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스크랩] CALS(CAD/CAM/CAPP)

한신학 han theology 2017. 6. 12. 18:12

CALS [commerce at light speed]:고속상거래

전자상거래 구축을 위해 기업 내에서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할 목적으로 시작된, 제품의 설계ㆍ개발ㆍ생산에서 유통ㆍ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 전반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공유ㆍ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경영통합정보시스템을 말한다. 1980년대 초 미 국방성의 제품의 전 생산ㆍ유통 과정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해 효율적인 군수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후 효율성을 인정받아 민간업체에서도 이 시스템을 도입ㆍ확대 시행된 후, 급속한 전자상거래의 발달을 이끌었다.

칼스 [CALS]:지속적 획득 및 수명 주기 지원 체계(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 cycle support)

조달에서 설계, 개발, 생산, 운용, 유지 보수에 이르는 제품의 수명 주기를 통해서 기술 정보 등을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일원적으로 관리하여 각 공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1985년 미국 국방부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군수 물자와 기술의 흐름을 합리적으로 통제하여 군수품 납품 체계를 개선할 목적으로 시작했다. 이때의 칼스(CALS)는 컴퓨터 지원 군수 지원 체계(computer-aided logistics support)라는 개념이었다. 1990년대 초에 CALS의 의미가 ‘지속적 획득 및 수명 주기 지원 체계(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 cycle support)’로 바뀌었는데, 이는 대형 군납업체뿐만 아니라 부품을 납품하는 하청업체까지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이때부터 민간 기업에도 이러한 사고방식을 채택하려는 기운이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이어서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1995년을 전후하여 ‘고속 상거래(com-merce at light speed)’라는 개념으로 CALS의 방향을 재정립하게 되었다. CALS는 이제 제품의 설계에서부터 제조, 유통, 유지 보수에 이르기까지 모든 데이터(서류, 도면, 거래 정보)를 표준화하여, 거래 관계에 있는 기업 간에 신속히 주고받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비즈니스 데이터를 공유하고 교환하기 위한 세계적인 표준과 표준적인 통합화 기술이 실현되어 전 세계 기업 간에 이용될 경우, 정보 통신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전자 교역이 실현될 전망이다. 이럴 경우 각 기업은 정보 자동화와 정보 통합화를 통해 원가 절감, 품질 향상, 재고 감소 등의 효과를 누리게 되고, 거래 데이터 오류의 감소와 신속한 교환으로 교역이 고속화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1990년부터 보잉(Boeing) 등 항공기 제작사, GM 등 자동차 제조업체, 미국 국립 항공 우주국(NASA) 등에서 적극적으로 CALS를 도입하였고, 국내에서는 1992년부터 삼성 항공, LG 화학 등에서 CALS 표준에 의한 설계 관리 또는 문서 교환 관리 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CALS의 표준화와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CAD/CAM>:컴퓨터지원설계/컴퓨터지원제조

컴퓨터 보조설계(computer aided design/CAD)와 컴퓨터 보조생산(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M)의 약어.

설계에서 제조까지의 전 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해 진행시키는 기술. 자동차, 항공기, 선박, 고밀도 집적회로, 건축, 의상 등을 포함한 넓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FA)에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CAD는 개념설계·기본설계·상세설계 등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도면을 작성할 때 종래와 같이 제도대에서 한 장 한 장 그리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컴퓨터 단말기의 화상을 보면서 합성하여 설계해나가기 때문에 작업시간과 노력이 절약될 뿐 아니라 고속화와 품질 및 신뢰성의 향상을 가져 온다. CAD는 입력장치,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와 외부기억장치, 출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장치로는 키보드·전자펜·화상입력장치 등이 있다. 출력장치에는 자동제도기, 플로터(plotter), 하드카피 장치 등이 있다. 설계의 대상에는 기계, 각종 부품, 프린트기판, 건축구조물, 배선배관, 금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가 있다. 특히 '다품종소량생산'의 설계는 CAD가 맡고 있어 제품 수명의 단축화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의장(意匠) 설계에 CAD를 사용하여 그 데이터를 가공에 이용하고 있다. CAM은 공정설계·생산관리·가공·조립·검사 등의 제조과정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제어 시스템이다. 좁은 의미로는 CAD에서 얻은 결과를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NC) 공작기계의 NC 지령 테이프나 자동조립장치의 제어 테이프를 작성하는 시스템을 말하기도 한다.

앞의 두 과정을 결합한 CAD/CAM은 설계에서 제조까지 일관되게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다. CAD/CAM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도형처리 시스템의 개발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1964년에는 제너럴모터스사에서 최초의 실용적인 CAD/CAM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뒤 자동차·항공기·컴퓨터 제조회사들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개발이 진행되어 자사용만이 아니라 외판용도 만들기 시작했다. CAD/CAM 시스템은 설계에서 제조에 이르는 공정에서 온갖 이점을 제공하지만 시작품의 조립이나 시험에서는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하여 이러한 단계까지 컴퓨터의 원용범위를 넓히는 컴퓨터 지원공학(computer aided engineering/CAE)이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시작품 모델을 컴퓨터 내에 만들어 모의실험을 통하여 특성이나 성능을 평가·검토한다. 그래서 시작단계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개발비용을 절감하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CAPP> : 컴퓨터지원공정계획

컴퓨터 지원 공정 계획(CAPP: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은 컴퓨터지원설계(CAD: Computer Aided Design)과 컴퓨터지원제조(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사람이 해오던 공정계획을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이용하여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공정계획을 세우고자 하는 학문 또는 기술이다. CAPP에 주로 사용되는 알고리즘최적화 알고리즘으로 비용이나 시간 또는 둘을 동시에 최소화하면서 공정계획을 세운다.

출처 : ERP EXAM-PRO
글쓴이 : ERP전문강사 원글보기
메모 :

'(NAMGUNGE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システム別にみるCAD/CAM.オ―ルセラミック修復   (0) 2017.06.13
The CADCAMジルコニアセラミッ  (0) 2017.06.12
마이클 조던 농구화  (0) 2017.06.12
CAD / CAM 기초  (0) 2017.06.12
CAD/CAM 기초  (0) 2017.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