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대학원]

동학사상

한신학 han theology 2015. 10. 21. 18:34

1. 서론 


2. 동학의 배경


3. 동학사상에서 나타나는 시천주사상 

(1) 신관

(2) 시천주 사상 


4. 인내천주의의 성립하는 과정 

(1) 사인여천 사상 

(2) 인내천 사상 


5. 시천주사상과 인내천주의의 관계


6. 결론


우리는 한국의 사회에서, 한국의 언어로 사유하고, 한국의 언어로 자기의 의사를 발표하며, 한국의 언어로 상호의 의견을 교환한다. 이와 같은 언어생활을 통하여 이루어진 한국의 사상도, 우리는 그것을 한국의 언어로 사유하고 연구하며 또한 그 결과를 전달하는 것이다. 한국인의 체취가 풍기는 이러한 사상은 그 자체에 굳건한 생명력이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 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우리에게 생의 의욕과 용기를 준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어떠한 시련과 외부의 도전도 우리가 싸워 극복할 수 있도록 배후에서 강력한 힘을 제공한다. 이제는 이와 같은 한국사상이 형성되어 나와야 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니, 그것은 우리가 한국인이기 때문에 그것을 형성해야 한다는 맹목적인 당위성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절실히 바라는 절박한 요구성 때문이다. 그 동안 동학사상 연구는 동학농민혁명의 사상, 이데올로기, 종교적 외피 등으로 접근하여 연구된 것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철학적의 관심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동학사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 소홀하게 다루어져왔던 철학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오랜 시간에 이루어져 왔던 철학적 연구는 동학사상에 대한 실체와 이러한 실체를 밝혀내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비교연구로 집약할 수 있다. 실체적 연구는 궁극적으로 수운 최제우(1824-1864)가 천도와 동학 『동경대전』,「포덕문」,“道則天道 德則天德.”,「논학문」,“吾亦生於東受於東 道雖天道 學則東學.”

으로 말하고자 한 핵심이 무엇인가 하는 점을 밝히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동학이 보는 진리는 무엇이고, 그 진리를 어떻게 알 수 있으며, 그 진리를 어떻게 실행하고, 어떻게 사회화시키는가 하는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 연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지금까지의 동학사상에 대한 철학적 연구는 극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