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동서양의 자연관과 기독교 환경윤리

한신학 han theology 2019. 1. 24. 16:24

책소개

기독교 환경윤리의 철학적 신학적 토대에 대한 진지한 물음을 담고 있는 책이다. 현대 환경의 위기를 산업사회의 문제라는 과학기술적 관점에서 볼 수도 있겟지만,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보면 정신의 문제이며, 그것은 곧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자연관의 문제라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필자는 우선 환경문제에 대한 서론적 사항들과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자주 언급되는 기본 개념들(환경, 생태계, 창조질서)와 거기에 함의된 세계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런 다음 그리스 자연철학자부터 동양 각 종교의 자연관, 특히 한국 종교인 천도교와 원불교에 나타난 자연관을 다루면서 서양과 동양의 자연 이해를 개괄한다.

[예스24 제공]

 

저자소개

조용훈

장로회신학대학 및 동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본 대학에서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남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현대인과 성서』,『현대 기독교윤리학의 동향』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제1부 예비적 고찰 : 상황 인식과 개념 분석
제1장 현대 환경문제의 현황과 원인
1. 환경문제란 무엇인가?
2. 현대 환경문제의 특징
3. 환경문제의 현황
4. 환경문제의 원인
5. 맺는 말
제2장 환경ㆍ생태계ㆍ창조 질서 개념의 환경윤리적 함의
1. 서론
2. 자연
3. 환경
4. 생태계, 생태학, 생태학적 사고
5. 창조와 창조 질서
6. 맺는 말
제2부 세계관적 토대 : 동서양의 자연관
제3장 서양의 자연관
1. 서론
2. 고대 그리스의 자연관
3. 중세의 자연관
4. 근대 서구의 자연관
5. 현대 물리학과 생물학에서의 새로운 자연 이해
6. 요약
7. 맺는말 : 서양의 자연관에 대한 기독교 환경윤리적 평가
제4장 동양의 자연관
1. 서론
2. 힌두교 : 신비와 외경의 대상으로서의 자연
3. 불교 : 존재의 상호 의존성과 일체 생명체에 대한 자비
4. 유가 : 자연에 대한 인간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
5. 주역 : 자연의 역동성
6. 도가 :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합일
7. 요약
8. 맺는 말 : 동양의 자연관에 대한 기독교 환경윤리적 평가
제5장 한국 종교(천도교, 원불교)의 자연관
1. 서론
2. 천도교(동학)의 자연관
3. 원불교의 자연관
4. 한국 종교의 자연관에 대한 기독교 환경윤리적 평가
5. 맺는 말
제3부 신학적 기초
제6장 환경 위기의 원인 논쟁과 기독교
1. 서론
2.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들
3. 기독교의 반응과 응답
4. ‘하나님의 형상’ 개념과 ‘땅의 지배’ 명령의 환경윤리적 의미
5. 맺는 말
제7장 창조신앙과 기독교 환경윤리
1. 서론
2. 서구의 신학 전통에서 창조 신앙의 소외
3. 환경윤리의 창조신학적 기초
4. 맺는 말
제8장 생태학적 신관과 기독교 환경윤리
1. 서론
2. 생태학적 신 이해
3. 생태학적 기독론
4. 생태학적 성령론
5. 맺는 말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네티즌 리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이 책의 리뷰는 블로그에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이 책이 속한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