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대학원]

생명의 철학 [philosophy of life , 生命─哲學]

한신학 han theology 2016. 4. 1. 11:02
요약
생명의 본질 ·기원 ·미래에 대한 철학적 고찰.

생물학과 구별된다. 오래 된 것으로는 아낙사고라스, 엠페도클레스, 장자()와 같은 자연학적 공상론도 있었으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같은 종류의 것이 같은 종류의 아들을 낳는 시점을 엔텔레케이아라고 말하고 후에 생명철학의 엔텔레케이아 개념의 기초를 쌓았다. 라 메트리의 기계설(), 다윈의 진화론, 홀데인의 전체설(), H.드리슈의 신생기론(), 오파린의 유물설(), P.T.de 샤르댕의 인간의 영적 진화설() 등은 어느 것이나 생명의 신비를 인간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하는 생명의 철학이다.

역참조항목
한스 킹크
출처

두산백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생명의 철학 [philosophy of life, 生命─哲學]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