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한신학 han theology 2017. 11. 25. 15:04

현대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과학기술의 발달과정과 내용, 그리고 그것의 사회적 함의를 철학적 시각에서 살펴보는 책. 과학기술학의 최근 이론적 성과를 소개하는 1부와 이를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제1부 이론적 기초
제1강 지식과 진리_이유선
제2강 토마스 쿤과 과학혁명의 구조_이상욱
제3강 환원주의란 무엇인가_이상욱
제4강 과학사회학의 최근 경향: 사회 구성주의를 중심으로_홍성욱
제5강 기술사회학의 최근 경향_홍성욱
제6강 과학기술과 여성_이은경
제7강 과학과 윤리_김명식
제8강 생태위기: 그 뿌리와 전망_송상용
제9강 유교의 진리탐구 방법론: 격물치지론_김용헌
제10강 자연에 대한 통찰과 삶의 기술 : 도가의 자연주의_박원재
제2부 사례 연구
제1강 모기와 말라리아_이상욱
제2강 양자역학의 기묘한 세계_이상욱
제3강 유전자에 관한 진실_장대익
제4강 유전공학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성찰_장대익
제5강 로봇은 인간이 될 수 없나_이유선
제6강 “제국의 신경망”: 과학과 제국주의_박민아
제7강 거대과학의 성장과 위기: 입자가속기의 경우_박민아
제8강 과학자의 리더십 I: 유럽의 경우_김동원
제9강 과학자의 리더십 II: 미국과 일본의 경우_김동원
제10강 한국의 서양과학 수용과 발전_김동원
제11강 근현대 일본 과학의 발전과정: 개항부터 2차대전
종전까지_김동원
제12강 과학은 비즈니스?: 갈릴레오와 후원(patronage)_박민아
제13강 파놉티콘(Panopticon): 감시와 역감시의 역사_홍성욱
제14강 “과학 전쟁(Science Wars)”: 그 배경과 논쟁점_홍성욱
제15강 정보화와 생활세계의 변화_이유선
제16강 조선후기 서양과학의 수용과 주자학적 사유의 변화_김용헌
제17강 한국의 전통과학(천문): 전통시대 천문역법의 정치사상적 이해_구만옥
제18강 근대과학 비판의 관점에서 본 유교 사상_김용헌
제19강 과학과 종교: 적인가, 남인가, 아니면 친구인가_장대익
제20강 과학기술에서 공학 윤리적 분석과 의사결정: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의 참사를 중심으로_김준성


[알라딘 제공]

네티즌 리뷰

(1건)
  • 과학기술의 철학적이해
    2014.11.23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작가 한양대학교과학철학교육위원회 출판 한양대학교출판부 발매 2004.02.20 리뷰보기 과학
    기술의 철학적이해란 인문학 전공자에게는 과학기술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자연과학 전공자들...
    http://blog.naver.com/lki6767/220189276787 작성자명 : lki6767| 블로그명: 과거와 미래의 끊임없는 대화

이 책이 속한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