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학술연구 > 화이트헤드 > 과정철학과 한국사상 (문헌 목록들)

한신학 han theology 2018. 4. 15. 17:46
Process Thought and Korean Thought
 강국희. “The Unification Thought in View of Korean Foods.” Process Thought and East Asian Culture: Philosophy and Korean Culture, (May 2004): 65-76.
강성도.  종교다원주의와 구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_______.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입문.  서울: 조명문화사, 1992.
_______.  “Beyond Whitehead with God.”  World-Theology 15 (Summer 1992): 121-46.
_______.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Korean Buddhism: Updating Pojo Chinul through Mutual Transformation with Alfred North Whitehead.”  Ph.D. Dissertation, Claremont Graduate School, 1992.
고목. “화이트헤드 철학의 선사상(禪思想).” 화이트헤드 연구, 제 3집 (2000): 71-110.
_______. “화이트헤드와 선불교.”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285-310.
고영운.  “Han Philosophy and Process Philosophy: The Subject-Object Relational Paradigm of Whitehead and Han Philosophy.”  [Paper presented at the Silver Anniversary International Whitehead Conference, Claremont, August 4-9, 1998].
고인석. “인간의 정신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41-62.
_______. “화이트헤드와 현대 과학철학.”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75-105.
그리핀, David Ray.  화이트헤드 철학과 자연주의적 종교론: 초자연주의를 넘어서는 종교를 지향하여.  장왕식, 이경호옮김.  고양: 동과서, 2004.  [Reenchantment without Supernaturalism: A Process Philosophy of Religio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_______. 포스트모던 하나님, 포스트모던 기독교.  강성도 옮김. 서울: 조명출판사, 1995. [God and Religion in the Postmodern World: Essays in Postmodern Theology. Albany: SUNY, 1989].
_______. “Global Imperialism and Reconstructive Postmodernism.”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동아시아 사상, (May 2004): 111-135. 이경호 역, 137-156.
_______. “Being Bold: Anticipating a Whiteheadian Century.”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15-34.
그린, Herman F. “Nature as a Source of Knowledge in Theology: Overcoming the Bifurcation of Revealed and Natural Theolog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여성학과 생태학, (May 2004): 77-102.
김 K.W.  “Postmodernism and Theology.”  World-Theology 14 (Spring 1992):  67-86.
김경일. “Chong Yag-Yong's Study on the Book of Changes and Process Philosophy.”  [Paper presented at the Silver Anniversary International Whitehead Conference, Claremont, August 4-9, 1998.]
김경재.  울타리를 넘어서: 대승기독교인의 삶과 노래.  서울: 유토피아, 2005. [Beyond Boundary: The Life and Songs of Mahayana Christians].
_______. 이름없는 하느님.  서울: 삼인, 2002. [God with No Name].
_______.  그리스도교 신앙과 영성.오산: 한신대학교출판부, 1997. [Christian Faith and Spirituality].
_______.  문화신학 담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A Discourse on the Theology of Culture].
_______.  해석학과 종교신학: 복음과 한국종교와의 만남.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4. [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Asian Religions].

_______.  종교다원시대의 기독교영성.  서울: 다산글방, 1992. [A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Age of Religious Pluralism].
_______.  폴 틸리히 신학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_______.  “지구적 생명현상에 대한 신학적 고찰.”애농회-정농회 강연, (2005. 3), in http://www.soombat.org/article/article.html.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henomena of Global Lives”].
_______.  “수운의 시천주체험과 동학의 신관.” (1998. 8), in http://www.soombat.org/article/article.html. [“Suun’s Experience of Bearing God and Donghak’s Theism”].
_______.  “Whitehead's Process Thought and Yulgok's li-chi Theory.”  신학사상 54, no.3 (August 1986):  523-51.
_______.  "유기체 철학과 생명의 연대성."  신학연구 29 (별쇄) (1988. 11): 79-113.
_______.  “과정사상과성리학의 이기설.”기독교사상, (1988. 8): 108-119.
_______.  과정신학과 불교, 존 캅저. 김상일 역.기독교사상 354, (1998. 6): 124-126. [서평]
_______.과정형이상학과 화엄불교, 스티븐 오딘 저.  화이트헤드 연구, 제 3집 (2000): 137-142. [서평]
_______,김상일 엮음.과정철학과 과정신학. 서울: 전망사, 1988.
김병수.  "Han Medicine and Russell's Paradox."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김병준. “Chaos에서 Chaosmos로 : 제3차화이트헤드 국제학회 참관기.”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313-321.
김봉진.  "Public Philosophy and Han Thought."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김상일.한의학과 러셀 역설 해의: 음양오행론으로 현대 논리학의 난제 풀어보기.서울: 지식산업사, 2005.
_______. 수운과 화이트헤드: 동학주문 21자에 대한 과정철학적 풀이. 서울: 지식산업사, 2001.
_______. 동학과 신서학: 세계철학 창조를 위한 최수운, 켄 윌버, 존 캅의 대화.  서울: 지식산업사, 2000.  [The Structure of Donghak Existance].
_______. 역설과 조작의 시대.  서울: 한사상연구원, 1998.
_______.  화이트헤드와 동양철학.  서울: 서광출판사, 1993.  [Whitehead and Eastern Philosophy].
_______. 퍼지와 한국문화: 퍼지바람과 신바람의 만남.  서울: 전자신문사, 1992.
_______. 한밝 문명론: 한민족 통일의식의 기원과 역사.서울: 지식산업사, 1988.  [The Origin and History of Han Consciousness].
_______. 한민족 의식 전개의 역사.  [한밝문명론 개정판].서울: 지식산업사, 2004.
_______. “Liar Paradox and Process Philosophy.”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273-312.
_______. “Liar Paradox and Process Philosophy.”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167-202.
_______. “화이트헤드와 원측의 유식불교.”  화이트헤드 연구, 제6집 (2003. 6): 135-166.
______. "대순사상의 형성과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97-122. [abstract]
_______.  “Korean Transformation of Buddhism in the Seventh Century: A Process View.”  Ph.D. Dissertation, Claremont Graduate School, 1982.
_______.  “The Liar’s Paradox and Holographic Paradigm.”  [Paper presented at the Center for Process Studies Seminar, Process Member Paper 19:3].
    _______. 세계철학과 한, 一과 多의 문제로본 東西哲學의 비교. 서울: 전망사, 1989.
_______, 노영찬 엮음.  Hanism as Korean Mind.  Los Angeles: The Eastern Academy of Human Sciences, 1984.
김성내. “The Fortune-seeking mentality in the Korean Shamanistic Tradition.” Whitehead, Religion, and Psychology, (May 2004): 12-21.
김성원. “A Study of Neo-Whiteheadian Robert C. Neville’s Theory of Creation.”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63-78.
김수전. “무구정경에 나타난 8세기한국서예의 비정형적 구조.”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한국문화, ( May 2004): 41-64.
김영옥.  “A New Human Science Based on Acupunctural Epistemology.”  [Paper presented at the Silver Anniversary International Whitehead Conference, Claremont, August 4-9, 1998.].
김영진. “들뢰즈와 화이트헤드의 시간론에 관한 연구.”  화이트헤드 연구, 제 10집 (2005. 6): 49-88.
_______. “새로운 형이상학은 가능한가?: ‘개체성’문제를 중심으로”  화이트헤드 연구, 제 11집 (2005. 11): 41-67.
_______. “화이트헤드와 유식론.”  화이트헤드 연구, 제 6집 (2003. 6): 103-134.
김영호. “Symphonic Variations on Common Motifs—the Commonality and Continuity of Modern Religious Movements: Korean Religion in the Making.”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동아시아 사상, (May 2004): 157-178.

김용환.  "The Public Philosophical Encounter Between Process and Han."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김은중. “플라톤의 형상-개별자 이론과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영원적 객체 이론.”  화이트헤드 연구, 제 3집 (2000. 12): 31-50.
김은혜. “Changing Worldview in the East and in the West: Focused on Time and Space in I Ching.”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동아시아 사상, (May 2004): 81-95.
김정엽. “Incommensurable Processes: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Whiteheadian metaphysics and Daoist ’Metaphysics’ of Ancient China.”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동아시아 사상, (May 2004): 69-80.
김종서. "더 넓은 '대순사상'의 이해를 향하여."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123-146.[abstract]
김찬희, 존캅. “Theology and the Future.”  Modern Praxis 1 (1985): 242-54.
김한진. “What is a Meridian?: Difference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Process Thought and East Asian Culture: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May 2004): 67-87.
김호진. “Process Theological Contemplation on God’s Jeong.”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121-143.
김흡영.  “Being in Non-Being: A Study of Ryu Young-mo’s Christodao.”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27-40.
김희헌.  "Minjung Messiah and Process Panentheism." (March 20, 2007) [A paper presented in the seminar of The Center for Process Studies, Claremont, CA].
노영찬. “East Asian Worldview and Korean Process: Confucian Values, Shamanistic Impulse, and Christian mentalit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주제강연, (May 2004): 37-57.
_______. “Mystical Vision and Postmodern Mentality, and the Element of ‘Suddenness.’”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163-177.
노부하라, Tokiyuki. “How Can the Whiteheadian God Be ‘With’ Us in Silence, even Before Calling Us, in Order to Be Proved True? Phases of Mysticism in D. T. Suzuki’s Zen Thought and Whitehead’s Metaphysics.”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51-62.
노정선.  "Joshua Syndrome and Preventive Economy for Peace."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노태구.  "What is New Nationalism in Korea? Reunifying Korea, Peacefully."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다케다, Ryusei.  “Process Thought and Buddhist Thought in the Light of Whitehead’s Criticism of Buddhism.”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주제강연, (May 2004): 29-35.

대순진리회교무부,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출판부, 1982).
류승국, "역리상으로 본 동북아시아의 세계사적 위상과 전망."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33-66. [abstract]
류재갑, "대순사상의 '인존'과 '상생': 그 현대적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189-218. [abstract]
맥다니엘, Jay.  “Process Theology as a Bridg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동아시아 사상, (May 2004): 39-58.
맥라렌, Glenn. “Health, Order and Chaos: Finding the Right Balance for Sustained Democracy in South Korea.”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사회과학, 자연과학, (May 2004): 15-24.
메슬, Bob.  “Teaching about Suffering and Meaning.” Process Thought and East Asian Culture: Philosophy and East Asian Thoughts, (May 2004): 213-221.
모세, Gregory J. “Process Relational Thought and God Beyond the bastard dualisms: How to do better than Radical Orthodox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95-108.
문창옥.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의 이해. 서울: 통나무, 1999.
_______엮음.  화이트헤드와 현대. 고양: 도서출판 동과서, 2002.
_______. “ ‘관념의 모험’으로서의 사변철학.”  화이트헤드 연구, 제 5집 (2002): 7-28.
_______. “예측명제의 합리성: 흄과화이트헤드의 경우.”화이트헤드 연구, 제 3집 (2000): 51-70.
_______. “자연과학, 자연철학, 화이트헤드.”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89-113.
_______. “존재와 시간: 베르그송, 하이데거, 화이트헤드.”  화이트헤드 연구, 제 10집 (2005): 89-114.
_______. “창조성과 궁극자의 범주.”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53-75.
_______. “화이트헤드와 포스트모더니즘.”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43-71.
바우만, Donna. “The Depth of the Contingent: What Really Matters in Whitehead’s World.”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145-162.
박광희.  "An Archetype of Relational Meta-Harmony [Han] in the Tangun Myth."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박남희. “실재와 운동의 비의: 느낌의 유혹으로서의 현실존재에서 이해의 운동으로 나아가기.”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May 2004): 18-33. [“Confidential Meaning of Reality and Movement”].
박상태. “A. N. 화이트헤드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115-138.
_______. “영원한 객체의 존재론적 지위.”  화이트헤드 연구, 제 7집 (2003. 12): 25-68.
_______. “유기체 철학의 방법론으로서의 사변 철학.”  화이트헤드 연구,  제 10집 (2005. 6): 9-47.
_______. “화이트헤드 유기체 철학의 작용인과 목적인.”  화이트헤드 연구, 제 5집 (2002): 85-112.
_______.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서 현실적 존재 (actual entity)의 추상성.”  화이트헤드 연구, 제 3집 (2000): 7-30.
_______.교육의 목적, 알프레드 노오스 화이트헤드 저.  화이트헤드 연구, 제 11집 (2005. 11): 97-102. [서평]
박성호. From Hurt to Healing: A Theology of the Wounded. Nashville: Abingdon Press, 2004.

_______.  The Wounded Heart of God: The Asian Concept of Han and the Christian Doctrine of Sin.  Nashville: Abingdon Press, 1993.

_______. “Mut, Peace, and Empire Building.”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11-25.

_______.  “Minjung and Process Hermeneutics.”  Process Studies 17, no.2 (Summer 1988): 118-26.

_______.  "Wars, Hahn, Jung, Mut (Peace), and Han: A Process View."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박성호, 수잔 넬슨 엮음.  The Other Side of Sin: Wounde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nned-Against.  Albany: SUNY, 2001.
박재주. “주역의 직관과 화이트헤드의 파악.”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177-221.
박진순. “Language vs. Perception: Explaining Religious Experience from a Whiteheadian Perspective.”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139-165.
_______.  “Pannenberg, Niebuhr, and Whitehead on the Idea of Human Freedom.” [Paper presented at the Silver Anniversary International Whitehead Conference, Claremont, August 4-9, 1998].
_______.  “Parapsychology, Science, and Whitehead,” (in Korean).  [Paper presented at the Han Conference, Los Angeles, August 8, 2000].
_______. “화이트헤드 인식론: 상대주의를 넘어서.”  화이트헤드 연구, 제 6집 (2003. 6): 43-71.
_______. “화이트헤드와 새로운 인식론.”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23-42.
박휴용. “교육의 리듬(The Rhythm of Education)”의 창조성에 관한 고찰.”  화이트헤드 연구, 제 7집 (2003. 12): 107-138.
백은미. “The Roles of Religious Education on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the Information Age: From the Wisdom of Feminist and Process Thought.”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여성학과 생태학, (May 2004): 127-142.
베이커플레처, Karen.  “Why Womanist Theology? Process Relational Reflections.”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주제강연, (May 2004): 87-109.
_______. “Whiteheadian Metaphysics as a Resource for Womanist Theolog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79-94.
손창희.  Hann of Minjung Theology and Han of Han Philosophy: In the Paradigm of Process Philosophy and Metaphysics of Relatedness.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0.
송성진.  사랑의 하나님과 본래적 실존.  서울:  한들출판사, 2000. [God of Love and Authentic Existence].
_______. “구속과 성화: 과정구원론.”  화이트헤드 연구, 제 10집 (2005. 6): 115-130.
_______. “화이트헤드의 신과 세계에 관한 사상.”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243-272.
_______. “Salvation and the World: A Soteriological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Society of Buddhist-Christian Studies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June 3-8, 2005).
_______. "A Theological Encounter with Chinul's Buddhist Thought on the True Mind." (the 6th International Whitehead Conference, July 3-6, 2006).
스텀, Douglas. “노동문제와 활력이 넘치는 민주주의: 확장된 자아의 지평을 향하여.”이현휘 역,  화이트헤드 연구, 제 7집 (2003. 12): 165-197.
신철균, "선천 상극 문명 세계와 후천 새 지상선경."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147-188.[abstract]
아메스, Roger T. “In Whitehead’s Wake: Reading Confucius to Reconstruct Confucius.”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동아시아 사상, (May 2004): 179-204.
_______. “Making This Life Significant: The Serious Business of Creativit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주제강연, (May 2004): 59-85.
안형관. “화이트헤드와 화엄불교.”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225-281.
_______. “Whiteheadian Studies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Second International Whitehead Conference, Nanzan University, Japan, August 1984]
_______.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사유가 거쳐간 모험의 여정: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의 이해,  문창옥저.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203-210. [서평]
양무목, "대순사상의 형성과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67-96. [abstract]
양우석. “화이트헤드와 헤겔의 인식론.”  화이트헤드 연구, 제 7집 (2003. 12): 69-105.
오S.Y.  “A Study on Charles Hartshorne's Neo-Classical Theism.”  World-Theology 14 (Spring 1992):  87-117.
오드, Thomas Jay. “Relational Love and the Problem of Evil.”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109-119.
오영환.  화이트헤드와 인간의 시간경험.서울: 통나무, 1997. [Whitehead and Human Experience of Time].
_______. “화이트헤드의 교육론과 유기체 철학.”  화이트헤드 연구, 제 7집 (2003. 12): 9-24.
오인동.  "Corea, Beautiful! Tracing the Origin of the Corea and Historical Survey of Corea/Korea."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윤석산.  "The Meaning of Donghak Thinking in the Post-Modern Period."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윤자정. “화이트헤드의 입장에서 본 미적 경험과 예술의 의미.”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152-178.
_______. “화이트헤드의 지각론과 미적 경험.”  화이트헤드 연구, 제 6집 (2003. 6): 9-42.
이경원.  "Properties of Korean Native Religions and the Daesoon Philosophy."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_______. "대순진리회 연원, 도주 조정산의 종교체험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249-271. [abstract]
이도흠.  "A Comparative Study on the Hwajaeng Buddhism and Post-modern Philosophy."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이동희. “성리학 명제에 대한 과정철학적 분석.”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12): 181-211.
_______. “주자이기론과 과정철학: 우주형이상학으로서의 유사성.”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141-176.
이상복. “Process Thought of Concrescence and the Phases of Group Development: A Model of Group Psychotherapy.” Process Thought and East Asian Culture: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May 2004): 97-108.
이상성. “유기체의 철학에 대한 신과학의 관점에서의 재평가.”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사회과학, 자연과학, (May 2004): 89-96.
이상하, 최종덕. “기술결과측정의 시민참여와 화이트헤드의 공재적 의사판단 구조.”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63-88.
이성은. “The Process Worldview and a Vision of Korean Education.” Process Papers: An Occasional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for Process Philosophy of Education 8 (March 2004): 26-41.
_______.  “The Aim of Education: From Rhythm to Holarchy.” Process Thought and East Asian Culture: Education, (May 2004): 55-73.
이찬구. “수운의 천주와 과정철학.”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철학과 한국문화, (May 2004): 23-40.
이천수.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이태호. “‘창조성, 다자, 일자’와 ‘사물, 있는것, 존재자’의관련성.”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76-98.
_______. “화이트헤드의 범주도식에 있는 원리들의 상관관계 – 상대성 원리를 중심으로.”  화이트헤드 연구, 제 5집 (2002): 29-83.
_______. “화이트헤드의 환경철학에 관한 소고: 상대성원리를 중심으로.”  화이트헤드 연구, 제 11집 (2005. 12): 69-95.
_______.  “A. N. Whitehead의 상대성원리와 범주도식.”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2001.  [abstract]
이현휘. “화이트헤드와 사회번혁의 조건.”  화이트헤드 연구, 제 6집 (2003): 73-101.
_______. “미국혁명의 종교적 기원(1): 화이트헤드와 탈근대 역사학의 새로운 지평.”  화이트헤드 연구, 제 11집 (2005. 11): 9-40.
이활웅.  "Did the U.S. Want a Korean War?"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장왕식. “과정우주론의 두 유형: 화이트헤드와 선불교.”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212-242.
_______. “동서문명론의 문제점과 화이트헤드적 대안.”  화이트헤드 연구, 제2집 (1999): 9-40, 211-212.
_______.  “A Philosophical Eval!uation of Western and Eastern Civilization from a Whiteheadian Perspective.”  [Paper presented at the Center for Process Studies Seminar, June 26, 2001, Process Member Paper 24:2]
_______. “화이트헤드 철학과 기독교.”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313-342.
_______. “The Problem of Transcendence in Chinese Religions from a Whiteheadian Perspective.” Whitehead and China: Relevance and Relationship, eds. Wenyu Xie, Zhihe Wang, and George E. Derfer. Frankfurt: ontos Verlag, 2005, 101-112.
_______. 동학과 신서학, 김상일 저.이화여대신문 (2001. 4. 2). [서평]
장원석. “周易에서시간이란 무엇인가?화이트헤드의 시간의 획기성 이론과 비교하여.”  화이트헤드 연구, 제 3집 (2000): 111-136.
_______.  "Comparative Study of Process Philosophy and the Korean Tradition Today."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전병기. “과학적 신학의 문화적 의미.”  화이트헤드 연구, 제 7집 (2003. 12): 139-163.
_______. “화이트헤드와 현대 물리학.”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107-137.
_______. “화이트헤드의 지속과 미시세계: 영역의 동적 의미.”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128-151.
정강길.  화이트헤드와 새로운 민중신학: 민중신학의 패러다임과 대 전환 – 한국식 과정신학.  고양: 도서출판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정대진, "대순진리회와 대순종지."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13-36. [abstract]
정성태. “A Process Eschatolog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178-193.

정연홍. “화이트헤드, 무어와 러셀의 존재론.”  화이트헤드 연구, 제4집 (2001): 3-22.
조용현. “공생, 합생, 그리고 창발성.”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101-127.
최상균. “우주변화의 원리와 과정의 원리.”  화이트헤드 연구, 제 6집 (2003. 6): 167-193.
_______.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과 현대생명과학.”  화이트헤드 연구, 제 5집 (2002): 113-134.
최승태. “A Process Ecclesiology: for the Restoration of the Communality of the Korean Church.”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과정신학, (May 2004): 41-50.
최용기. “Han-Philosophie und Verfassungsrecht -- Eine Analyse der Verfassungen von Sud-und Nordkorea.”  Bonn: Institut fur Koreanische Kultur, 1988.  (Schriftenreihe Band 2, ed., K. S. Kuh)
최종덕. “창조를 낳는 연속성의 철학적 상상력.”  화이트헤드 연구, 창간호 (1998): 37-52.
최희안.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of God and Korean Women’s Reality in the Perspective of Process Theology.”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여성학과 생태학, (May 2004): 167-177.
캅, John B. Jr.  과정신학과 목회신학.  이기춘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Theology and Pastoral Care: Process Theology and Pastoral Theology.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7].
_______.  과정신학과 불교.김상일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8.  [Beyond Dialogue: Creative transformation of Buddhism and Christianity.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_______.  은총과 책임. 심광섭옮김.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7.  [Grace and Responsibility: A Wesleyan Theology for Today.  Nashville: Abingdon Press, 1995].
_______. 제니퍼를 위한 기도.강성도 옮김.서울: 조명출판사, 1993.  [Praying for Jennifer: An Exploration of Intercessor Prayer in Story Form.  Nashville: The Upper Room, 1985].
_______. 존재구조의 비교연구: 과정신학의 기독교 이해. 김상일 옮김.서울: 전망사, 1980. 
_______. 종교다원주의와 오직예수. 강성도 옮김. 서울: 조명출판사, 1992.  [Doubting Thomas: Christology in Story Form. New York: Crossroad, 1990].
_______. “Why Whitehead?”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주제강연, (May 2004): 7-20.
_______.  “Whitehead and Science.”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사회과학, 자연과학, (May 2004): 57-66.
_______. “종교다원주의를 넘어서,” [Both in English and Korean],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초청강연회, 2004. 5.21.
_______.  “Welcome to Korean Immigrant Christians.”  World-Theology 14 (Spring 1992): 155-163.
 _______. “Minjung Theology and Process Theology.”  An Emerging Theology in World Perspective:  Commentary on Korean Minjung Theology,  ed. Jung Young Lee.  Mystic: Twenty-Third Publications, 1988, 51-56.
_______.  “On Han Philosophy.”  Hanism as Korean Mind, eds. Sang Yil Kim and Young Chan Ro. Los Angeles: The Eastern Academy of Human Sciences, 1984, 8-9.
_______.  “Process View on Yin and Yang.”  Hanism as Korean Mind, eds. Sang Yil Kim and Young Chan Ro.  Los Angeles: The Eastern Academy of Human Sciences, 1984, 45-50.
_______.  “Process Thought and the East Asian Mind." [lecture at the Conference on Process and Han],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존캅, 데이비드 그리핀 공저.  과정신학.  류기종 옮김. 서울: 도서출판 열림, 1993. [John B. Cobb, Jr. and David Ray Griffin.  Process Theology: an introductory exposi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6].
켈러, Catherine. “Connections of Difference: Sexes and Ecologies.”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주제강연, (May 2004): 21-27.
하정남. “Feminism and Feminine Spirituality in Won Buddhism.” 과정사상과 동아시아 문화: 여성학과 생태학, (May 2004): 13-26.
허티그, Paul.  "Fool's Gold: Paul as Fool for Christ and the Emerging Church." [Conference paper presented at Process and Han Conference],Claremont School of Theology, Feb. 1-2, 2007.
홍정수. “‘Kae-byuk’ as an Alternative for the ‘Resurr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Center for Process Studies Seminar, 1993]
화이트헤드, Alfred North.  사고의 양태. [1992] 오영환 옮김.서울: 다산글방, 2003. [Modes of Thought.New York: Free Press, 1938].
_______.  관념의 모험. 오영환옮김.서울: 한길사, 1996. [Adventures of Ideas. New York: Macmillan Company, 1933].
_______.  과정과 실재: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 [1991]. 서울: 민음사, 2003.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 [1929]. New York: Free Press, 1978].
_______. 교육의 목적. 오영환 옮김.  서울: 궁리출판, 2004. [The Aims of Education and Other Essays. New York: Macmillan Company, 1929].
_______. 이성의 기능.  정연홍 옮김. 서울: 이문출판사, 1989. [Function of Reason. [1929], Boston: Beacon Press, 1958].
_______. 상징작용—그 의미와 효과.  정연홍 옮김.서울: 서광사, 1989. [Symbolism: Its Meaning and Effect. [1927], New York: Capricorn Books, 1959].
_______.  형성과정에 있는 종교.  정강길 옮김. 고양: 동과서, 2003. [Religion in the Making. [1926],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1974].
_______.  과학과 근대세계. 오영환 옮김.  서울: 서광출판사, 1989. [Science and the Modern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6].
황선명, "한국 종교사에 있어서 대순진리 종교사상의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1집 경기도 포천시: 대진대학교부설 대진학술원, 2007, 219-248.


'(NAMGUNGE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과 신서학  (0) 2018.04.16
동아시아학  (0) 2018.04.16
Jacob Jude Jude 3J TQM  (0) 2018.04.15
시몬 [Simon]  (0) 2018.04.15
유다 [Jude]  (0) 2018.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