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GUNGEUN)

한국기업경영학회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 韓國經營學會]

한신학 han theology 2016. 12. 29. 11:20
유형단체
시대현대
성격학술단체
설립일시1957년 12월

정의

경영학 연구를 위한 학술단체.

내용

경영학과 이와 관련되는 학문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경영학 발전에 기여하며, 회원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할 목적으로 여러 대학의 경영학전공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1957년 12월에 서울에서 설립되었다. 설립 이래 학술발표회·연구지 간행 등 본격적으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데, 연구발표회는 연 3회에 걸쳐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즉, 제1회연구발표회는 그해의 학계 및 산업계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문제를 주제로 선정하여 심포지엄 또는 세미나형식으로 4∼6월중에 서울에서 개최하고, 제2회연구발표회는 실증적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실천과학으로서의 경영학 및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용, 개선될 수 있는 경영기법을 주제로 하여 10월중에 지방에서 개최하며, 제3회연구발표회는 다음해 2월중에 서울에서 개최하는데, 주제는 이론적이며 학술적인 것으로 하고, 외국의 새로운 학설 또는 이론도 도입, 비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971년부터 연 1회 『경영학연구』를 발간하여오다가 연 2회로 늘렸으며, 학회활동의 홍보와 회원상호간의 동정파악 및 친목도모를 위하여 연 5회 『경영학회보』를 발간하고 있다. 한편, 특별회원 및 기업경영자를 위하여 회원교수 또는 외부인사 등을 초빙하여 산학 협동강연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2000년부터는 사이버 공간을 통하여 『경영저널』을 발간하고 있다.

정회원자격은 ① 대학교 및 대학에서 경영학과 이에 관련된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전임교원 또는 겸임교원.

② 경영학 관련분야의 박사과정에 있거나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③ 공인된 연구소 및 기관에서 경영학분야 연구에 종사하는 자.

④ 기타 이사회에서 이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이다.

특별회원 및 기관회원은 다음과 같은 자격이 되면 입회할 수 있다.

① 기업 및 공공단체의 임원은 입회절차를 거쳐 특별회원이 된다. 회원의 자격은 1년으로 하되 갱신할 수 있다.

② 경영학회의 취지를 찬성하는 기업 및 단체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기관회원이 될 수 있고 회원의 자격은 1년을 원칙으로 한다. 기관회원은 기관회원이 주관하는 행사가 경영학회의 취지를 반하지 않는 한 경영학회의 후원을 받을 수 있다.

③ 특별회원과 기관회원은 피선거권과 선거권을 가질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경영학회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韓國經營學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