 무엇인가’를 소개한다. 근본적이고 일반적인 철학적 문제들에 대해 생각한다. 이 문제들은 각각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미학, 심리철학, 논리학 등의 철학의 분야를 구성하는 문제들이다.


'[정신분석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과 박사과정 2  (0) 2016.04.17
철학과 박사과정  (0) 2016.04.17
한의학과 입학  (0) 2016.04.15
침구학교실  (0) 2016.04.15
비계내과학교실 (소화기내과)  (0) 2016.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