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공吳相公 명조 2. - 연해자평
己 庚 辛 壬 癸 甲 -- 己 乙 乙 癸
酉 戌 亥 子 丑 寅 -- 卯 未 卯 亥
1. 위 명조는 재상의 명조가 분명하다
심효첨 선생은 자평진전 잡격편에서 오상공의 명조를 癸亥年 乙卯月 乙未日 壬午時로 고서에서 인용하여 해설하고 있다. 그런데 나는 위 명조 중에 임오시를 연해자평의 시상편재격時上偏財格 편에 의거하여 기묘시로 일단 수정하고 그 진위 여부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임오시를 기묘시로 수정한 그 이유는 아래에서 밝히기로 하고, 일단 위 명조가 과연 재상이 될 수 있는가의 여부를 명리에 의거하여 먼저 밝혀보고자 한다.
전통 간법에 의하면, 을묘 일주가 묘월에 태어나 해묘미 삼합 목국을 이루고 시지에 묘목이 합세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천간에 1개 계수와 2개 을목이 가세하고 보면 일행득기격 중에 곡직격의 진격을 이루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의 간법에 의하면, 일지 미토가 좌우 묘목의 극제를 받고 있어서 천간에 그 본기가 투출하지 않으면 종강격으로 격국을 단정할 수 있는데, 시간에 미토의 본기 기토가 투출하여 종강격이 가종강격으로 바뀌고 말았다. 일지 미토를 생조하거나 방조하는 화토 대운이 들어오면 정격 중에 신강격으로 바뀔 수도 있고,[축토나 술토가 들어와서 축미충 또는 축술미 삼형을 이루면 토세가 더욱 강화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더욱 약화되어 정격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이론은 생략한다.] 그 이외의 대운에는 종강격으로 간명한다. 종강격이면 희신이 수목이고 기신이 화토금이며, 정격 중에 신강격이면 희신이 화토금이고 기신이 수목이다. 가종강격은 일단 종강격으로 놓고 희기를 결정한다.
연주가 계해 희신이고 첫째 대운 갑인도 또한 희신이라 부귀한 가문에서 태어났다. 종강격은 인수를 기뻐하는데 연주가 모두 인수로 구성되어 있으니 어려서 학업을 성취할 수 있다. 월주에도 또한 희신 비겁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형제와 자매도 모두 빼어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일지 미토는 기신인데 좌우에서 묘목이 극제하여 처도 또한 현모양처이다. 시지 중에 묘목은 희신이니 다시 말할 것이 없고, 시간 기토는 기신이나 이도 또한 2개 을목이 극제하고 있어서 기신이 희신으로 전변하고 있다. 사주 팔자가 모두 희신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신은 하나도 없다. 시간에 기토가 기신에서 희신으로 전변하여 일지 미토의 수기를 유행하고 있고 보면,[시간 기토와 일지 미토는 원래 기신이라 왕상하거나 생조 또는 방조를 받으면 받을수록 더욱 그 기능을 나쁘게 작용하지만, 휴수하거나 극제를 받으면 받을수록 더욱 재성으로서의 고유한 작용력을 강력하게 발휘할 수 있다.] 일인지하 만인지상인 재상의 명조로 보아도 또한 전혀 손색이 없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단정한다.
2. 상공相公의 원의原義와 전의轉義
장동전張同全 씨의 자평진전평주子平眞詮評注에 의하면, 위 명조(기묘시가 아니고 임오시로 되어 있다.)가 연해자평에서는 오상공吳相公 명조로 나오고, 삼명통회에서는 재상宰相의 명조로 나오며, 자평삼명통변연원子平三命通變淵源에서는 오이상공吳二相公의 명조로 나온다고 한다. 상공相公은 위나라 이후부터 재상이란 뜻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후대에 이르러 사대부 가문의 귀공자를 뜻하기도 한다. 아랫사람들이 첫째를 태상공太相公이라 호칭하고 둘째를 이상공二相公이라 호칭하는 것이 후대에 일반화되었던 것 같다. 오상공吳相公의 명조를 오이상공吳二相公으로 수정한 자평삼명통변연원의 저자는 아마도 임오시의 명조를 재상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 아닌가 하고 추측한다.
3. 임오시를 기묘시로 수정한 이유
연해자평 시상편재격時上偏財格 편에는 고시랑高侍郎을 위시하여 이참정李參政 오상공吳相公 증참정曾參政 진상서陳尚書 증지부曾知府 형사령邢司令 후지부侯知府 고시랑高侍郎(위 고시랑과 명조가 다르다. 만현 주) 후지부侯知府(동일한 명조가 중복되어 나온다. 만현 주) 유중서劉中書 왕보사王步師 등의 명조가 나온다. 그 명조는 아래와 같다.
高侍郎, 甲申 庚午 壬寅 壬寅(甲食神)[壬寅時를 丙午時로 수정, 만현주]
李參政, 庚寅 乙酉 甲子 戊辰
吳相公, 癸亥 乙卯 乙未 壬午[壬午時를 己卯時로 수정, 만현주]
曾參政, 乙未 甲申 丙申 庚寅
陳尚書, 癸卯 戊午 丁丑 辛丑
曾知府, 戊子 辛酉 戊申 壬子
邢司令, 甲午 丁丑 己未 癸酉
侯知府, 乙酉 己卯 辛卯 辛卯[시상이 아닌 시지에 편재가 있다. 만현주]
【眉批】侯知府命中干支重見, 兄弟分奪, 只是財多財旺, 原干辛弱不堪任之, 所以分去卻得中和.
如時上偏財與時上偏官相似, 只要時上一位不要多而三處, 不要再見財, 卻怕沖, 與月上偏官格同. 偏財要財運旺運.
高侍郎, 壬午 壬寅 庚子 甲申(壬食神)
侯知府, 乙酉 己卯 辛卯 辛卯[중복되었다. 만현주]
劉中書, 丁亥 戊申 壬申 丙午
王步師, 庚午 戊子 癸卯 丁巳
【眉批】詩訣: 月偏則是眾人財, 最怕干支兄多來. 身強財旺皆爲福, 若歸官星足爲災. 時正財與正官同, 不逢破害與相沖. 柱中不見財官殺, 防時來尋此格中.
이상의 명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고시랑高侍郎과 오상공吳相公의 명조를 제외하고 나머지 명조는 대부분 일간에서 보면 시상時上 곧 시간에 편재가 투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제명小題名을 시상편재격時上偏財格이라 호칭했을 것이다. 후지부侯知府 명조는 편재가 시지에 암장되어 있지만, 고시랑과 오상공 명조만 유독 시간에 편재가 투출하지 않고 있다. 고시랑高侍郎의 甲申 庚午 壬寅 壬寅 명조로는 고관대작이 될 수 없다. 시상에 편재가 투출한 병오시라야 비로소 고관대작의 명조가 될 수 있다. 오상공의 명조는 앞에서 이미 해설했다. 내가 오상공의 명조 중에 壬午時를 己卯時로 수정한 이유는 첫째 시상에 편재가 투출한 기묘시라야 비로소 연해자평의 시상편재격이란 소제목에 부합하기 때문이며, 그리고 또 하나의 이유는 임오시로는 재상이 될 수 없고 기묘시라야 비로소 재상의 명조가 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고시랑의 명조를 아래에 간단히 해설하겠다.
4. 고시랑高侍郎의 2개 명조 대비 해설
高侍郎, 甲申 庚午 壬寅 壬寅(甲食神)
임인시 명조 -- 병오시 명조
壬 壬 庚 甲 -- 丙 壬 庚 甲
寅 寅 午 申 -- 午 寅 午 申
원본의 임인시와 수정한 병오시 모두 일주 임수가 지지에 인비를 하나도 갖추지 못하여 종약격이다. 기신은 금수이고 희신은 목화이다.[위 명조는 구조상 토가 통관작용을 하기 때문에 세운의 간지에서 들어오는 토는 모두 기신에 해당한다.] 임인시나 병오시 두 명조는 모두 지지에서는 인목의 생조를 받은 오화가 기신인 연지 신금을 완전히 제압하고 있다. 그러나 천간에서는 임인시 명조와 병오시 명조의 작용력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임인시 명조의 경우 기신 경금과 임수가 모두 완전히 살아 있고, 연간의 유일한 희신인 식신 갑목은 월간 경금에 극제되어 전혀 희신의 작용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병오시의 명조는 시간 병화로 인하여 기신인 월간 경금을 극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곧 시간 병화는 월령을 얻은 2개 오화와 1개 인목에 통근하여 강력한 작용력을 발휘함으로써 기신인 경금과 임수를 완벽히 제압할 수 있지만, 월간 경금과 일간 임수는 비록 연지 신금에 통근하고 있지만 극제된 신금이 기진맥진하여 전혀 힘을 발휘하지 못함으로써 병화에 대한 대항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있다. 임인시의 명조로는 시랑이 될 수 없고, 시상에 편재가 투출한 병오시라야 비로소 시랑이란 직책을 감당할 수 있다. 이를 의거하면 고시랑의 명조도 또한 전사되는 과정에 와전되었음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연해자평 시상편재격의 미비眉批중에 “예컨대 시상 편재와 시상 편관은 상호 유사하다.(如時上偏財與時上偏官相似)”라는 구절에 의하면, 시간에 편관과 함께 편재도 또한 시상일위귀격時上一位貴格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자료 1. 淵海子平 時上偏財格
如時上偏財與時上偏官相似, 只要時上一位, 不要多. 而三處不要再見財, 卻怕沖, 與月上偏官一同. 偏財要行財旺運.
【眉批】時上偏財一位佳, 不逢沖破享榮華, 敗時劫刃運無馬, 富貴雙全比石家.
高侍郎, 甲申 庚午 壬寅 壬寅(甲食神)
李參政, 庚寅 乙酉 甲子 戊辰
吳相公, 癸亥 乙卯 乙未 壬午
曾參政, 乙未 甲申 丙申 庚寅
陳尚書, 癸卯 戊午 丁丑 辛丑
曾知府, 戊子 辛酉 戊申 壬子
邢司令, 甲午 丁丑 己未 癸酉
侯知府, 乙酉 己卯 辛卯 辛卯
【眉批】侯知府命中干支重見, 兄弟分奪, 只是財多財旺, 原干辛弱不堪任之, 所以分去卻得中和.
如時上偏財與時上偏官相似, 只要時上一位不要多而三處, 不要再見財, 卻怕沖, 與月上偏官格同. 偏財要財運旺運.
高侍郎, 壬午 壬寅 庚子 甲申(壬食神)
侯知府, 乙酉 己卯 辛卯 辛卯
劉中書, 丁亥 戊申 壬申 丙午
王步師, 庚午 戊子 癸卯 丁巳
【眉批】詩訣: 月偏則是眾人財, 最怕干支兄多來. 身強財旺皆爲福, 若歸官星足爲災. 時正財與正官同, 不逢破害與相沖. 柱中不見財官殺, 防時來尋此格中.
참고자료 2. 張同全 子平眞詮評注 四十七、論雜格
雜格者, 月令無用, 以外格而用之, 其格甚多, 故謂之雜. 大約要干頭無官無煞, 方成格, 如有官煞, 則自有官煞爲用, 列外格矣. 若透財尚可取格, 然財根深, 或財透兩位, 則亦以財爲重, 不取外格也.
徐注: 用神以月令爲重, 月令有用神可取, 最爲親切, 《滴天髓》所謂“令上尋真聚得真”也. 月令中之財官食印, 或不能用, 則於年日時中擇其可用者而用之, 各格無如是, 不限定財官七煞也. 取用神以扶抑爲正軌, 若四柱無可扶抑, 則其氣勢必屬於偏旺. 如財官印食傷之類, 乘根得勢, 局中之神, 又助其旺勢, 謂二人同心; 或日主得時秉令, 四柱皆拱合之神, 謂權在一人, 只可順其氣勢, 引其性情以取用, 若強制之, 反激而成患. 古來雜格, 皆其類也. 即以化氣論, 亦以順化神之旺勢爲用. 逆其氣爲忌, 故統歸之專旺一類.
張同全注: 沈氏認爲雜格是在月令無用的情況下, 以外格而用之, 其格甚多, 故謂之雜. 實際上月令不論是財官殺, 還是印綬食傷祿刃, 都是有格的, 這已經是把十神全都包括了, 沒有例外了, 所有說月令不可能無格, 也不可能無用. 之所以不從月令取格, 不是因爲月令無用, 而是因爲年日時形成了更大的格局, 比月令格局還大, 因此只能舍小就大, 舍棄月令的小格局, 而以大格局爲主進行分析.
試以諸格論之, 有取五行一方秀氣者, 取甲乙全亥卯未、寅卯辰, 又生春月之類, 本是一派劫財, 以五行各得其全體, 所以成格, 喜印露而體純. 如癸亥、乙卯、乙未、壬午, 吳相公命是也. 運亦喜印綬比劫之鄉, 財食亦吉, 官煞則忌矣.
徐注: 得一方秀氣者, 有曲直、炎上、稼穡、從革、潤下五種格局, 以一方專旺之氣也. 亦有方局不全者, 只要氣勢專一, 從其旺勢, 如癸卯、乙卯、甲寅、乙亥, 又丙午、甲午、丙午、甲午, 皆爲貴格. 運以食傷泄其秀氣爲最美, 原局有食傷則財運亦美. 氣純勢強, 可順而不可逆. 印比之運, 從其旺神, 固爲適宜, 但亦不可執一. 如原局露食傷泄秀, 則印運爲忌; 比劫透而無食傷, 則財運亦忌. 隨宜配置, 各有喜忌. 官煞逆其旺勢, 最犯格局之忌, 若無印生化, 則爲禍非輕.
張同全注: 癸亥、乙卯、乙未、壬午, 此造在《四庫全書》本《三命通會》和《古今圖書集成》本《三命通會》中均爲“丞相”, 在《淵海子平》中爲“吳相公”, 相公在古代是有宰相的意思, 宋吳曾《能改齋》: “丞相稱相公, 自魏已然矣.” 考宋代吳姓宰相, 沒有一個是生在癸亥年的. 再考《子平三命通變淵源》中此造爲“吳二相公”, 若是相公爲宰相之意, 則不能稱爲“二相公”, 故而此處相公不是宰相的意思, 而是某個吳姓官員家的二公子的意思, 《通俗編·仕進》: “今凡衣冠中人, 皆僭稱相公, 或亦綴以行次, 曰大相公、二相公.”
此造生在比肩祿月, 天干透出正印和偏印, 實際就是祿劫之格, 此造實際上是以食神生財爲喜的. 故而《淵海子平》將其歸入“時上偏財”格中.
癸卯、乙卯、甲寅、乙亥, 此造出自任鐵樵所注疏《滴天髓》, 書中兩次提到此造. 在“衰旺”章提到此造, 原文爲“此造四支皆木, 又逢水生, 六木兩水, 別無他氣. 木旺極者, 似火也, 出身祖業本豐. 唯丑運刑傷, 壬子水勢乘旺, 辛亥水不通根, 支逢水旺, 此二十年經營, 獲利數萬; 一交庚戌, 土金並旺, 破財而亡.” 在“從象”章又提到此造, 原文爲“甲木生於仲春, 支逢兩卯之旺、寅之祿, 亥之生, 干有乙之助, 癸之印旺之極矣, 從其旺神. 初行甲運, 早采芹香; 癸丑北方濕土, 亦作水論, 登科發甲; 壬子印星照臨, 辛亥金不通根, 支逢生旺, 仕至黃堂; 一交庚戌, 土金並旺, 觸其旺神, 故不能免咎也.” 顯然雖然兩次提到此造, 但是不是同一個人, 屬於相同八字的兩個不同人. 此造甲木生在卯木陽刃之月, 天干透出兩個陽刃, 實際爲陽刃格, 年日時再來加強這個陽刃, 使其強旺之極, 整個八字完全是陽刃當權, 此造與上造“吳二相公”之造還不一樣, “吳二相公”之造可以用財, 此造不能用財. 此造一方面喜印, 另一方面喜官殺. 所以甲寅、癸丑、壬子、辛亥運皆吉, 癸丑運癸水略受制, 故而有所不利, 但是總體仍是好運. 庚戌運爲七殺大運, 最爲喜者, 但是一旦七殺受制也是最凶的時候, 兩人很可能都是在臨近丙丁年的時候交入庚戌運, 故而都是一交庚戌就都出事了, 一個“破財而亡”, 一個“不能免咎”. 徐氏認爲此造爲貴格, 是僅僅看到了第二個人的八字而已. 此造喜印而原局有印, 故而都出身好家庭, 喜官殺而原局無官殺, 故而在仕途方面兩人有巨大差別.
丙午、甲午、丙午、甲午, 此造也出自《滴天髓》, 原文爲“丙生仲夏, 四柱皆刃, 天干並透甲丙, 強旺極矣, 可順而不可逆也. 初運乙未, 早遊泮水, 丙運登科, 申運大病危險, 丁運發甲, 酉運丁艱, 戊戌己運仕途坦平, 亥運犯其旺神, 死於軍前.”
有從化取格者, 要化出之物, 得時乘令, 四支局全. 如丁壬化木, 地支全亥卯未、寅卯辰, 而又生於春月, 方爲大貴. 否則, 亥未之月亦是木地, 次等之貴, 如甲戌、丁卯、壬寅、甲辰, 一品貴格命也. 運喜所化之物, 與所化之印綬, 財傷亦可, 不利官煞.
徐注: 從化者, 謂從之而化, 與棄命相從之格不同. 如甲己化土, 乙庚化金, 丙辛化水, 戊癸化火五格是也. 更要逢辰, 蓋五行遁干, 逢辰則化神透出. 如甲己化土, 而甲己遁干至辰爲戊辰; 丁壬化木, 而丁壬遁干至辰爲甲辰. 故雲逢龍則化, 以此故也. 化氣必須得地支之氣, 而尤要者爲月時, 倘月時不得氣, 則決不能化. 如丁壬化木, 必須生於寅卯兩月, 甲己化土, 必須生於辰戌丑未月, 所謂化出之物得時乘令是也. 而局與方之全與不全, 不甚重要, 惟全則氣純耳. 再者丁壬化木生於未月, 得化甚難, 蓋未爲丁火餘氣也; 反之戊癸化火, 生於戌未月, 反可從化, 以戌未皆火土, 可克制原來之氣質而爲化神也. 所化之物者, 如甲己化土, 喜戊己辰戌丑未; 丁壬化木, 喜甲乙寅卯之類. 所化之印綬財傷, 如甲己化土, 印綬爲丙丁巳午, 財爲壬癸亥子, 傷爲庚辛申酉之類. 丁壬化木, 則印綬爲壬癸亥子, 財爲戊己辰戌丑未, 傷爲丙丁巳午之類. 並非日元化氣, 餘外干支皆作化氣論也. 特化氣亦有旺弱, 旺者喜泄, 弱者喜扶, 審其喜忌以言用神, 方爲真確, 未可漫以印綬爲美. 如甲戌一造, 即以寅中丙火爲用, 泄其秀也. 近見論化氣者, 以日元化合, 而將其餘干支, 盡作化論, 未免誤會, 特詳述之. 參觀十干配合性情篇.
張同全注: 甲戌、丁卯、壬寅、甲辰, 此造出自《神峰通考》, 書中出現兩次, 一爲“從化格”篇中論爲“古富貴造”, 一爲《五行元理消息賦》篇中對“木盛多仁”條的注釋, 原文爲“此造寅卯辰全, 化象得令, 作傷官用財格, 乃王僉事命.”實際此造生在傷官月, 天干透出食神, 爲傷官生財之格.
有倒沖成格者, 以四柱無財官而對面以沖之, 要支中字多, 方沖得動. 譬如以弱主邀強官, 主不眾則賓不從. 如戊午、戊午、戊午、戊午, 是沖子財也; 甲寅、庚午、丙午、甲午, 是沖子官也. 運忌填實, 餘俱可行.
徐注: 戊午一造, 相傳爲關聖之命, 實則火土偏燥, 一生惟金運爲最美, 泄其旺氣也. 木火土鄉有旺極難繼、滿招損之象. 水運蓋子其旺勢, 互起沖激, 豈得平穩? 甲寅一造, 亦惟土運爲美. 大都從前看命, 專重財官, 而於此等格局無法解釋, 於是迂曲其詞, 以倒沖爲說耳.
張同全注: 倒沖之說沒有意義, 觀《淵海子平》倒沖格所舉八字, 皆可用正格解之.
甲寅、庚午、丙午、甲午, 此造爲陽刃格, 以庚金克甲木爲喜. 此造出自《三命通會》, 注爲“大參”.
有朝陽成格者, 戊去朝丙, 辛日得官, 以丙戊同祿於巳, 即以引汲之意. 要干頭無木火, 方成其格, 蓋有火則無待於朝, 有木財觸戊之怒, 而不爲我朝. 如戊辰、辛酉、辛酉、戊子, 張知縣命是也. 運喜土金水, 木運平平, 火則忌矣.
徐注: 六辛月戊子時, 四柱不見官煞, 爲六陰朝陽格, 以子動巳、巳動丙火官星爲用, 其說迂曲. 何以僅六辛朝陽耶? 且六辛之中, 辛巳未亦不朝也. 戊辰一造, 見《神峰通考》, 爲古張知縣命. 以八字而論, 土金乘旺, 用子泄其秀氣, 與從旺之理相同, 喜土金水運, 忌木火. 參觀一方秀氣也.
張同全注: 六陰朝陽格也沒有意義, 按正格看即可.
戊辰、辛酉、辛酉、戊子, 此造生在建祿比肩月, 以戊土印星爲喜. 此造在《神峰通考》中爲“故張知縣造”, 在《三命通會•明通賦》的注解中也有此造, 在《窮通寶鑒》中爲“撫院”.
有合祿成格者, 命無官星, 借干支以合之. 戊日庚申, 以庚合乙, 因其主而得其偶. 如己未、戊辰、戊辰、庚申, 蜀王命是也. 癸日庚申, 以申合巳, 因其主而得其朋, 如乙酉、癸未、癸未、庚申, 趙丞相命是也. 運亦忌填實, 不利官煞, 理會不宜以火克金, 使彼受制而不能合, 餘則吉矣.
徐注: 祿者, 官星也, 庚合乙, 以乙爲戊土爲官; 申合巳, 以巳中戊土爲癸水之官. 以六戊日, 庚申時, 四柱無官印爲合格. 按蜀王己未一造, 土強身旺, 庚申食神泄秀爲用, 官煞爲犯其旺神, 火更傷食神秀氣. 書雲, “庚申時逢戊日, 食神旺之方, 歲月犯甲丙卯寅, 此乃遇而不遇”, 於理正合. 趙丞相己酉一造, 癸水身弱, 當以煞印相生爲用, 有明煞透干, 何用暗合官星? 此造與戚楊知府造相類, 皆宜順其氣勢取用. 見論用神專旺節.
張同全注: 合祿格也沒有意義.
己未、戊辰、戊辰、庚申, 生在比肩之月, 以食神和官星爲喜. 此造出自《三命通會》.
乙酉、癸未、癸未、庚申, 生在七殺月, 以制殺爲喜. 此造出自《淵海子平》. 很多版本的《子平真詮》將此造寫作“己酉、癸未、癸未、庚申”, 是錯誤的, 己酉年根本沒有癸未月.
有棄命保財者, 四柱皆財而身無氣, 舍而從之, 格成大貴. 若透印則身賴印生而不從, 有官煞則亦無從財兼從煞之理, 其格不成. 如庚申、乙酉、丙申、己丑, 王十萬命造也. 運喜傷食財鄉, 不宜身旺. 有棄命從煞者, 四柱皆煞, 而日主無根, 舍而從之, 格成大貴. 若有傷食, 則煞受制而不從, 有印則印以化煞而不從. 如乙酉、乙酉、乙酉、甲申, 李侍郎命是也. 運喜財官, 不宜身旺, 食傷則尤忌矣.
徐注: 從財從煞, 其理一也. 氣勢偏旺, 日主無根, 不得不從其旺勢也. 從財格而有印, 須看印是否通根, 如印無根, 不礙相從. 王十萬造, 丙火無根, 乙木亦無根, 即其例也. 四柱財多而見煞, 則以從煞論. 從財格行運最忌比劫, 倘四柱原有食傷, 則能化比劫而生財, 否則, 不免破格也, 見官煞爲泄財之氣而不美. 從煞格喜行財生煞之運, 印則泄煞之氣爲不美, 比劫非宜, 而食傷制煞爲最忌. 總之, 從格最忌逆其旺勢也.
張同全注: 庚申、乙酉、丙申、己丑, 此造生在正財月, 以乙木生身克去己土傷官爲喜. 此造出自《淵海子平》, 原文爲“以金爲財, 棄命從之, 主富, 其它以凶斷之”. “王十萬”之說不知出自何處. 有的《子平真詮》版本此造爲庚申、乙酉、丙申、乙丑, 明顯錯誤, 丙申日沒有乙丑時.
乙酉、乙酉、乙酉、甲申, 此造在《神峰通考》中論爲“乙木生於八月, 酉金七煞, 與申酉類成金局, 乙與時支庚合, 從煞爲貴也. 金乃主義, 故爲人稟性剛毅, 爲國良臣, 乃尚書命也.”此造在《窮通寶鑒》中則爲“從殺格, 尚書”. 在《四庫全書》本《三命通會》注爲“尚書”, 在《古今圖書集成》本《四庫全書》中爲“蒲尚書”, 其小字注曰“考命書或雲趙尚書李侍郎俱同”. 此造不是從殺格, 此造走官殺運爲背運. 今人蒯大富也是此八字.
有井欄成格者, 庚金生三七月, 方用此格. 以申子辰沖寅午戌, 財官印綬, 合而沖之, 若透丙丁, 有巳午, 以現有財官, 而無待於沖, 乃非井攔之格矣. 如戊子、庚申、庚申、庚辰, 郭統制命也. 運喜財, 不利填實, 餘亦吉也.
徐注: 井欄叉格, 取庚子、庚申、庚辰三日, 要申子辰全. 《喜忌篇》云. “庚日全逢潤下, 忌壬癸巳午之方; 時遇子申, 其福減半”, 其實即金水傷官也. 年上戊土無根, 故以傷官爲用, 特氣勢純粹耳. 最喜行東方財地, 次者北方亦美. 最忌官印, 官煞克身, 印綬制食, 皆逆其旺勢, 所謂巳午之方也. 時遇子, 遁干爲丙子, 露官星, 遇申爲歸祿, 故雲其福減半.
張同全注: 戊子、庚申、庚申、庚辰, 生在建祿比肩月, 但是由於年支子水爲力更大, 所以此造是個真正的雜格, 是不以月令取格的. 此造以戊土克制傷官爲喜. 此造出自《淵海子平》.
有刑合成格者, 癸日甲寅時, 寅刑巳而得財官, 格與合祿相似, 但合祿則喜以合之, 而刑合則硬以致之也. 命有庚申, 則木被沖克而不能刑; 有戊己字, 則現透官煞而無待於刑, 非此格矣. 如乙未、癸卯、癸卯、甲寅, 十二節度使命是也. 運忌填實, 不利金鄉, 餘則吉矣.
徐注: 刑合格取癸亥、癸卯、癸酉三日見甲寅時. 《喜忌篇》云“六癸日時逢寅位, 歲月怕戊己二方”, 蓋四柱須無官煞也. 此格與飛天祿馬、合祿、井攔叉皆從傷官格中分出, 因原局無財官, 乃用倒沖刑合之名詞, 以圓其耳. 如上造乃《滴天髓》之順局從兒格. 從兒者, 從食傷也, 以見財爲美, 大忌金鄉, 克制食傷也. 官亦忌, 即所謂填實, 乃泄財之氣則損日元也. 皆因不明其理, 故曲爲之說耳.
張同全注: 原文乙未、癸卯、癸卯、甲寅, 十二節度使之造錯誤. 此造出自《子平三命通變淵源》, 爲乙未、癸未、癸亥、甲寅, 注爲“十二節使”, 《淵海子平》中此造注爲“節度使”. 乙未、癸未、癸亥、甲寅, 爲食傷制殺之格.
有遙合成格者, 巳與丑會, 本同一局, 丑多則會巳而辛丑處官, 亦合祿之意也. 如辛丑、辛丑、辛丑、庚寅, 章統制命是也. 若命是有子字, 則丑與子合而不遙, 有丙丁戊己, 則辛癸之官煞已透, 而無待於遙, 另有取用, 非此格矣. 至於甲子遙已, 轉輾求俁, 似覺無情, 此格可廢, 因羅禦史命, 聊複存之. 爲甲申、甲戌、甲子、甲子, 羅禦史命是也.
徐注: 遙合有二, 丑遙巳格、子遙巳格是也. 丑遙巳格, 以辛丑癸丑二日, 用丑多爲主, 以丑中辛癸, 遙合巳中丙火. 戊土爲官星, 局中喜有申酉二字, 合住巳字, 忌有子字絆住丑字及巳字填實. 然如章統制辛丑一造, 寅中木火財官可用, 何待於遙? 古歌雲, “辛日癸日多逢丑, 名爲遙巳合官星, 莫言不喜官星旺, 誰信官來大有成”, 則喜見財官明矣. 子遙巳格, 取甲子日甲子時, 以子中癸水遙合巳中戊土, 戊土動丙火, 丙火合辛金, 爲甲木官星, 轉輾求合, 更無理由. 羅禦史甲申一造, 月令雜氣偏財可用, 何須曲爲之說? 實無理取鬧耳.
張同全注: 辛丑、辛丑、辛丑、庚寅, 章統制命, 此造出自《淵海子平》, 此造生在偏印月, 以金水爲喜, 官殺亦喜.
甲申、甲戌、甲子、甲子, 此造出自《淵海子平》, 此造甲木生在偏財月, 但是日時兩子水印星爲力更大, 故而奪月令之格, 真雜格也, 以天干比肩爲喜.
若夫拱祿、拱貴、趨乾、歸祿、夾戌、鼠貴、騎龍、日貴、日德、富祿、魁罡、金神、時墓、兩干不雜、干支一氣、五行俱足之類, 一切無理之格, 既置勿取. 即古人格內, 亦有成式, 總之意爲牽就, 硬填入格, 百無一是, 徒誤後學而已. 乃若天地雙飛, 雖富貴亦有自有格, 不全賴此. 而亦能增重基格, 即用神不甚有用, 偶有依以爲用, 亦成美格. 然而有用神不吉, 即以爲凶, 不可執也.
徐注: 此類格局, 不過四柱清純, 用神而吉, 格外增美, 如是而已, 非可依以爲用也. 參觀雜格一覽.
張同全注: 所謂雜格, 只是年日時奪取月令之格而已也, 只是變化了的正格而已. 所謂的拱祿、拱貴、趨乾、歸祿、夾戌、鼠貴、騎龍、日貴、日德、富祿、魁罡、金神、時墓、兩干不雜、干支一氣、五行俱足等等這個格局, 都沒有格局的意義. 但是這些組合也確實有其特點, 比如日德、魁罡等就有其性格特點.
其於傷官傷盡, 謂是傷盡, 不宜一見官, 必盡力以傷之, 使之無地容身, 現行傷運, 便能富貴, 不知官有何罪, 而惡之如此? 況見官而傷, 則以官非美物, 而傷以制之, 又何傷官之謂凶神, 而見官之爲禍百端乎? 予用是術以曆試, 但有貧賤, 並無富貴, 未輕信也, 近亦見有大貴者, 不知何故. 然要之極賤者多, 不得不觀其人物以衡之.
徐注: 用傷官之忌見官星, 亦猶用官之忌傷, 用印之忌財, 用財之忌劫也. 何格無喜忌, 豈獨傷官? 況官星有喜見不喜見之別乎? 至於格局之不可解者甚多. 我人學識不足, 未窮奧妙,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正不必曲爲諱飾也.
張同全注: 傷官傷盡者, 在傷官篇中已經有這方面的例子了, 這裏不再贅述. 八字種種格局變化萬千, 然總不出陰陽五行之理, 道在心中, 則萬變亦如不變也.
'[정신분석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윤리학 이론의 구상 중에서 (0) | 2014.12.24 |
---|---|
강릉원주대학교 실험실 (0) | 2014.12.12 |
[스크랩] 동양철학 사상 (0) | 2014.12.10 |
[스크랩] 한국칸트학회·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주최 학술대회 (0) | 2014.12.04 |
성격심리학 [personality psychology, 性格心理學] (0) | 201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