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한신학 han theology 2017. 9. 20. 11:45
 
연관 논문
중등단계 직업교육 규모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비교 -
공업계 고교 전문교과 예비 교사 양성 현황과 필요 교육 요소 분석 -
연구 논문 : 경기도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국외체험 연수과정이 직업교육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공업계열 고등학교 역할과 기능의 우선 순위에 관한 공업교육 전문가 인식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직무 영역과 영역별 직무 내용)를 구명하고, 구명된 직무에 대해서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 곤란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으로 구안하였다. 구안된 직무의 내용을 현장 교사 전문가 16명과 교사 교육 전문가 3명의 검토를 통하여 직무 모형을 완성하였다. 직무 모형을 바탕으로 최종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중영역 포함 10개)로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무·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과지도 영역은 수업 준비 및 계획, 수업 운영, 학습 평가 3개 영역, 학생지도 영역은 교과외 학생지도, 생활지도 2개 영역,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무·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총 7개 영역(중영역 포함 10개 영역)의 4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는 4.10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곤란도는 3.45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빈도는 3.12로 보통 수준(한 달에 1-3회 정도 수행)으로 나타났다. 직무 중요도가 높은 영역은 학습 평가(4.32), 수업 준비 및 계획(4.28), 전문성 신장(4.27), 수업 운영(4.26), 생활지도 (4.25), 학급 경영(4.17),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1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곤란도가 높은 영역은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07), 교육과정 편성·운영(3.73), 전문성 신장(3.55), 생활지도(3.48), 학습 평가(3.35), 교과외 학생지도(3.2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빈도가 높은 영역은 학급 경영(3.88), 수업 운영(3.77), 생활지도(3.52), 교무·행정 업무(3.40), 수업 준비 및 계획(3.17)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utie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nd analyze job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perceived by teachers. For deducing the dutie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they were theoretically devised by reviewing related legislations & regulations and domestic & overseas literatures. The devised duties were reviewed by 16 current teachers and 3 education expert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complete the job model. Based on this, development of research tool was finalized,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job categorie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consisted of 7 categories that are subject instruction, student instruction,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school affairs & administrative duties,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and expertise enhancement. Based on the CFA, they consisted of 46 sub-factors in 10 categories with 3 categories of lesson preparation & planning, lesson administration and academic evaluation for subject instruction, and 2 categories of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and school life guidance for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school affairs & administrative duties,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and expertise enhancement. Second, job importance perceived by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was found to be high overall with 4.10, while above average in difficulty with 3.45 and average in frequency of performance with 3.12 (1-3 times a month). As for categories with high job importance, the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academic evaluation (4.32), lesson preparation & planning (4.28), expertise enhancement (4.27), lesson administration (4.26), school life guidance (4.25), class management (4.17) and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4.12). In regards to categories with high job difficulty, the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4.07), curriculum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3.73), expertise enhancement (3.55), school life guidance (3.48), academic evaluation (3.35) and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3.22). As for categories with high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the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class management (3.88), lesson administration (3.77), school life guidance (3.52), school affairs & administrative duties (3.40) and lesson preparation & planning (3.17).
 
 
 교사 직무직무 중요도직무 곤란도직무 수행 빈도teacher jobjob importancejob difficultyfrequency of job performance
 
 
도움말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추천자료
공업교육의 체제와 현황, 공업교육의 과정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의미,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중요성,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주요 영역,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진로교육(진로지도), 진로교육(진로지도) 사례, 향후 진로교육(진로지도)의 활성화 과제
[교육학] 실업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직업교육, 직업훈련] 직업교육(직업훈련)의 변화, 다양화, 필요성과 직업교육(직업훈련)의 실태, 각 나라별 비교 및 향후 직업교육(직업훈련)의 방향, 직업교육(직업훈련)의 질적 개선 과제 분석
[실업계고등학교, 실업계교육]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개념, 위기와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현황, 문제점 및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향후 발전 방안 분석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정]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역사와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현황, 문제점 및 향후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분석
[진로교육, 진로지도] 진로교육(진도지도)과 진로결정, 진로교육(진도지도)의 필요성, 진로교육(진도지도)의 유형과 방법, 실업계학생의 현황, 실업계학생의 진로교육(진도지도) 방향 분석
[실업계고등학교, 실업계교육]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성격, 목표, 현황과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문제점, 기피현상 및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교육)의 발전을 위한 요구, 발전 방안 분석
[유망직업, 유망직종, 직업, 직종] 유망직업 특수학교교사, 유망직업 로봇엔지니어, 유망직업 수의사, 유망직업 정보시스템감사사, 유망직업 금융자산관리사(FP), 유망직업 음악치료사, 유망직업 광고사진가, 유망직업 디스플레이어 분석
[실기교육방법론] 진로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