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교과과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철학생명의료윤리학 전공

한신학 han theology 2019. 9. 30. 13:55

동아대학교 대학원 철학생명의료윤리학 전공

5. 교과과정

<생명의료윤리학 전공>
1A6301 서양윤리사상연구(Studies in Western Ethics Thought)                                        [3]  
서양윤리사상의 연구를 통해 철학으로서의 윤리학이 어떤 법칙과 과제를 다루어 왔으며, 이를 통해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떠한 방법을 모색해 왔는지를 논의한다.
1A6302 동양윤리사상연구(Studies in Eastern Ethics Thoughts)                                        [3]
동양윤리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힌두이즘, 유교, 불교, 성리학 등의 관점을 집중 연구함으로써 동양전통윤리의 현대적 조명을 시도한다.
1A6303 동아시아 사상과 생명윤리(East Asian Thought and Bioethics)                                 [3]
한국 중국 일본의 사상사를 이루는 사유의 원형을 살펴보고, 각 시대의 사고방식을 규정하는 원형의 수용과 그것 간의 독특한 결합 방식을 논의함으로써 동아시아 생명윤리의 특징을 연구한다.
1A6304 동아시아 문화와 생명윤리(East Asian Culture and Bioethics)                                  [3]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적인 특징을 각국의 자연 인간 사회 개인의 관계에서 조감하고, 서로 간의 차이와 의존을 논의함으로써 동아시아 생명윤리의 특수성을 분석한다.
1A6305 인간의 본질(Human Nature)                                                              [3]
인간의 생물학적 삶과 사회적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총체적인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과 죽음이 가지는 심오한 의미를 연구한다.
1A6306 생명윤리와 현대윤리학(Bioethics and Contemporary Ethics)                                 [3]
현대윤리학의 쟁점들과 이론들에 대한 연구를 생명윤리의 논제들을 해결하는 데 적용해 봄으로써 생명윤리와 관련된 여러 가지 도덕문제에 대한 실제적인 대응책을 연구한다.
1A6307 의료인의 직업윤리(Professional Ethics in Medicine)                    [3]
의료인 사이, 의료인과 환자/환자 보호자, 의료인과 의료 기관 사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갈등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갈등에 대한 정당한 태도 및 평가를 위한 방식을 논의함으로써 의료인에게 요청되는 올바른 직업윤리의 기준을 마련한다.
1A6308 생명철학(Biomedical Philosophy)                                           [3]       
생명에 관한 철학적 관점을 학자별․주제별로 논의함으로써 생명이 가지는 심오한 의미에 대해 연구한다.
1A6310 생명윤리교육 평가(Evaluation of Bioethics Education)                                          [3]
생명윤리 및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하고, 학습자의 관련 능력 향상을 측정하는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1A6311 보건윤리학(Health Care Ethics)                                                               [3]
질병 및 의학적 개념을 고찰한다.
1A6312 임상윤리세미나 1(Seminar in Clinical Ethics 1)                                           [3]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윤리적 해결책을 찾아본다.
1A6314 생명윤리 현장연구(Bioethics Practicum)                                                     [3]
병원윤리위원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등의 운영 및 회의를 참관하여 생명윤리의 이론과 관련 법률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론 개발과 정책 개발을 위한 현장연구를 수행한다.
1A6315 생명의료윤리세미나 1(Seminar in Biomedical Ethics 1)                                  [3]
생명윤리 분야의 전통적인 주제인 인공임신중절, 안락사, 연명치료중단 및 의사조력 자살, 의료자원의 분배와 같은 주제들로부터 공중보건윤리 및 과학연구윤리와 보건의료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등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도록 한다.
1A6317 생명윤리의 법적 이해(Legal Understanding of Bioethics)                                  [3]
생명윤리와 관련된 법률적 규율의 성격을 이해하고 법률이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연구하고, 나아가 법률 제정의 범위와 내용에 대해 연구한다.
1A6318 생명윤리의 법과 정책(Law and Policy for Bioethics)                                           [3]
생명윤리와 관련된 주요 선언과 국제적 지침을 검토하고, 생명윤리 관련 국내 법률의 내용을 검토하고, 관련 정책을 검토하여 개선 방향을 연구한다.
1A6319 생명윤리정책 세미나(Seminar on Bioethics Policy)                                           [3]
생명윤리와 관련된 국내 현안 문제를 중심으로 각 국의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국내 정책 대안을 연구한다.
1A6320 의학연구와 윤리(Medical Research and Biomedical Ethics)                                  [3]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의학 연구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생명윤리 지식과 접근 방법을 습득하고, 특히 신약의 임상시험, 유전자치료 등 첨단 연구의 동향과 흐름을 이해하며 그 윤리적 함의를 살펴본다.
1A6321 의료윤리와 법(Medical Ethics and Law)                                                     [3]
의료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법적 문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1A6322 의료규범론(Theory of Medical Norm)                                                     [3]
의료규범의 일반적 성격과 동서양의 의료규범의 내용 및 변화와 윤리적인 행동규범의 분석 등을 연구․고찰한다.
1A6323 의료법세미나(Seminar in Law of Health Care)                                           [3]
의료상황에 대한 윤리적 분석과 함께 종합법인 의료법 전반에 대해 강의 및 토의를 한다. 특히 삶과 죽음에 얽힌 문제, 자원의 분배에 관한 문제, 인체실험에 대한 문제 등을 문헌분석과 토의를 통해 다룬다.
1A6324 의료행정법(Administrative Law for Health Care)                                           [3]
보건의료와 관련된 행정법을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1A6325 의학사(History of Medicine)                                                               [3]
동양과 서양, 그리고 한국의 의학역사를 고찰한다.
1A6326 첨단생명과학의 윤리적문제(Ethical Problems of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3]
배아줄기세포연구, 이종장기이식연구와 같은 첨단 생명과학 연구와 관련된 생명윤리 문제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
1A6327 생명과학연구윤리와 관리(Research Ethics for Life Science and Management)              [3]
생명과학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 따른 연구윤리의 문제를 다루고, 연구윤리의 주요 쟁점에 대해 연구하며, 책임 있는 과학 연구를 위한 연구윤리 정책 개발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1A6328 연구윤리현장연구(Research Ethics Practicum)                                           [3]
대학의 연구윤리를 심의하는 IRB, 연구진실성위원회 및 연구진실성 사무국, 동물실험관련 윤리위원회 등의 운영 및 회의를 참관하여 연구윤리의 이론과 관련 법률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론 개발과 정책 개발을 위한 현장연구를 수행한다.
1A6329 세포유전학(Cellular Genetics)                                                               [3]
세포내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세포 또는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고, 유전학 연구에 이용하는 체세포 융합기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체세포유전학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을 논의한다.
1A6330 유전체학(Genomics)                                                                         [3]
Genomics는 기술적으로 세포 내에 존재하는 전체 DNA나 RNA를 시료로 사용하여 수행하는 기술들을 내포하는 용어로서, 최근의 유전 정보의 수집, 체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연구분야를 포괄적으로 공부하고, 유전체(genome)의 기능적 대상인 기능유전체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
1A6331 줄기세포 생물학(Stem Cell Biology)                                                     [3]
세포분화에 관여하는 내생적, 외생적 조절기구 및 유전자의 차등적 발현기작을 연구하고, 유전자 차등 발현에 의한 세포 운명의 결정이란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관련 유전자의 cloning, 유전자 산물의 상호작용, 유전자 발현 조절의 메카니즘 등을 다룬다.
1A6333 간호학 세미나(Seminar in Nursing)                                                     [3]
간호의 개념 및 역할, 간호의 대상, 건강과 질병의 개념 그리고 진료차트 읽기와 같은 간호실무를 학습한다.
1A6334 생명윤리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Bioethics)                                           [3]
기술적 및 규범적 접근방법과 더불어 원칙중심주의, 사례중심주의, 공동체주의 접근방법 등과 같은 생명윤리의 논제들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을 익힘으로써, 생명윤리 분야의 학제적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고 연구한다.
1A6335 의료윤리이론(Theory of Medical Ethics)                                                     [3]
임신중절, 안락사, 장기이식, 유전공학과 인간복제 등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문제들과 생명을 갖고 있는 모든 존재들과 연관된 총체적인 생명의 문제들을 윤리적인 측면에서 고찰한다.
1A6336 독성학 및 생리학(Toxicology & Physiology)                                           [3]
독성학 및 생리학에 대한 기초 이론 습득을 통해 임상시험의 과학적 과정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 한다.
1A6337 임상시험과 연구윤리(Clinical Trials & Reserch Ethics)                                 [3]
의임상시험의 의미와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임상시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1A6338 인간대상연구윤리(Human Subject Research Ethics)                                           [3]
인간대상연구와 인체물유래 연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발생하는 전반적인 윤리적 문제점에 대해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1A6339 임상약리학(Clinical Pharmacology)                                                     [3]
임상약리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임상시험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1A6340 의료정의론(Theory of Health Care)                                                     [3]
의료정의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의로운 보건의료자원의 분배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논문연구>
1A6801 석사논문연구(Thesis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2]
1A6901 박사논문연구 1(Thesis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1)       [2]
1A6901 박사논문연구 2(Thesis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