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학 (Study of Culture & Contents) | 영화제 및 영화인프라 조사 연구 (Ⅰ), (Ⅱ) (Field Research of Film Festival & Film Infrastructure Ⅰ, Ⅱ) |
| |
예술사와 문화콘텐츠 (Art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 문화기술의 이론과 실제 (Theory & Practice of Culture Technology) |
| |
기술사와 문화콘텐츠 (History of Technology and Cultural Contents) | 영상물 구성안 작성 (Scriptwriting) |
|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Ⅰ), (Ⅱ)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Ⅰ, Ⅱ) | 박물관과 전시기획 (Museum and Planning of Exhibition) |
| |
문화원형과 콘텐츠 기획 (Culture Archetype and Content Planning) | 문화자원과 축제 콘텐츠 기획 (Cultural Resources and Festival Content Planning) |
| |
신화와 문화콘텐츠 (Myth and Cultural Contents) | 테마파크 기획 (Theme Park Planning) |
| |
문화와 경영 (Culture and Management) | 한류와 콘텐츠 기획 (Korean Wave and Content Planning) |
| |
문화콘텐츠와 기호마케팅 (Cultural Contents and Semio-Marketing) | 한류 현장조사 (Field Research of Korean Wave) |
| |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 (Theory & Practice of Digital Storytelling) | 차(茶)문화 경영 실습 (Practice of Tea Culture Business) |
| |
디지털 콘텐츠 분석론 (Analysis of Digital Contents) | 웰빙콘텐츠 기획 실습 (Practice of Wellbeing Content Planning) |
| |
디지털 콘텐츠 기획론 (Digital Content Planning) | 글로벌 문화콘텐츠 워크숍 Ⅰ, Ⅱ (Global Culture & Contents Workshop Ⅰ, Ⅱ) |
| |
문화콘텐츠 비평 (Cultural Content Critique) | 현지조사 실습 Ⅰ, Ⅱ (Fieldwork Practice Ⅰ, Ⅱ) |
| |
문화콘텐츠와 저작권 (Cultural Content and Coptright) | 졸업작품 구상 (Preproduction for Graduation) |
| |
한국 문화산업정책 연구 (Study of Culture Industry Policy in Korea) | 졸업작품 제작 (Production for Graduation) |
| |
글로벌 킬러콘텐츠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Global Killer Contents)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