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스크랩] 품질경영 활동에서 철학이 동기부여와 리더십에 근거한 경영혁신

한신학 han theology 2015. 6. 2. 15:00

ISO 9000의 용어 및 정의’에 의하면 <지속적 개선>이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반복되는 활동을 말한다.

철학, 시스템, 기법의 세 가지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는 품질경영 활동에서 철학이 동기부여와 리더십에 근거한 경영혁신이라고 한다면 시스템은 업무의 반복성과 체계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방관리 문화를 중시하고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시스템 중심의 품질활동을 우선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효과적인 추진전략이 될 것이다.

품질경영의 마지막 핵심 요소는 지속적인 개선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기법이나 도구를 학습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개선 제안은 이러한 지속적 개선문화를 정착시키는 활동으로 기업 현장에서 다양한 방법과 모습으로 진행되어 왔다.

제조 품질의 세계적 명성을 획득한 일본제품의 핵심 노하우가 ‘카이젠’으로 일컬어지는 개선 활동이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10년여의 장기 침체를 겪은 후 다시 세계 경제의 핵으로 재등장할 채비를 갖추고 있는 일본에서 이러한 장기 침체기 때도 나홀로 발전을 계속한 대표 기업이 도요타자동차이다.

현재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도요타시스템(TPS)에 대한 벤치마킹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데, 이의 핵심에도 전 직원이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창조적인 개선 활동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세계 최고 제품으로 자리매김해 가는 삼성전자의 핸드폰 제조 노하우에도 현장 최일선 작업자의 아이디어까지 반영되는 철저한 개선시스템이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도 주목해야 할 사실이다.

이렇듯 개선활동은 기업의 지속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코드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기업에서 소홀히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크게 아쉽다.

 개선의 필요성

개선은 시장의 조건, 고객요구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 조직원이 업무개선, 품질향상, 원가절감 및 기술 축적 등을 도모하여 기업의 체질을 강화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머리로는 이해한다 해도 실제 실천으로 옮겨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전혀 그 효용성을 발휘할 수 없다.

개선 활동도 마찬가지로 위에서 아래까지 당연한 것을 실천할 뿐이라는 자세로 회사 내의 개선시스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다음 다섯 가지의 기본자세를 소개한다.

 
<개선의 자세>

1. 현재의 일에서 출발한다.
2. 자신을 키워라.
3. 고정관념을 깨뜨려라.
4. 주변을 활용해라.
5. 지금부터 출발해라.

현 기업의 경영 환경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국제적 경쟁력이 필요하다.
2. 시장 점유율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다.
3. 수요의 변동이 심하다.
4. 다양화 지향의 시대이다(생산 방식의 다양화).
5. 다품종화 지향의 시대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선 활동은 곧 기업의 생존활동임을 인식해야 한다.
성장 산업에서도 망하는 기업은 있고, 쇠퇴 산업에서도 돈을 버는 기업은 언제나 있게 마련이다.
시장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 하느냐가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며, 변화하는 시장의 고객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기업의 개선 활동


우리는 흔히 화이트칼라, 현장노동자, 또는 지식노동자나 육체노동자라는 구분 잣대를 들이댄다. 그러나 이런 구분은 사농공상 개념의 수직적 의식이 기저에 깔려있다고 생각되어지며, 이런 구분은 필요 없다고 말하고 싶다.

다만, 지혜를 써서 일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로 구분하는 것이 더욱 적절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관리자,감독자만 지식노동자, 지혜로운 사람이 아니다.
   전 직원이 지혜롭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 ‘설비 중심의 물건 만들기’에서 ‘사람의 지혜에 의한 물건 만들기’가 요구된다.
- 하나의 목적에 대한 수단과 수법은 많다.
- 지식은 살 수 있어도 지혜는 구매되지 않는다.

 개선활동과 사람의 역할

 
좋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좋은 설비, 양질의 재료, 훌륭한 system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결국 이들을 사용하고 운영하는 것은 사람이다.
사람이 스스로 제 역할을 하지 않으면 그 어떤 것도 의미가 없다.
개선의 일차적 실행은 사람이며,

①전원 참가 시키고,
②생각하는 사람을 키우기 위하여 사람이 갖은 인적자원을 발굴하는 것이 1차적 선행 과제이다.
 


 개선활동의 유형

개선활동의 유형을 분류해보면 크게 분임조, 제안, TFT활동으로 나눌 수 있으며, 분임조 활동은 다시


품질분임조(ACC), TPM분임조, 6시그마분임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실제 활동으로 들어가서는 다양한 명칭을 붙여 진행한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선진 기업들의 개선활동 명칭을 살펴보면 제너럴일렉트릭(GE)가 Work-out, 월마트(Wall-Mart)가 토요미팅, 도요타자동차가 창의개선연구회로 개선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전체적 공통점은 조직원 한 명 한 명의 의견을 의사결정권자가 직접 현장에서 들을 수 있는 제도로 조직원의 의견을 경영에 적극 반영하여 업무 만족도를 높이고 경영 성과를 향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출처 : 화장품 부자재 용기 사출 증착 디자인
글쓴이 : 동그리 원글보기
메모 :

'IS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공학  (0) 2015.06.05
검사품질관리제도 [Quality Assurance]   (0) 2015.06.03
[MV]BoA-Only One  (0) 2015.05.30
IHD Certified Professional  (0) 2015.05.28
Logic Pro  (0) 201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