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학교 석박사과정]

환경학과 교육대학원

한신학 han theology 2017. 5. 20. 15:39

1.교육목표

가) 지서인으로서의 품격을 갖춘 교육전문가를 양성한다.
나) 환경공학 및 기술분야에 창의적인 연구력을 갖춘 유능한 교육전문가를 양성한다.
다) 환경문제의 이론과 실증적 체험을 토대로 환경오염의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지도할 교육 전문가를 양성한다.
 
2. 교수명단
직 위성 명전공분야연 구 분 야비 고
교수전병관화학공학폐기물 처리 및 관리
교수이기완환경공학용폐수처리공학
부교수백순기환경생태학환경미생물학
 
3. 전공영역
과정전공분야영문표기
·석사환경공학Environmental Engineering
 
4. 영역별 편성
1) 전공선택과목
과정교과목번호교 과 목 명학점
석사TL001수질오염방지공학 (Water Pollution Control Engineering)3
TL002대기오염방지공학 (Air Pollution Control Engineering)3
TL003도시폐기물처리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3
TL004폐기물처리교육학 (Education of solid waste treatment)3
TL022자연환경교재연구 및 지도법 (Education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 ofr natural Environmental)3
TL005수질오염론 (Water pollution theory)3
TL005대기환경론 (Atmospheric environment)3
TL007생물환경론 (Biological environment theory)3
TL008토양오염론 (Soil pollution theory)3
TL009환경과학론 (Environmental science theory)3
TL023수처리교육론 (Education of Water & Wastewater treatment)3
TL024스포츠심리학특강 (Special Topics in Sports Psychology)3
TL012환경실험지도론 (Instructional theory of environmental Lab)3
TL014환경생태론 (Theory of environmental Ecology)3
TL016수질화학론 (Theory of water chemistry)3
TL018에너지와 환경오염 (Energy and environment)3
TL019환경심리론 (Environmental psychology)3
TL020환경학개론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theory)3
TL021석사논문연구S or U
 
5. 교과목 교육내용

생물환경론 (Biological environment theory)

자연환경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미생물의 생물지화학적 순환 및 물질변화 능력과 지표생물로서의 역할, 환경오염과 미생물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

 

환경생태론 (Theory of environmental ecology)

생물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함께 생태학의 개념 및 원리, 개체군, 개체군간의 상 호작용, 군집 및 발전과 진화에 대해 연구

 

수처리교육론 (Education of Water & Wastewater treatment)

용수, 하수 및 페수의 처리기술에 필요한 이론적 기초와 그 구체적 kd법을 체계적으로 교육 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폐기물처리교육학 (Education of solid waste treatment)

여러 특성을 가진 폐기물을 보다 단순한 특성을 가진 물질로 변화시킨다거나 무해성 물질로 의 전환 또는 감용화, 미분화, 형상화 등의 처리를 해야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절하게 교육할 수 있도록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수질오염론 (Water pollution theory)

하천, 호수, 지하수, 하구 그리고 해양 등의 수체가 그 고유의 수질특성을 잃어가며 용도에 부적합한 상태로 오염이 진행되는 원인 및 과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시켜 강의함.

 

환경실험지도론 (Instructional theory of environmental lab)

환경오염 및 그 대책에 대한 원론적 이해를 증진시키며 초, 중, 고 학생들의 교육현장에서 체험적, 실천적 학습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실험방법, 실험지도 및 프로그램 기법 등을 이론 적으로 체계화시켜 강의함.

 

환경 보건학 (Environmental public health)

환경의 오염에 의하여 야기되는 인간의 건강과 관련지어 환경 인자와 인강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고 환경 오염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한다.

 

토양 오염론 (Soil pollution theory)

수지오염, 대기오염 그리고 폐기기물 오염의 결과 야기되는 토양의 경로로 파급 효과를 이 해하고, 토양오염으로 인하여 감소되는 경작지의 감소와 토양 유실로 인하여 야기되는 2차의 지구 단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토양의 역할을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학개론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theory)

환경은 하나의 자연으로서, 혹은 하나의 문화로서 아니면 기술로서 또 다른 개념으로서 뭉 뚱그려진 총체적인 실체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인데, 이러한 실체가 갖는 의미론적 논란보다 오히려 그러한 실체가 존속하고 있는 '과정'으로서, 환경의 구조적 관계성에 대한 이해가 더 욱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환경문제는 바로 이러한 '과정'의 문제에서 연유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유를 발견하고 이를 문제해결에 응용하려는 노력이 바로 환경학이 지향하려는 학문으로서의 구체적 목표이기도 하다.

 

환경심리론 (Environmental psychology)

환경심리학분야는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관계를 다룬다. 이는 우리가 실생활에서 늘 만나며 종종 우리가 야기시키기도 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몇 안되는 분야중의 하나이다. 개개인이 부딪히는 그리고 사회가 당면하는 중요한 연구들의 다수를 본 과목은 이론적으로 전개하여 나간다.

 

에너지와 환경 (Energy and environment)

에너지와 환경의 밀접한 연관성을 연구하고 에너지효율의 극대화 방안과 환경오염의 해결방 안을 모색한다.

 
환경과학론 (Environmental science theory)
환경에 대한 가치와 개념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지식을 개발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