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교육내용
原典․傷寒學 專攻(원전․상한학 전공)
(Major of Classics․Medical History and Exogenic Febrile Disease)
金元代醫學史(Sino-Medical History of the Chig and Yuan Dynasty)
金元兩代에 걸친 政治社會的 昏亂을 겪으면서 醫學의 實際的인 發展이 크게 요구되었던 바 이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當代의 醫家와 그들의 著述을 考察한다.
難經論(Theory of NanGyung)
難經은 內經의 難解한 問題를 81개 항목으로 나누어 問答形式으로 그 내용을 闡發한 책인데 內經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못했던 문제들에 대한 解答이 명쾌히 해설되어 있다. 이들 內容을 연구함으로서 內經을 비롯한 古典 硏究에 一助케 한다.
內經素問特論(Advanced Theory of the NaeGyung-SoMun)
<內經․素問>을 各家의 注釋을 참고하여 深度있게 연구하고, 이들 내용을 現代化하도록 한다.
唐代以前醫學史(Sino-Medical History before the Tang Dynasty)
春秋戰國時代로부터 秦漢, 兩晋, 隋, 唐代 등 五代의 醫學을 考察하고 中國醫學의 起源과 黃帝內經의 成立 그리고 이 時代에 活動하였던 여러 醫學家들의 思想을 理解하도록 한다.
歷代名醫醫論(Theory of the Historic Medical Doctors)
時代別로 유명한 醫家들의 理論的 特徵과 그 理論의 發達過程을 硏究한다.
明代醫學史(Sino-Medical History of the Ming Dynasty)
宋代의 理學에 影響을 받아 內經, 傷寒論, 本草經 등에 대한 많은 硏究와 關心을 가졌던 明代醫學의 主要內容을 살펴보고 本草綱目, 鍼灸大成, 景岳全書, 醫學正傳 등의 主要 著作과 當代의 醫家를 살펴본다. 아울러 命門相火學說, 三焦學說 등 生理와 病理의 重要한 理論들도 檢討해 본다.
伏氣溫病論(Therapeutics of Incubational Exogenic Febrile Maladies)
溫邪가 침입하여 어느 정도 잠복기를 거친 다음 證候가 나타나는 溫病에 대한 發病原因 傳變 規律 病證 治療方法을 연구한다.
傷寒論과 辨證論治(Sanghan-Lon & Byeonjeung-Lonchi)
傷寒論의 原文을 통하여 辨證論治의 原理를 硏究한다.
傷寒論의 本草學(Herbalogy of Sanghan-Lon)
傷寒論에 나타나는 藥物의 性味와 修治등을 연구한다.
傷寒溫病學硏究方法論(Methodology of Exogenic Febrile Maladies)
傷寒論과 溫病學에 대한 硏究方法을 探究한다.
傷寒溫病學流派論(School of Exogenic Febrile Maladies)
傷寒學派와 溫病學派의 성립과 諸家의 醫學思想을 硏究한다.
碩․博士科目內經素問論(Theory of NaeGyung-SoMun)
<內經․素問>은 東洋醫學 最古의 醫書로 基礎理論으로부터 攝生, 病理, 診斷, 治療, 鍼灸에 이르기까지 詳細히 記載되어 있어 東洋醫學理論의 準則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內容이 古文으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省略되고 亂雜한 부분이 많아 理解하기 쉽지 않으므로 이를 現代 醫學者들도 알아보기 쉽도록 硏究하는 데에 目的을 둔다.
少陽病證治論(Therapeutics of Soyang Maladies)
少陽病의 基本病證 變證 類似證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少陰病證治論(Therapeutics of Soeum Maladies)
少陰病의 基本病證 變證 類似證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宋代醫學史(Sino-Medical History of the Song Dynasty)
宋代의 가장 큰 特徵인 醫學著述의 集大成과 傷寒論 및 運氣學說에 대한 硏究를 當代 醫家와 著述 및 當時의 文化的 特徵을 통하여 考察한다.
濕熱病論(Therapeutics of Humidity Chaleur Maladies)
濕熱病에 대한 發生原因과 證候 및 治療方法에 관하여 硏究한다.
時病論(Therapeutics of Seasonal Maladies)
時病에 대한 發生原因과 證候 및 治療方法에 관하여 硏究한다.
新感溫病論(Therapeutics of Immediately Appeared Exogenic Febrile Maladies)
溫邪가 침입하여 證候가 바로 나타나는 溫病에 대한 發病原因 傳變規律 病證 治療方法을 연구한다.
陽明病證治論(Therapeutics of Yangmyeong Maladies)
陽明病의 基本病證 變證 類似證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靈樞經論(Theory of YongChuGyung)
<黃帝內經>은 素問과 靈樞로 構成되어 있으며 그 중 靈樞는 주로 經絡, 鍼灸 등에 대하여 記載하고 있는데 이들 내용을 硏究하여 현대화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原典論 (Theory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한의학과 관련된 경전을 통하여 여러 의가들의 사상과 의학 이론을 연구한다.
劉張李朱醫學論(Yu-Jang-Lee-Ju's Medical Theory)
金元四大家인 劉河間, 張從正, 李杲, 朱震亨의 醫學理論을 연구하여 後世醫學의 특징을 규명한다.
醫古文(Medical Classical Writings)
各種 古文을 講讀하여 先人들의 醫學思想을 이해하고 原典을 학습하는 데 필요한 소양을 배양한다.
醫易論(Theory of Medicine and Change Classic)
周易의 각종 이론을 학습하여 易學思想이 한의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해 본다.
淸代醫學史(Sino-Medical History of the Cheng Dynasty)
考證學과 西洋醫學의 影響을 받아 보다 實際的인 醫學을 重視했던 淸代 醫家의 면모를 內經이나 傷寒論의 論爭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太陽病證治論(Therapeutics of Taiyang Maladies)
太陽病의 基本病證 變證 類似證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太陰病證治論(Therapeutics of Taieum Maladies)
太陰病의 基本病證 變證 類似證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風寒病論(Therapeutics of Vent Froid Maladies)
風寒病에 대한 發生原因과 證候 및 治療方法에 관하여 硏究한다.
韓國上世醫學史(Korean Medical History of the Ancient Times)
韓國 古代로부터 古朝鮮, 三國時代, 統一新羅時代에 이르기까지 醫學的 起源과 變遷過程을 考察하고 中國과의 交流 및 日本에의 傳播過程을 살펴본다.
韓國中世醫學史(Korean Medical History of the Middle Ages)
高麗時代를 初期, 中期, 末期로 나누어 醫療制度의 改革과 醫書의 刊行을 살펴보고 아울러 高麗醫學의 自主的 發展을 위하여 實施되었던 政策과 그에 맞추어 刊行된 書籍들의 特徵을 考察한다.
韓醫學原理論 (The Principle Theory of Korean Medicine)
陰陽五行原理에 기초를 둔 한의학을 이해하기 위한 사고 방법을 터득한다.
黃帝內經과 傷寒論(Naekyeong & Sanghan-Lon)
黃帝內經의 理論이 傷寒論에서 어떻게 應用되고 있는지를 硏究한다.
生理․病理學 專攻(생리․병리학 전공)
(Major of Physiology and Pathology)
碩․博士科目
經絡生理論(The Meridian Physiology)
경락학설의 주요개념과 경락계통의 구성을 습득하고 이것의 기초가 되는 주요 이론들을 개관함으로써 인체생리의 전반적인 쳬계에서 경락의 역할을 이해한다.
氣功生理論(The Physiology of Qi Control Training)
조신, 조식, 조심의 원리와 기공에 응용될 수 있는 호흡법을 숙지하여 인체 정, 기, 신이 인체를 순행하면서 변화하는 생리원리를 학습한다.
氣機升降原理論(The Basic Ascending and Descending Theory of Qi)
우주만물의 운동형식이며, 인체에서도 음양오행학설과 더불어 생명활동을 영위하는 기본원리로 인식되고 있는 기기승강론에 대하여 ?역대의가?들의 기기승강과 관계있는 원문을 중심으로 승강의 개념을 고찰한다.
氣機升降活用論(The Appled Ascending and Descending Theory of Qi)
기기승강론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한방기초이론의 정립과 임상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역대의가들의 실제 임상치법 설정 원리를 중심으로 승강론에 대한 임상 예를 파악하도록 한다.
基本病機論(Theory of Basic Pathogenesis)
각종의 원인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병리기전은 다양하기 때문에 병리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황제내경 이후의 의가설들을 종합한 이론 연구가 필요하다. 즉, 인체에 발현되는 증상들이 나타내고 있는 병리 이론들을 총괄적으로 접함으로써 병인에 대한 인식 물론 인체의 병리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황제내경․지진요대론에서 서술되어 있는 십구병기와 유하간이 추가한 조사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고, 외부의 기후 인자가 아닌 인체 내부에서 발생한 병리적 현상을 육음의 현상과 연계한 내생오사론을 연구하며, 인체의 자가조절 능력과 질병에 대한 자가통제 능력을 설명한 항해승제론에 대하여 연구한다.
基本原理論(Theory of Basic Principle)
일반적인 병리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하여『내경』이후의 의가설들을 종합한 이론습득이 필요하다. 즉, 인체에 발현되는 증상들이 나타내고 있는 병리이론들을 총괄적으로 접함으로써 병인에 대한 인식 물론 인체의 병리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질병의 발생이 나타나는 과정 중, 음양의 실조로 인한 경우와 오행의 상생․상극의 실조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를 연구하고, 또한 질병 발생의 기초 이론인 항해승제론과 기화실상론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氣血病機論(Pathogenic Theory of Vital Energy and Blood)
기와 혈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인 동시에 파괴되었을 경우 질병을 일으키는 내상잡병병리중의 기초적인 병리관계가 된다.
기와 혈의 생리적 작용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병기이론과 기․혈 상호간의 기능 실조로 나타나는 병리 현상에 대하여 연구한다. 즉, 기병 병기, 혈병 병기, 기혈상호간의 병기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에 대하여 동서의학적 이론 접근을 시도한다.
氣血津液病證論(Symptomatic Theory of Vital Energy, Blood and Body Fluid)
기․혈․진액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인 동시에 파괴되었을 경우 질병을 일으키는 내상잡병병리중의 기초적인 병리관계가 된다. 또한 기․혈․진액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다.
기․혈의 병리적 상태와 기․혈 상호간의 기능 실조로 나타나는 병리적 상태, 그리고 진액대사 실조로 인하여 나타나는 병리적 상태 즉, 기병 병증, 혈병 병증, 기혈상호간의 병증, 진액부족 병증, 진액대사 실조로 수액 배설에 장애가 나타나는 병증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六氣生理論(The Six Atmospheric Physiology)
육기의 개념과 법칙을 개괄적으로 습득하고, 이러한 육기론이 한의학의 생리학 영역에서의 각종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용되고 적용되며 또한 육기론이 가진 방법론적 특성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게 한다.
發病原理論(Theory of Pathologic Mechanism)
질병의 발생은 각종 원인들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인체 및 자연의 환경, 그리고 사기의 강약에 의해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병리학적 기전을 동의학적 사고관에 입각하여 연구한다.
질병의 원인과 인체가 본래부터 갖고 있는 각종의 소인 및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 등에 따른 질병의 발생, 그리고 병사가 침범하는 경로 및 발병의 유형, 질병의 전변과 전귀 및 재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病理學史(Pathologic History)
의학은 수 많은 경험을 토대로 수 많은 시간을 걸치면서 진행되어 오고, 또한 이론의 태동은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배경 등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온다.
그리하여 한의학의 경서인 황제내경이 저술되기 전과, 당시와 후로 나누어 한의학 병리학 이론의 발전을 연구토록 한다.
내경 이전 시대에서는 춘추전국시대 이전과 이후의 질병인식을, 내경 시대에서는 병인, 병기와 병변, 질병에 대한 인식을, 내경 이후 시대에서는 금원사대가를 중심으로 한 내상잡병 병기를, 명청시대를 중심으로 한 외감열병 병기를 연구토록 한다.
病因論(Theory of Pathogenic Factor)
병인은 외부 기후 인자에 의해 발병하는 외감성 발병인자. 인체 내부에서 발병하는 내상성 발병인자, 그 외에 창상이나 동상 등과 같은 기타 발병인자, 이러한 인자들이 다른 발병원인을 형성해 다른 질병을 초래케하는 속발성 발병인자가 있다.
외감성 발병인자인 육음(풍, 한, 서, 습, 조, 화)과 역려, 내상성 발병인자인 칠정(희, 노, 우, 사, 비, 공, 경), 노일상(과로, 과신, 방로, 과일), 음식상(음식부절, 음식편기, 음식불결), 기타 발병인자인 창상, 동상, 화상, 약물중독, 선천적 소인, 속발성 발병인자인 담음과 어혈에 대하여 연구한다.
病因病耭論 (Theory of Etiological factor and Pathogenesis)
제 증상을 팔강에 의하여 분류함으로써 정체적이고 체계적인 질병관찰을 가능케 한다.
腑病內傷病病機論(Pathogenic Theory of Internal Disease due to․Six and Extraordinary Organs)
모든 장부의 생리기능이나 병리변화들은 한 장부에만 병변이 국한되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장부에 유기적으로 작용해 상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병변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하여 육부 생리기능 실조로 나타나는 담병 병기(담열 및 담울담요 병기), 소장병 병기(비병하전 및 심열하전 병기), 위병 병기(수납기능 실조 및 부숙기능 실조 병기), 대장병 병기(자윤기능 실조 및 전도기능 실조 병기), 방광병 병기(저뇨기능 실조 및 배뇨기능 실조 병기),삼초병 병기(기기불리증 및 진액수포배설장애 병기)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뇌․골․수․맥․여자포의 생리기능 실조로 인해 나타나는 각종의 병기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腑病內傷病病證論(Symptomatic Theory of Internal Disease due to Six and Extraordinary Organs)
모든 장부의 생리기능이나 병리변화들은 한 장부에만 병변이 국한되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장부에 유기적으로 작용해 상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병변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하여 육부 생리기능 실조로 나타나는 담병 병증(담열 및 담울담요증), 소장병 병증(비병 하전 및 심열하전 병증), 위병 병증(수납기능 실조 및 부숙기능 실조 병증), 대장병 병증(자윤기능 실조 및 전도기능 실조 병증), 방광병 병증(저뇨기능 실조 및 배뇨기능 실조 병증),삼초병 병증(기기불리증 및 진액수포배설장애증)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뇌․골․수․맥․여자포의 생리기능 실조로 인해 나타나는 각종의 병증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生理學實驗方法論(Experimental Methodology of Physiology)
생리학의 실험실습감각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특히, 경락․경혈에서 현상화되는 기의 측정에 의한 기현상의 정량화를 통한 오행규율을 파악하고 나아가 장부․경락체계를 객관적으로 정립하도록 한다.
營衛津液論(Ying-Wei and Body Fluid)
生體의 反應系統路線을 이루는 營血衛氣를 작용과 運行을 중점으로 理解하며 全身의 三焦氣化代謝와 關聯되어지는 津液代謝를 연구한다.
五臟內傷病病機論(Pathogenic Theory of Internal Disease due to Five Viscera)
모든 장부의 생리기능이나 병리변화들은 한 장부에만 병변이 국한되어 발생되는 것이 아나라 모든 장부에 유기적으로 작용해 상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병변 인식은 중요하다.
그리하여 간병 병기(소설기능, 간혈기능, 양근기능에 대한 실조 병기), 심병 병기(유형지심,무형지심 기능의 실조 병기), 비병 병기(운화기능, 승강기능, 통혈기능에 대한 실조 병기),폐병 병기(기기기능, 선발기능, 숙강기능에 대한 실조 병기), 신병 병기(온후기능, 자윤기능에 대한 실조 병기)에 대하여 연구한다.
五臟內傷病病證論
(Symptomatic Theory of Internal Disease due to Five Viscera)
모든 장부의 생리기능이나 병리변화들은 한 장부에만 병변이 국한되어 발생되는 것이 아나라 모든 장부에 유기적으로 작용해 상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병변 인식은 중요하다.
그리하여 간병 병증(소설기능, 간혈기능, 양근기능에 대한 실조 병증), 심병 병증(유형지심, 무형지심 기능의 실조 병증), 비병 병증(운화기능, 승강기능, 통혈기능에 대한 실조 병증), 폐병 병증(기기기능, 선발기능, 숙강기능에 대한 실조 병증), 신병 병증(온후기능, 자윤기능에 대한 실조 병증)에 대하여 연구한다.
五臟生理論(The Five Zang Physiology)
各臟에 表裏關係로 연결되어지는 現象을 理解하고 心包와 命門 三焦의 관계를 臟腑와 協關의 차원에서 다루며 奇恒之府와 傳化之腑를 硏究한다.
五行生理論(The Five Zang Physiology)
인체의 조화로운 균형 상태를 조절하는 五行體系의 방법론적 특성과 기전을 인식하여 한의학의 독특한 인체조절 기전을 病理와 內科의 各 系別 영역에 활용하여 진단과 치료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外感熱病病機論(Pathogenic Theory of Febrile Disease due to Exopathy)
질병의 발생은 각종 원인들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인체 및 자연의 환경, 그리고 사기의 강약에 의해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중 외감에 의해서 발병하는 질병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
상한병기인 육경병기(태양병병기, 양명병병기, 소양병병기, 태음병병기, 소음병병기, 궐음병병기)와 온병병기인 위기영혈병기(위분병병기, 기분병병기, 영분병병기, 혈분병병기) 및 삼초병기(상초병병기, 중초병병기, 하초병병기)를 연구한다.
外感熱病病證論(Symptomatic Theory of Febrile Disease due to Exopathy)
질병의 발생은 각종 원인들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인체 및 자연의 환경, 그리고 사기의 강약에 의해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중 외감에 의해서 발병하는 질병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
상한병증인 육경병증(태양병병증, 양명병병증, 소양병병증, 태음병병증, 소음병병증, 궐음병병증)와 온병병증인 위기영혈병증(위분병병증, 기분병병증, 영분병병증, 혈분병병증) 및 삼 초병증(상초병병증, 중초병병증, 하초병병증)를 연구한다.
六腑生理論(The Six Bu Physiology)
各臟에 表裏關係로 연결되어지는 現象을 理解하고 心包와 命門 三焦의 관계를 臟腑와 協關의 차원에서 다루며 奇恒之府와 傳化之腑를 硏究한다.
陰陽五行論(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陰陽五行現象으로 人體를 관찰하고 五行의 相生相克으로 그 變化를 理解하여 人身의 構成要素와 藏象學說을 연결할 수 있는 根幹을 쌓는다.
醫易思想論(The Philosophy of Change in Oriental Medicine)
천지자연의 변화의 원리를 제시하는 주역의 사상이 의학에 적용되어 한의학의 독특한 인체생리관인 정체관, 항동관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과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臟腑-經絡 相關論(Relationship between Zangbu and Meridian)
장부와 경락 사이의 상호관계를 통해 인체생리의 상호 연계성을 이해한다. 경락변증과 장부변증의 발전과정을 이해한다. 장상학설의 기반이 되는 오행학설과 경락학설의 기반이 되는 육기학설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서 장부와 경락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며 나아가 장부와 경락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치료지침의 이론 기반을 제공한다.
臟腑辨證論 (Dialectics of Visceras & Bowels)
五臟六腑 疾病에 대하여 病理 診斷 治療 등의 이론을 확립하고 五臟辨證 八綱辨證을 통하여 病證을 鑑別할 수 있는 指標를 硏究한다.
臟象論 (The Principle Theory of Visceras and Bowels)
오장과 육부의 생리, 병리학적 원리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精氣神血論(The Theory of Jeong-Qi-Shin-Hyeol)
人體 構成物質의 基本인 精, 氣, 神, 血에 대한 개념과 생리기능 및 병리기전에 대하여 연구 한다.
精神氣血論(Essence of Life, Mental Faculties, Vital Energy and Blood)
人體의 構成要素的 側面에서 관찰되어지는 生命現狀을 理解하므로써 陰成形, 陽化氣로 이어지는 代謝的 側面과 心現象으로 理解되는 精神과 生命力을 臟腑生理와 관련시켜 硏究한다.
精神生理論(Psychosomatic Physiology)
한의학에서의 정신현상에 대한 접근방향과 기초이론 및 정서, 인지과정에 관한 설명방법들을 개관함으로써 형신일체의 인체관을 이해한다.
症候病證論(Theory of Sign and Symptom)
임상에 다발되고 있는 증후들을 기초와 임상으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한의사로써 기초를 더욱 공고히 하고, 이를 임상상 변증론치에 입각한 논리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유사 병증들과 감별을 실시한다. 이 후 증후가 나타나는 병증들에 대하여 기존 한의서에 나타난 변증론치의 방법론을 모색한다.
津液病機論(Pathogenic Theory of Body Fluid)
진과 액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인 동시에 파괴되었을 경우 질병을 일으키는 내상잡병병리중의 기초적인 병리관계가 된다.
진액의 운행과 수포, 배설의 작용이 실조되면 다양한 임상적 증후가 나타나는데, 진액의 양적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진액휴손 병기, 진액의 운행과 수포․배설 장애로 병리적 산물은 수음이 쌓인 수음내정 병기, 국부적으로 범람한 수습범람 병기, 그리고 진액이 전오되어 장부 기능을 조체시킨 오담(풍담, 한담, 열담, 습담, 조담) 병기에 대하여 연구한다.
本草․方劑學 專攻(본초․방제학 전공)
(Major of Herbalogy and Prescription)
碩․博士共通科目
古方論(Classic Prescription)
韓醫學 그 중에서도 病을 治癒하기 위한 處方을 다룬 가장 오래된 方劑原典인 傷寒論, 金匱 要略을 分析硏究함으로써 方劑의 發展過程을 理解하고 또한 後世方을 올바로 選擇活用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毒劇藥物論(Study of Poisonous Medicine)
한약재 중 독성을 가진 일부 약재들을 대상으로 독성이 나타나는 이유, 증상, 치료법 등을 학습하고 가공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배경을 학습한다.
方劑構成論(Prescription Constitution)
古來로 전해오는 處方의 構成原則인 君臣佐使論을 위시해서 現代에까지 發展해온 方劑構成의 體系를 探索하여 새로운 立方體系를 모색함으로써 보다 效果的인 處方을 創案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方劑構成硏究(Research of Prescription Constitution)
古來로 전해오는 處方의 構成原則인 君臣佐使論을 爲始해서 現代에까지 發展해온 方劑構成의 體系를 探索하여 새로운 入房體系를 摸索함으로써 보다 效果的인 處方을 創案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方劑構成特論(Special Lecture of the Prescription Constitution)
古來로 전해오는 處方의 構成原則인 君臣佐使論을 爲始해서 現代에까지 發展해온 方劑構成의 體系를 探索하여 새로운 入房體系를 摸索함으로써 보다 效果的인 處方을 創案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方劑配合硏究(Research of Prescription Combinations)
약물의 배오 및 처방의 배합에 따라 방제의 특성이 상이하게 작용됨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方劑學史(History of Prescription)
國內外的으로 歷代 方劑學의 發展 過程을 比較 硏究함으로써 方劑學硏究에 基礎가 되도록 한다.
方劑學硏究方法論(Methodology of Medical Prescription)
氣味論 臟腑虛實標本用藥式 君臣佐使法 加減法 등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方劑學 硏究方法을 모색하고자 한다.
本經疏證硏究(Research of BonKyeongSoZeung)
역대 藥理學說을 집대성한 本經疏證에 대하여 출간하게 된 시대적 배경, 학술사상과 이의 약물 배열방법, 기미, 주치, 藥理學說 등을 연구한다.
本草綱目硏究(Research of BonChoGangMok)
역대 본초서를 집대성한 本草綱目에 대하여 출간하게 된 시대적 배경, 학술사상과 이의 약물 배열방법, 기미, 주치, 금기, 부방 등을 연구한다.
本草名義論(Study of Hidden Meaning behind Herb Name)
본초의 명명에는 약물의 성상 성장환경 약리작용 치료효과 및 이와 관련된 고사에 의하여 붙여진 것이 많으므로 본초의 명의를 통한 본초의 정확한 약성을 연구하고 임상에 활용하고자 한다.
本草學史(History of Medical Herbalogy)
이는 國內外的 歷代 本草 또는 藥用植物學의 發展 過程을 比較 硏究함으로써 本草學硏究에 基礎가 되도록 한다.
本草學硏究方法論(Methodology of Medical Herbalogy)
起源論 氣味論 歸經論 配合論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本草學 硏究方法을 모색하고자 한다.
傷寒金匱方論(Sanghan Keumkwe Prescription)
韓醫學 그 중에서도 病을 治癒하기 위한 處方을 다룬 가장 오래된 方劑原典인 傷寒論, 金匱 要略을 分析硏究함으로써 方劑의 發展過程을 理解하고 또한 後世方을 올바로 選擇活用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傷寒論藥物硏究(Research of Herbal Medicine of SangHanRon)
상한론에 수록된 113종의 처방에 사용된 약물들의 조합과 전한시대에 사용된 약물들의 효능에 대해 학습한다.
時方論(Periodical Prescription)
韓醫學 中興期인 金元四大家와 溫病學派의 特徵있는 見解와 治療法을 確立하여 後世方 發達의 要諦로 影響을 끼쳤다. 現代에까지 발전해온 處方을 자유로이 選擇活用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食療本草論(Conference of Botany)
일반 식물 중에서 약으로 응용되는 식물을 연구 개발하여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한다.
藥物歸經論(Attributive Channel of Material Medica)
이는 臟腑 經絡과 藥物 效能의 相關性을 實驗的으로 硏究하여 韓醫學 臨床에 客觀性을 부여토록 한다.
藥物禁忌論(Contraindication of Material Medica)
각 약물의 배합 금기와 병증변화에 대한 금기 등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藥物氣味論(Nature and Flavour of Material Medica)
이는 藥物의 四氣 즉 寒, 熱, 溫, 凉과 五味 즉 酸, 苦, 甘, 辛, 鹹味를 토대로하여 治療效能과의 相關性을 實驗的으로 硏究하여 韓醫學 臨床에 客觀性을 부여토록 한다.
藥物起源論(Origin of Material Medica)
이는 國內外的으로 活用되는 藥物의 確實한 起源을 考證하거나 代用藥物의 起源을 硏究하여 韓醫學 臨床, 또는 新物質 創出에 貢獻토록 한다.
藥物修治論(Process of Preparing Raw Material Medica)
이는 藥物을 臨床機轉에 治療 效能을 誘導하기 위한 修治法으로서 歷代 文獻을 중심으로 한 理論을 實驗的으로 硏究하여 韓醫學 臨床에 客觀性을 부여토록 한다.
藥物資源論(Resources of Herb)
천연약물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약용식물의 생태계 분포를 조사하고 수요증가에 따른 재배법을 연구한다.
藥物炮製論(Process of Preparing Raw Material Medica)
이는 藥物을 臨床機轉에 治療 效能을 誘導하기 위한 修治法으로서 歷代 文獻을 중심으로 한 理論을 實驗的으로 硏究하여 韓醫學 臨床에 客觀性을 부여토록 한다.
藥型論(Prescription Formation)
歷代에 전해오는 韓藥劑型인 湯, 散, 丸, 膏, 酒, 露, 錠, 餠, 調, 熏 등의 效能을 檢査하고 糾明하여 보다 能率的인 劑型을 모색창안하기 위한 方法을 講論한다.
藥效論 (Phamaceutical Theory)
천연물의 효능을 문헌적으로 고증함과 아울러 각 약물의 유독, 무독을 적발하여 활용시킴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약물의 배합과 운용에 대한 지식을 배양한다.
連繫方劑硏究(Research of Oriental Prescription Relationship)
기존처방을 중심으로 파생되는 여러 가지 방제에 대한 계통적인 연구분야를 연구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鄕藥方書에 나타나는 處方, 加減法, 향약의 수치방법, 치료방법, 효과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醫方集解硏究(Research of EuiBangJlpHae)
醫方集解에 나타나는 학술사상, 방제 구성원칙, 가감법, 복용방법, 물약원전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抗癌本草論(Conference of Anti-cancer Herbalogy)
抗癌作用이 있는 藥物을 연구개발하여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한다.
鄕藥方硏究(Research of HyangYak Prescription)
後世方論(Modern Prescription)
韓醫學 中興期인 金元時代의 劉完素, 張子和, 李東垣, 朱丹溪 등 각기 特徵있는 見解와 治療法을 確立하여 後世方 發達의 要諦로 影響을 끼쳤다. 現代에까지 발전해온 處方을 자유로이 選擇活用할 수 있도록 講論한다.
經穴․解剖學 專攻(경혈․해부학 전공)
(Major of Meridian․Acupoint and Anatomy)
碩․博士共通科目
經絡經穴과腦機能比較硏究論
(Comparative Study of the Meridian․Acupoint and Brain Function)
한의학에서의 뇌의 개념은 臟腑論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뇌는 인체의 모든 기능을 조절하는 중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한의학의 經絡體系를 뇌기능과 연관시켜 파악해보고 이의 방법에 의하여 經絡經穴의 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經絡經穴論(Classical Meridian & Acupoint)
古典에 기록되어 있는 經絡․經穴論에 대하여 각종 고전을 근거로 하여 체계화시키고 이를 현대적인 의미로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經絡經穴硏究方法特論
(Advanced Methodology in Research of the Meridian & Acupoint)
經絡 현상의 규명 및 침자의 得氣 등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세워나가는데 기초가 되고자 하는 분야이다. 또한 經絡經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실험적으로 검증되고 있는 각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장단점을 알아보며, 보다 효과적인 經絡經穴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체계를 세운다.
經絡經穴硏究統計技法論(Statistics for study of Meridian and Acupoint)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각종 통계 기법 및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익히며, 經絡 經穴의 실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계 기법과 임상적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 기법을 파악한다.
經絡經穴測定器機論(Diagnostic Instruments of the Meridian and Acupoint)
經絡經穴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器機들에 대하여 기기의 작용원리를 파악하고 각 기기들의 특성과 經絡經穴의 어떠한 면을 나타내는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經絡經穴特論(Advanced Classical Meridian & Acupoint)
고전에 기록되어 있는 經絡․經穴論에 대하여 각종 고전을 근거로 하여 체계화시키고 이를 현대적인 의미로 파악한다. 帛書와 內經의 經脈 내용을 비교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經絡論 (Study of Meridian)
각 經絡에 나타나는 객관적 현상을 파악하여 五臟六腑의 병증을 감별할 수 있는 지표를 연구 한다.
經外奇穴․新鍼穴位 硏究論(Study of Extra and New Meridian Acupoint)
十四正經에 소속된 361穴 이외에 새로이 설정된 奇穴의 특성을 파악하며, 최근에 임상적으로 규명되고 있는 新穴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연구한다.
經穴組織學特論(Advanced Meridian Histology)
경혈부위의 특수한 구조를 육안해부학을 기초로 하여 현미경적 특수 구조를 연구하도록 한다.
經穴解剖論(Acupoint Based on Anatomy)
經絡․經穴과 현대해부학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각 經穴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古代人體名稱論(Ancient Name of the Section of Human Body)
고대의 인체명칭을 파악하여 이를 현대적인 의미로 전환시키고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關節生理學(Arthrophysiology)
관절의 형태적인 분류와 구조 운동범위 및 관절의 정상적인 구조와 병리적인 상태와 작용에 대한 생리적인 면에서 접근하고 연구한다.
關節學(Arthrology)
인체 관절의 구조 및 병리적 현상에 대하여 연구한다.
局所解剖學特論(Advanced Topographic Anatomy)
인체의 구조를 국소적으로 해부하여 그들의 특수 구조를 이해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다른 기관과의 생리적인 연관성을 연구하도록 한다.
歸經論(Classification of Drugs according to the Meridian)
經絡學說에서 각 경맥에 작용하는 약물에 대하여 歸經論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리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이다.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살아있는 상태에서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기능과 관련하여 연구한다.
기초임상해부학(Essential Clinical anatomy)
질환과 관련된 해부학적 이상에 관하여 공부하고 연구한다.
論文作成法(Writing Method of Thesis)
論文作成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습득하게 하여 연구내용이 普遍妥當하고 客觀性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脈管學特論(Advanced Angiology)
혈관계와 림프계로 구성된 맥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이해하고 이상에 의한 병리적인 현상을 연구하도록 한다.
免疫化學(Immunochemistry)
면역학적인 원리를 응용하여 조직을 염색하는 방법을 강의를 한다.
比較醫學論 (Comparative Medical Theory)
東洋醫學과 西洋醫學을 比較 硏究한다.
神經解剖學(Neuroanatomy)
인체 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및 병리적 현상에 대하여 연구한다.
神經解剖學特論(Advanced Neuroanatomy)
체성신경과 자율신경계의 명령과 조화에 의해서 인체의 운동과 항상성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들 신경의 기능과 조절 기작에 대해서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神經化學(Neurochemistry)
신경계의 전달물질의 종류와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이들 물질들의 화학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다.
身形論(Theory of Body Combination)
한의학의 총체적 인체구조 파악의 원리와 그 적용 및 구조에 대하여 한의학적 고전을 통하여 연구한다.
藥鍼原理機轉論(Mechanism of the Aqua-acupuncture)
최근 新鍼療法 중 하나인 藥鍼療法의 기초이론 정립과 그 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체계화시킴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이다.
應用解剖學特論(Advanced Applied Anatomy)
인체의 정상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변이구조를 연구함으로써 구조의 이상에서 오는 질병과의 연관성을 밝힐 수 있다. 그러므로 인체의 정상구조와 비정상적인 구조를 비교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自律神經系學(Theory of Autonomic Nervous System)
인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종류와 분포 및 조절작용에 대한연구를 통하여 인체의 항상성 조절 작용과 병리에 대한 연구를 한다.
組織學(Histology)
인체조직의 구조와 특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鍼灸歌賦論(Classical Ka-Bu of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古典의 歌賦論을 문헌에 근거하여 그 의미를 한의학적 개념으로 해석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을 정립함을 목적으로 한다.
鍼刺灸法機轉論(Mechanism of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鍼刺療法 및 灸療法에 대하여 한의학적인 의미에서 그 기전을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방향을 설정함을 목표로 한다.
鍼刺疼痛抑制論(Pain Control Mechanism of the Acupuncture)
각종 질환에 의하여 발현되는 동통에 대한 침구요법의 치료 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효과적인 치료방법 설정에 기초가 되는 분야이다.
腧穴原理論(Principle of the Acupoint)
腧穴의 정의와 각종 혈의 특성을 고찰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고 그 이론적 배경을 정립한다.
豫防醫學 專攻(예방의학 전공)
(Major of Preventive Medicine)
◢ 碩․博士共通科目
氣功養生學Ⅰ, Ⅱ(Theory of Qi-Gong & Preservation Health Ⅰ, Ⅱ)
기공법의 종류 및 수련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나사랑養生論 Ⅰ, Ⅱ(Theory of Self - Love Ⅰ, Ⅱ)
건강을 증진하고 수명을 연장해주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아껴주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老人養生論 Ⅰ, Ⅱ(Theory of Preservation Health for the Aging Ⅰ, Ⅱ)
노인들의 특성에 맞는 양생법과 질병 예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勞逸養生論 Ⅰ, Ⅱ(Theory of Preservation of Labor and Relaxation Ⅰ, Ⅱ)
노동과 휴식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건강 유진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東醫免疫論Ⅰ, Ⅱ(Theory of Oriental Immunology Ⅰ, Ⅱ)
면역 증진에 효과적인 한의학 방법론을 연구한다.
老年學(Gerontology)
老人人口의 증가에 따른 各種 老人性 疾患의 豫防과 診斷 및 治療方法을 연구하여 복지사회의 구현에 목표를 둔다.
婦人養生論 Ⅰ, Ⅱ(Theory of Preservation Health for Women Ⅰ, Ⅱ)
여성들의 특성에 맞는 양생법과 질병 예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小兒養生論 Ⅰ, Ⅱ(Theory of Preservation Health for Infant Ⅰ, Ⅱ)
소아들의 특성에 맞는 양생법과 질병 예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食餌養生論 Ⅰ, Ⅱ(Theory of Dietary Preservation Ⅰ, Ⅱ)
질병의 예방 및 치료, 건강 증진, 수명 연장에 도움 되는 식이법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瘟病豫防論 Ⅰ, Ⅱ(Theory of Epidemic Febrile Disease & Preservation Health Ⅰ, Ⅱ)
온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醫學統計學(Medical Statistics)
醫學이나 保健에 관련된 통계를 배움으로서 韓醫學의 客觀化를 도모한다.
傳染病豫防論 Ⅰ, Ⅱ(Theory of Preservation of Infectious Disease Ⅰ, Ⅱ)
효과적인 전염병 예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精神養生論 Ⅰ, Ⅱ(Theory of Mental Preservation Health Ⅰ, Ⅱ)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體質豫防論 Ⅰ, Ⅱ(Constitutional Preservation of Health Ⅰ, Ⅱ)
체질별 양생법과 질병 예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環境衛生學Ⅰ, Ⅱ(Environmental Hygiene Ⅰ, Ⅱ)
환경과 건강과의 관계 및 위생적 환경 관리에 대하여 연구한다.
診斷學 專攻(진단학 전공)
(Major of Diagnotics Medicine)
◢ 碩·博士共通科目
望診論Ⅰ,Ⅱ(망진론Ⅰ,Ⅱ) (Theory on InspectionⅠ,Ⅱ)
患者의 精神狀態 面色 形體 動態 및 分泌物 排泄物 등을 視覺을 통하여 관찰하므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脈診論Ⅰ,Ⅱ(맥진론Ⅰ,Ⅱ) (Theory on Feeling Pulse & PalpationⅠ,Ⅱ)
氣口, 人迎, 三部九候, 寸關尺 등의 부위에서 나타나는 맥상을 변별하여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聞診論Ⅰ,Ⅱ(문진론Ⅰ,Ⅱ) (Theory on Auscultation & OlfactionⅠ,Ⅱ)
患者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소리와 냄새의 이상한 변화를 듣고 맡음으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問診論Ⅰ,Ⅱ(문진론Ⅰ,Ⅱ) (Theory on InterrogationⅠ,Ⅱ)
疾病의 發生 發展 治療經過와 現在證狀 등 疾病과 관련된 여러 상황을 물음으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진단학사 (History of Diagnostics)
腹診論(복진론) (Theory on Abdominal Diagnosis)
腹診은 患者의 病證을 辨識하는 按診의 일종으로서 腹證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통하여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舌診論(설진론) (Theory on Lingulal Diagnosis)
患者의 舌質과 舌苔를 관찰하므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체질진단론 (Theory on constitutional Diagnosis)
內科診斷學(내과진단학) (Diagnotics on Internal Medicine)
肝 心 脾 肺 腎과 膽 小腸 大腸 胃 膀胱 三焦의 상관관계와 寒熱虛實을 관찰하여 이의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望診特論Ⅰ,Ⅱ(망진특론Ⅰ,Ⅱ) (Theory on InspectionⅠ,Ⅱ)
患者의 精神狀態 面色 形體 動態 및 分泌物 排泄物 등을 視覺을 통하여 관찰하므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脈診特論Ⅰ,Ⅱ(맥진특론Ⅰ,Ⅱ) (Theory on Feeling Pulse & PalpationⅠ,Ⅱ)
氣口, 人迎, 三部九候, 寸關尺 등의 부위에서 나타나는 맥상을 변별하여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聞診特論Ⅰ,Ⅱ(문진특론Ⅰ,Ⅱ) (Theory on Auscultation & OlfactionⅠ,Ⅱ)
患者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소리와 냄새의 이상한 변화를 듣고 맡음으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問診特論Ⅰ,Ⅱ(문진특론Ⅰ,Ⅱ) (Theory on InterrogationⅠ,Ⅱ)
疾病의 發生 發展 治療經過와 現在證狀 등 疾病과 관련된 여러 상황을 물음으로써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婦人科診斷學 (부인과진단학)(Diagnotics on Gynecology)
女性에게만 있는 生理 姙娠 出産 및 産後 등 여러 조건을 바탕으로 여성특유의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小兒科診斷學(소아과진단학) (Diagnotics on Pediatrics)
小兒는 氣血이 幼弱하므로 小兒의 특성에 맡는 診斷法을 통하여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五官科診斷學(오관과진단학) ((Diagnotics on Five sensory organs)
眼 耳 鼻 咽 喉 등에서 나타는 여러 증상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 이의 疾病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精神科診斷學 (정신과진단학)(Diagnotics on Psychiatric)
七情의 升降浮沈에 따른 疾病의 轉變過程과 癲 狂 癎 등의 精神疾患을 診察하는 方法論을 硏究한다.
변증과체질진단론Ⅰ,Ⅱ
(Syndrome Differentiation & Theory on constitutional Diagnosis Ⅰ,Ⅱ)
東西協診論(The Theory of Co-Diagnosis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東洋醫學의 傳統的인 診斷方法에 西洋醫學의 最新診斷 및 治療法을 접목시켜 새로운 醫學의 開發에 역점을 두어 연구한다.
臨床診斷特論(Advanced Clinical Diagnostics)
臨床的으로 필요한 脈診, 望診, 腹診, 經絡診斷 등의 이론을 습득하고, 아울러 현대에 와서 개발된 여러 韓方診斷器機들의 장점을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診斷論 Ⅰ(Clinical Diagnostics Ⅰ)
臨床的으로 필요한 脈診, 腹診, 經絡 診斷 등의 理論을 再照明함으로써 臨床에 도움이 되게 한다.
內科學 專攻(내과학 전공)
(Major of Internal Medicine)
◢ 碩․博士共通科目
肝系消化器病論(Hepato-Digestive Disorder)
肝臟系統의 各種 消火器疾患에 대한 理解를 돕기 위한 韓醫學的 系統疾患을 硏究한다.
肝病證治(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rapy of Hepatic Disease)
各種 肝臟疾患에 대한 구체적인 辨證論治 및 臨床事例에 대한 韓醫學的 硏究를 修行한다.
肝風內動論(Theory of GanPungNaeDong)
肝風內動을 일으키는 肝陽化風, 熱極生風, 血虛生風의 病因病機를 硏究하고 葉天士의 理論에 따라 肝風內動의 韓醫學的 硏究를 수행한다.
甲狀腺論(Thyroid Disorder)
甲狀腺의 構造와 機能 및 甲狀腺 機能障害시 身體의 變化를 理解하여 治療法에 대하여 硏究하도록 한다.
肌肉病論(Muscular Disease)
肌肉은 韓醫學的으로 비계기능에 속한다(脾主肌肉). 기육의 生理기능과 그 病因 病機에 대하여 硏究 및 기육병의 種類(예 식역증, 육위증)와 각 질환의 病因病機, 症狀, 診斷, 治法, 處方, 豫候 등에 대하여 硏究한다.
大腸病特論(Large Intestinal Disorder)
大腸形狀, 大腸部位, 大小腸의 關係, 大腸病證을 硏究하여 大腸病의 治法 및 處方을 深度있게 硏究한다.
頭痛論(The Principle Theory of Headache)
頭痛이란 머리에 나타나는 모든 통증이나 불쾌한 감각을 말한다. 한의학에서는 두통을 발생 원인, 邪正의 盛衰, 발생부위, 경락유주부위에 따라 분류한다. 반면 서양의학에서는 기능적 장애, 뇌압상승으로 인한 기질적 장애, 기타 약물이나 대사장애, 안면이나 경추 및 두개 구조와 관련된 두통으로 나눈다. 본 과정에서는 두통의 한․양방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과 원인에 따른 한방적 변증론치를 하여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命門論(Gate of Life Theory)
生命의 根本이자 生命維持의 關鍵이 되는 命門에 대한 各 醫家들의 學說 및 각 기능을 機能을 연구한다.
保養論(Tonifying Methodology)
精, 氣, 神의 保養과 老人保養 및 攝生의 方法, 補法의 運營에 대하여 韓醫學的 硏究를 修行한다.
脾系消化器病論(Lieno-Digestive Disorder)
소화기질환의 전반적인 生理특징 및 病因病機에 대하여 硏究, 理論的 체계를 확립 및 소화기계 개개의 질환에 대한 病因病機와 症狀, 診斷, 治療, 처방, 예후 등에 대하여 硏究한다.
泌尿生殖器病論(Urogenital Disorder)
배뇨장애 및 요로질환, 비뇨기의 기형, 성기능장애 및 성기질환 등 각종 비뇨생식기 질환을 硏究한다.
成人病學(Adult Disease)
現代에 들어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高血壓, 糖尿, 癌 등의 成人病을 韓醫學的으로 診斷하고 治療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循環器病論(Circulatory Disorder)
全身의 흐름에 대하여 공부한다. 흐름이라 함은 血液뿐만 아니라 氣도 포함되어 현대醫學의 림프액의 흐름도 포함된다. 모든 흐름에 관하여 개괄적인 공부를 한다.
濕病論(Dampness Disorder)
濕의 生理機能과 病因 病機에 대하여 硏究 및 濕病 개개의 病因病機와 症狀, 診斷, 治法, 處方, 豫候 등에 대하여 硏究한다.
腎系病論(Nephro-System Disorder)
신장질환의 병증 및 治療대책을 硏究한다.
腎絲毬體病論(Glomerulonephritis Disorder)
絲毬體 疾患은 東洋醫學의 風水, 浮腫, 尿濁, 虛勞 등의 범주에 속하는데 이러한 사구체 질환의 병태와 동양의학적인 병인, 병기를 연구한다.
心系病論(Cardio-System Disorder)
전신의 흐름 중에 혈액순환의 주기는 심장이기 때문에 심장의 구조, 작용, 生理, 病理 등에 관하여 공부한다.
養生論(Maintenance of Health)
몸을 건강하게 하고, 인체의 건강을 보존하기 위하여 질병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을 동양 의학적 養生論을 통하여 연구한다.
噎膈反胃特論(Dysphagia & Regurgitation)
噎膈反胃의 原因 機轉 辨證 治療에 대하여 硏究 및 噎膈反胃 개개의 病因病機와 症狀, 診斷, 治法, 處方, 豫候 등에 대하여 硏究한다.
胃病特論(Gastric Disorder)
위장의 전반적인 生理기능과 病因 病機, 기후, 정신, 음식, 수면, 운동, 흡연, 음주, 기호, 아치, 각기 등과의 관계에 대하여 硏究 및 위병 개개 질환의 病因 病機, 症狀, 診斷, 治法, 예후 등에 대하여 硏究한다.
痿證論(The Principle Theory of Weakness)
痿證은 근맥이 이완되어 수족이 痿軟無力한 것을 말하며, 하지의 수의운종 및 보행장애가 많이 나타나므로 痿躄이라고도 한다. 위증은 온열병중이나 열병초기에 邪熱이 음액을 灼傷하여 근맥이 유양을 받지 못하여 많이 발생하고, 또한 습열이 근맥기육에 침습하여 이완되거나, 신체가 허약한데 久病으로 肝腎虧虛, 정혈부족되어 기육근골을 유양할 수 없거나, 어혈이 脈絡을 阻碍하여 발생한다. 본 과정에서는 위증의 병인병리를 숙지하여 병변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변증요점과 치료 등을 숙지하여 치료에 이용하며, 조리 및 예방법을 숙지토록 한다.
積聚論(Hemato-Oncology)
肝臟病에서 血液腫瘍의 槪念아래 積聚의 辨證施治 및 鬱證, 積聚의 여러 類型을 硏究한다.
積聚病論(Accumulation Disorder)
積聚의 病因 病機에 대하여 硏究 및 積聚病 個個의 病因病機와 症狀, 診斷, 治法, 處方, 豫候 등에 하여 硏究한다.
燥病論(Dryness Disease)
燥는 肺金의 病으로 이의 機轉을 硏究하는 과목이다.
肺系病論(Pulmonary system Disorder)
外邪가 皮毛를 통하여 人體에 미치는 影響과 手太陰肺經의 疾患을 硏究하는 것으로 內傷, 外感을 綜合하여 肺系에 미치는 질환을 硏究한다.
風病論(Studies of Wind Disease)
風의 病理的 現象으로 나타나는 運動系疾患, 즉, 肝風內動證에 대한 韓醫學的 硏究를 修行한다.
皮毛病特論(Skin with Hair Disease)
陰證發斑과 陽證發斑, 外傷發斑, 內傷發斑 等 皮毛에 관한 疾病을 보다 深度있게 硏究한다.
咳嗽論(Couch)
咳嗽는 肺의 典型的인 病으로 이의 原因 機轉 治法 處方을 硏究한다.
血證論(The Principle Theory of Bleeding)
血證은 혈액이 일반적인 경로를 순행하지 않거나 혹은 口鼻諸竅로 上溢하거나 혹은 前後二陰으로 下泄하거나 혹은 肌膚로 滲出하여 형성되는 질환을 총칭하여 혈증이라 한다. 본 과정에서는 내과에서 자주 나타나는 鼻衄, 齒衄, 咳血, 吐血, 便血, 尿血, 紫斑 등의 혈증에 대해 약물치료 및 기타 한방요법 등을 활용하여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呼吸器病論(Respiratory Disorder)
外感性 呼吸器系疾患을 硏究하는 것으로, 風寒暑濕燥火가 呼吸器에 미치는 影響과 有痰性, 無痰性의 分類 및 天行性 疾患을 硏究한다.
胸痛論(The Principle Theory of Chest Pain)
胸痛은 흉부에 발생하는 동통의 자각을 말한다. 한의학에서는 심통, 흉비, 결흉, 흉협통, 위완통 등을 동통의 범주로 논하여 왔다. 본 과정에서는 심장질환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심통, 즉 역대로 ‘흉비’라 진단되어온 흉통을 위주로 침구, 약물치료 및 기타 한방요법 등을 활용하여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鍼灸學 專攻(침구학 전공)
(Major of Acupuncture & Moxibustion)
◢ 碩․博士共通科目
經穴診斷論(Diagnosis of Acupuncture Points)
각 疾病에 나타나는 體表上의 변화(경락상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통하여 진단의 방법을 확충시켜 질병치료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灸法臨床論(Clinical Theory of Moxibustion)
鍼灸療法중의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임상적 효능이 뛰어난 灸療法에 대한 학문적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을 심도있게 연구하는 분야이다.
灸法原理論(Theory of Moxibustion Principle)
鍼灸療法중의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임상적 효능이 뛰어난 灸療法에 대한 학문적 이론배경과 임상적응에 사용되는 기본원리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疼痛論(Pain Theory)
각종 疼痛疾患에 대한 개념과 질병을 이해하고 동통의 원리를 한의학적으로 규명하여 이를 바탕으로 鍼灸療法의 硏究開發을 目標로 深度있게 硏究 하는 分野이다.
得氣論(Theory of Qi Arrival)
鍼刺 後의 感應이 人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檢討하고 得氣現象을 科學的으로 客觀化시키는 方法을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臨床經外奇穴論(Clinical Non-Meridian Point)
臨床에서 특수한 治療效果가 인정되는 奇穴을 中心으로 硏究하고 그 穴位와 名稱을 확립하고자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臨床補瀉手技論(Clinical Theory of Tonification & Sedation Manipulation)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는 침구요법의 보사방법과 각종 수기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임상에 효능을 증진시키고자 연구하는 분야이다.
臨床補瀉原理論(Clinical Theory of Tonification & Sedation Principle)
침구요법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鍼灸補瀉의 의의와 각종 補瀉法의 理論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원리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麻痺論(Numbness Theory)
各種 麻痺疾患에 대한 槪念과 疾病을 이해하고 鍼灸治療療法의 硏究開發을 目標로 深度있게 硏究 하는 分野이다.
配穴論(Combination of Acupuncture Points)
鍼灸療法에서 治療法에 活用되는 각 經穴을 어떻게 配穴할 것인가를 문헌 및 臨床經驗을 통하여 效果的인 方法을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補瀉論(Theory of Tonification and Sedation)
鍼灸補瀉의 의의와 각종 補瀉法의 理論적 배경 및 臨床的 活用을 정립하고 科學的인 硏究 方法 및 理論을 深度있게 다루는 分野이다.
手技法論(Acupuncture Manipulation)
鍼灸療法에서의 각종 手技法의 의의와 具體的 方法에 따른 臨床效能을 科學的 方法으로 입증하고 臨床에 效果的으로 活用하도록 深度있게 연구 하는 分野이다.
스포츠 鍼灸醫學論(Acu-Moxibustion of Sports Medicine)
스포츠 영역에서 일어나는 각종 內外科 疾患 및 運動機 關節疾患을 심층 분석 연구함으로서 스포츠향상 및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新鍼療法論(Theory of New Acupuncture Therapy)
새로운 鍼療法의 原理硏究와 臨床응용 및 鍼灸方法의 개발을 목적으로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新穴論(New Points)
最近에 臨床的으로 糾明되고 있는 新穴들을 收集하고 分析하여 그 適應症 및 特性을 把握하고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藥鍼學論(Theory of Herbal Acupuncture)
經絡學說과 東西藥物의 효과를 배합시키어 각 질병과 有關한 穴位에 다양한 藥物精製를 注入함으로써 急性疾患 및 難治疾患에 대하여 새로운 治療法 開發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五行鍼法論(Theory of Five Elements Acupuncture)
自然現象과 生命現狀을 說明하는 다섯 가지 屬性인 五行學說을 바탕으로 五兪穴을 使用하여 人體의 生理, 病理를 調節하고 治療하는 方法을 硏究하고 臨床效果를 擴大시키는 分野이다.
運氣鍼法特論(Theory of Woon-Ki Acupuncture)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인체 經絡의 經氣가 변화하는 盛衰를 이용하여 각 臟腑와 經絡의 經氣를 조절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임상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電針療法學論(Electronic Acupuncture)
각종 新鍼療法 중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電針療法에 대하여 그 作用機轉을 구체적으로 硏究하여 臨床效果를 보다 客觀的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深度있게 硏究하여 치료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분야이다.
體質鍼法論(Theory of Che-Jil Acupuncture)
體質의 類型에 따른 鍼法을 연구함으로써 各科疾患의 치료효과를 높이고 四象醫學을 더욱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鍼灸內科學論(Acu-Moxibustion for Internal Disease)
內科疾患에 대한 鍼灸療法을 체계적으로 硏究하고 각종 新鍼療法 補瀉法 등에 따른 效果를 深度있게비교 硏究하는 分野이다.
鍼灸臨床集談(Acu-Moxibustion for Clinical Conference)
침구요법의 임상적용에 있어 특정질병에 대한 유효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경혈, 보사법, 침자법, 수기법, 신침요법 등의 각종 방법을 임상예를 통하여 그 활용방안을 연구하고 보다 객관적인 치료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鍼灸婦人科學論(Acu-Moxibustion for Gynecologic Disease)
婦人科 疾患에 대한 鍼灸療法의 原理와 臨床對策에 관하여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鍼灸小兒科學論(Acu-Moxibustion for Pediatric Disease)
小兒疾患의 特殊性에 따른 鍼灸治療法의 硏究開發을 目標로 하는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鍼灸五官科學論(Acu-Moxibustion for ENT and Dermal Disease)
眼耳鼻咽喉 및 皮膚疾患에 대한 鍼灸治療療法의 硏究開發을 目標로 深度있게 硏究 하는 分野이다.
鍼灸外形疾患論(Acu-Moxibustion for External Disease)
外形疾患의 韓方的 理論과 整形外科的 검사 및 처치법을 결합하여 古代의 鍼灸療法을 現代的 理論으로 결합하여 임상적 효과를 높인다.
鍼灸精神科學論(Acu-Moxibustion for Neuropsychiatric Disease)
精神科 疾患에 대한 鍼灸療法의 原理와 臨床대책에 관하여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鍼術麻醉學論(Acupuncture Anesthesia)
臟腑經絡學說의 理論을 바탕으로 한 經絡硏究와 더불어 특히 得氣 現象에 대한 硏究를 중심적으로 하여 鍼術麻醉의 臨床活用을 目標로 深度있게 硏究하는 分野이다.
婦人科學 專攻(부인과학 전공)
(Major of Gynecology)
◢ 碩․博士共通科目
更年期症候群論(Climacteric Syndrome)
更年期는 女性의 生殖能力이 감소되고 소실되는 전환시기 즉 생식기에서 비생식기를 이행되는 기간으로 이 기간에 心身兩面에서 특정한 症候群을 同伴하는 경우를 更年期症候群이라 한다. 이러한 更年期症候群과 관련한 韓醫學의 古典에서는 肝氣鬱逆症, 月經過期不止症, 年未 老經水斷症 등으로 分類하고 있다. 更年期症候群論에서는 갱년기에 나타나는 症候群 뿐만 아니라 閉經 後에 나타나는 症候群 등에 대하여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更年期症候群特論(Climacteric Syndrome)
更年期는 女性의 生殖能力이 감소되고 소실되는 전환시기 즉 생식기에서 비생식기를 이행되는 기간으로 이 기간에 心身兩面에서 특정한 症候群을 同伴하는 경우를 更年期症候群이라 한다. 이러한 갱년기증후군과 관련한 韓醫學의 古典에서는 肝氣鬱逆症, 月經過期不止症, 年未 老經水斷症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更年期症候群特論에서는 갱년기에 나타나는 症候群 뿐만 아니라 閉經 後에 나타나는 症候群 등에 대하여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經閉論(Amenorrhea)
經閉란 月經閉止의 뜻으로 無月經이라고도 하며, 어떠한 상황에서건 月經의 體外排出이 缺如된 현상을 말한다. 臨床的으로는 月經初潮의 年齡이 지났음에도 月經이 發來가 없는 原發性無月經과 정상적으로 있던 月經이 中途에 消失되는 續發性無月經으로 分類한다. 經閉論에서는 經閉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經閉特論(Amenorrhea)
經閉란 月經閉止의 뜻으로 無月經이라고도 하며, 어떠한 상황에서건 月經의 體外排出이 缺如된 현상을 말한다. 臨床的으로는 月經初潮의 年齡이 지났음에도 月經이 發來가 없는 原發性 無月經과 정상적으로 있던 月經이 中途에 消失되는 續發性無月經으로 分類한다. 經閉特論에서는 經閉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求嗣論 Ⅰ, Ⅱ(Infertility Ⅰ, Ⅱ)
求嗣는 古典에서 임신성립의 기전을 말하는 것으로 不姙의 病因病機 및 治療를 주요한 내용으로 하고 있다. 求嗣論 Ⅰ, Ⅱ에서는 不姙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帶下病論 Ⅰ, Ⅱ(Leukorrhea Ⅰ, Ⅱ)
帶下病은 性器病의 성기분비물이 膣口 외까지 누출되어 외음부 또는 그 근처를 오염시키는 病的 상태를 總稱하는데, 이는 機能性과 器質性으로 分類한다. 帶下病論 Ⅰ, Ⅱ에서는 帶下病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崩漏論(Abnormal Uterine Bleeding)
崩漏는 血崩․血漏의 뜻으로 女性性器의 非正常出血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崩中 혹은 血崩이라 함은 돌연히 暴注하는 下血을 의미하고, 血漏 혹은 漏下라 함은 持續的으로 小量씩 點滴하는 下血을 의미한다. 崩漏論에서는 崩漏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崩漏特論(Abnormal Uterine Bleeding)
崩漏는 血崩․血漏의 뜻으로 女性性器의 非正常出血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崩中 혹은 血崩이라 함은 돌연히 暴注하는 下血을 의미하고, 血漏 혹은 漏下라 함은 持續的으로 小量씩 點滴하는 下血을 의미한다. 崩漏特論에서는 崩漏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産後病論 Ⅰ, Ⅱ(Postpartal Disorder Ⅰ, Ⅱ)
産後病은 分娩 후 産母의 이상으로 야기되는 病症을 말하며 또한 姙娠이나 分娩에 직접적인 관련 없이 發病한 것이라도 産褥의 영향이면 포함된다. 産後病論 Ⅰ, Ⅱ에서는 病因病機 및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月經病論 Ⅰ, Ⅱ(Menstrual Disorder Ⅰ, Ⅱ)
月經病은 月經과 관련이 있는 제반의 病的 症狀을 칭하고, 이를 月經自體의 異常과 月經時에 수반되는 全身障碍 등으로 分類한다. 月經病論 Ⅰ, Ⅱ에서는 月經病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乳病論(Breast Disease)
乳房은 여성의 제2의 性徵이며 男性의 腎과 같이 生殖系統의 중요한 構成部分이다. 분만 후 乳汁을 分泌하여 嬰兒를 哺育하는 유방이 發育이 異常하거나 乳汁의 異常分泌가 있거나 乳房에 腫塊, 痛症 및 異常 分泌物 등이 있는 경우를 乳病이라 한다. 乳病論에서는 乳病의 病因 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乳病特論 Ⅰ, Ⅱ(Breast Disease Ⅰ, Ⅱ)
乳房은 여성의 제2의 性徵이며 男性의 腎과 같이 生殖系統의 중요한 構成部分이다. 분만 후 乳汁을 分泌하여 嬰兒를 哺育하는 유방이 發育이 異常하거나 乳汁의 異常分泌가 있거나 乳房에 腫塊, 痛症 및 異常 分泌物 등이 있는 경우를 乳病이라 한다. 乳病特論 Ⅰ, Ⅱ에서는 乳病의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陰戶病論(Vulvar and Vaginal Disease)
陰戶란 주로 外陰部와 膣腔을 포함한 外部性器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부위에 疾病이 생기는 것을 陰戶病이라고 한다. 陰戶病論에서는 陰戶病의 種類와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陰戶病特論(Vulvar and Vaginal Disease)
陰戶란 주로 外陰部와 膣腔을 포함한 外部性器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부위에 疾病이 생기는 것을 陰戶病이라고 한다. 陰戶病特論에서는 陰戶病의 種類와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異常分娩論(Abnormal Labor or Dystocia)
異常分娩이란 正常分娩이 아닌 모든 分娩을 총괄하며, 크게 分娩時期의 異常과 分娩要素의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分娩時期의 異常이라 함은 姙娠期間이 正常에 未達하거나 超過하여 分娩하는 것을 말하며, 分娩要素의 異常은 分娩의 3요소로 일컬어지는 娩出力 産道 및 胎兒와 그 附屬物에 이상이 있어서 正常分娩이 불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異常分娩論에서는 異常分娩의 種類 및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異常分娩特論(Abnormal Labor or Dystocia)
異常分娩이란 正常分娩이 아닌 모든 分娩을 총괄하며, 크게 分娩時期의 異常과 分娩要素의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分娩時期의 異常이라 함은 姙娠期間이 正常에 未達하거나 超過하여 分娩하는 것을 말하며, 分娩要素의 異常은 分娩의 3요소로 일컬어지는 娩出力 産道 및 胎兒와 그 附屬物에 이상이 있어서 正常分娩이 불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異常分娩特論에서는 異常分娩의 種類,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姙娠病論 Ⅰ, Ⅱ(Pregnant Disorder Ⅰ, Ⅱ)
姙娠期間中에 일어나는 모든 病因을 총칭하고 특히 임신과 관련성이 있는 여성특유의 病症을 말하며 因胎而致母病, 因母而致胎病, 母自病, 胎自病으로 分類한다. 姙娠病論 Ⅰ, Ⅱ에서는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癥瘕論(Zhengjia)
癥瘕는 女性의 胞中에 結塊하고 脹滿이나 痛症 혹은 出血이 同伴되는 것으로 여성의 下腹腔內에 생기는 女性 固有의 腫塊를 광범위하게 指稱하는 病症이다. 癥瘕論에서는 癥瘕의 種類와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癥瘕特論 Ⅰ,Ⅱ(Zhengjia Ⅰ, Ⅱ)
癥瘕는 女性의 胞中에 結塊하고 脹滿이나 痛症 혹은 出血이 同伴되는 것으로 여성의 下腹腔內에 생기는 女性 固有의 腫塊를 광범위하게 指稱하는 病症이다. 癥瘕特論Ⅰ,Ⅱ에서는 癥瘕의 種類와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胎氣不安論(Threatened Abortion)
胎氣不安은 姙娠不安의 뜻으로 姙娠의 正常經過에 장애가 발생한 病理的 狀況을 말한다. 이러한 胎氣不安은 姙娠中의 腹痛과 下血의 症狀을 나타내어 胎墮를 일으키는 前期症狀으로 볼 수 있다. 胎氣不安特論에서는 胎氣不安의 諸家의 理論과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硏究한다.
胎氣不安特論(Threatened Abortion)
胎氣不安은 姙娠不安의 뜻으로 姙娠의 正常經過에 장애가 발생한 病理的 狀況을 말한다. 이러한 胎氣不安은 姙娠中의 腹痛과 下血의 症狀을 나타내어 胎墮를 일으키는 前期症狀으로 볼 수 있다. 胎氣不安特論에서는 胎氣不安의 諸家의 理論과 病因病機 및 診斷方法과 治療에 대하여 深度있게 硏究한다.
小兒科學 專攻(소아과학 전공)
(Major of Pediatrics)
◢ 碩․博士共通科目
痼疾病學 Ⅰ, Ⅱ(Incurable Disease Ⅰ, Ⅱ)
小兒의 痼疾性疾患을 환경적 요인, 체질적인 素因 등으로 구분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한다.
腦性麻痺 Ⅰ, Ⅱ(Cerebral Paralysis Ⅰ, Ⅱ)
小兒 뇌성마비 患兒의 근본적인 대책 및 치료방법을 再活醫學的인 측면에서 연구 검토하여 정상에 이르도록 최선의 방법을 강구한다.
小兒痙攣疾患 Ⅰ, Ⅱ(Infant Convulsive Disease Ⅰ, Ⅱ)
小兒에게 많이 발생하는 痙攣疾患에 대하여 原因 證狀 治療 및 處方藥物을 심도있게 연구한다.
小兒알레르기論 Ⅰ, Ⅱ(Theory on Infant Allergy Ⅰ, Ⅱ)
小兒의 알레르기 疾患을 환경적 요인, 체질적인 素因 등 근본적인 원인규명 및 관련 疾患의 治療對策과 體質改善을 위한 연구를 한다.
小兒夜尿證 Ⅰ, Ⅱ(Pediatric Nocturnal Disease Ⅰ, Ⅱ)
小兒 夜尿의 原因, 체질적인 素因, 환경적 요인 등 모든 氣質的 機能的인 원인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치료대책을 도모한다.
小兒營養學 Ⅰ, Ⅱ(Infant Dietics Ⅰ, Ⅱ)
小兒의 營養障碍에 대한 제반 攝生 및 食餌療法 등을 심도있게 연구하여 疾病誘發을 미리 豫防하고 건전한 신체를 갖도록 연구한다.
小兒原典硏究 Ⅰ, Ⅱ(Infant Classical Study Ⅰ, Ⅱ)
小兒科學에 대한 歷代 醫家의 思想을 연구한다.
小兒諸疾患 Ⅰ, Ⅱ(Infant General Disease Ⅰ, Ⅱ)
小兒에게 자주 발생하는 여러 질환에 대하여 病因 病理 診斷 治法 藥物 豫防法 등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연구한다.
小兒診斷學 Ⅰ, Ⅱ(Infant Diagnostics Ⅰ, Ⅱ)
成人과 다른 身體的 精神的 특성을 살려 診斷方法을 깊이 있게 연구 검토한다.
小兒呼吸器疾患 Ⅰ. Ⅱ(Pediatric Respiration Disease Ⅰ, Ⅱ)
小兒 呼吸器疾患과 대기오염에 따른 呼吸器疾患의 증가와 함께 咳嗽喘息이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對策 原因 病理 및 治療法을 연구한다.
新生兒疾患 Ⅰ, Ⅱ(New Born Disease Ⅰ, Ⅱ)
新生兒疾患에 관한 복잡 다양한 疾病의 原因 病理 治療 및 豫防法을 연구하여 신생아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치료에 기여한다.
遺傳學 Ⅰ, Ⅱ(Genetics Ⅰ, Ⅱ)
小兒의 遺傳性 疾患을 硏究하고, 관련 疾患의 治療對策 및 體質改善을 위한 연구를 한다.
胎生學 Ⅰ, Ⅱ(Embryology Ⅰ, Ⅱ)
人體의 발생과정과 성장에 따른 구조적 특성과 기형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外官科學 專攻(외관과학 전공)
(Major of Dermato-Opthalmo-Otorhinolaryngology)
◢ 碩․博士共通科目
口舌病論 Ⅰ(Disease of Oral cavity and Tongue Ⅰ)
구강 및 혀에 발생하는 모든 질환에 대해 연구 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口舌病論 Ⅱ(Disease of Oral cavity and Tongue Ⅱ)
구설생창을 중심으로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연구검토 한다.
內障病論 Ⅰ(Nae-Jang Disease Ⅰ)
안과 질환 중 내장병에 속한 여러 질환의 병명과 원인, 증상 및 치료법을 개괄적으로 정리 검토한다.
內障病論 Ⅱ(Nae-Jang Disease Ⅱ)
내장질환의 병기를 토대로 백내장, 녹내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임상활용도를 높인다.
鼻病論 Ⅰ(Disease of Nose Ⅰ)
비의 생리병리를 이해하고 그것을 토대로 각 질환의 치료방법을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鼻病論 Ⅱ(Disease of Nose Ⅱ)
비병의 치료방법 중 외치법과 안마도인법을 연구하여 임상에 적용하게 한다.
鼻알레르기 Ⅰ(Allergy of Nose Ⅰ)
알레르기의 기전을 연구하고 그것을 토대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 증상을 검토하여 그 치료의 기초가 되게 한다.
鼻알레르기 Ⅱ(Allergy of Nose Ⅱ)
순수 한의학적 치료법을 종합 검토하여 양방치료의 한계와 부작용을 정복하는데 일조하게 한다.
鼻淵 Ⅰ(Paranasal Sinusitis Ⅰ)
만성화되기 쉬운 질환인 만큼 충분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그 원인, 병기 및 진단을 집중 검토한다.
鼻淵 Ⅱ(Paranasal Sinusitis Ⅱ)
문헌적 고찰을 통해 정리된 비연의 원인, 병기 및 진단을 기초로 한방적 치료법과 처방을 연구한다.
濕疹性 皮膚病論 Ⅱ(Eczema Dermatosis Ⅱ)
아토피성 피부염을 중심으로 태열과 관련되는 모든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법을 연구한다.
濕疹性皮膚病論 Ⅰ(Eczema Dermatosis 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습진성 피부질환에 대해 알레르기와 결부시켜 원인, 증상, 치료를 검토 한다.
眼病論 Ⅰ(Opthalmic Disease Ⅰ)
인체의 오관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안에 대해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여러 질환에 대해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眼病論 Ⅱ(Opthalmic Disease Ⅱ)
안병 중 만성화되기 쉬운 질환을 중심으로 연구검토 한다.
耳鳴 Ⅰ(Tinnitus Ⅰ)
이명질환의 원인과 병기를 연구한다.
耳鳴 Ⅱ(Tinnitus Ⅱ)
원인과 병기를 토대로 진단과 치료에 대해 연구하되 다양한 치료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耳病論 Ⅰ(Otic Disease Ⅰ)
이질환에 대한 원인, 증상 및 임상치료법 등을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耳病論 Ⅱ(Otic Disease Ⅱ)
내이질환을 중심으로 한방적 치료법을 집중검토하게 한다.
咽喉病論 Ⅰ(Disease of Larynx and Pharynx Ⅰ)
인두 및 후두질환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치료방법의 향상과 임상적 효율을 도모한다.
咽喉病論 Ⅱ(Disease of Larynx and Pharynx Ⅱ)
인후질환 중 성대질환을 중심으로 치료법을 연구한다.
腫瘍論 Ⅰ(Tumor Ⅰ)
종양을 한의학적으로 이해하고 아울러 면역과 연관시켜 종양의 치료법을 연구한다.
腫瘍論 Ⅱ(Tumor Ⅱ)
종양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을 기초로 현대의학과 접목시켜 그 치료율을 향상시킴에 목적을 둔다.
瘡廱病論 Ⅰ(Chang-Ong Disease Ⅰ)
옹저 및 창양질환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연구한다.
瘡廱病論 Ⅱ(Chang-Ong Disease Ⅱ)
옹저 및 창양질환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치료법을 연구하여 임상에 활용성을 높인다.
皮膚病論 Ⅰ(Skin Disease Ⅰ)
피부의 생리병리를 기초로, 모든 피부질환의 병기 및 치법을 연구한다.
皮膚病論 Ⅱ(Skin Disease Ⅱ)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피부질환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그 원인, 증상 및 치료를 완전히 습득하게 한다.
肛門病論 Ⅰ(Anal Disease Ⅰ)
증가추세에 있는 항문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해 연구 검토하여 임상적 효율과 그 예방에 목적을 둔다.
肛門病論 Ⅱ(Anal Disease Ⅱ)
항문병의 치료법 중 외치법에 중점을 두어 연구개발 한다.
再活醫學 專攻(재활의학 전공)
(Major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 碩․博士共通科目
關節診斷特論(Diagnosis of Joint)
각 관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질병의 原因, 각종 治療를 위해 병변을 診斷하는 방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光治療特論(Ray Therapy)
광선(일광, 탄소, 레이저, 자외선, 적외선)을 이용하여 질병에 따른 治療방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導引氣功療法特論 Ⅰ(Qigong Therapy Ⅰ)
도인은 기공과 같은 개념으로 도인은 호흡과 운동을 표현하는 말이고 기공은 기를 단련하여 생명력을 높이는 말로 이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導引氣功療法特論 Ⅱ(Qigong Therapy Ⅱ)
도인은 기공과 같은 개념으로 도인은 호흡과 운동을 표현하는 말이고 기공은 기를 단련하여 생명력을 높이는 말로 이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臨床再活醫學特論 Ⅰ(Clinical Rehabilitation Ⅰ)
재활의학이란 인체에 질병과 외상이 발생하였을 때 환자로 하여금 치료기간은 물론 치료가 끝난 후에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회복시켜 주는 치료의학으로 질병과 치료기구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臨床再活醫學特論 Ⅱ(Clinical Rehabilitation Ⅱ)
재활의학이란 인체에 질병과 외상이 발생하였을 때 환자로 하여금 치료기간은 물론 치료가 끝난 후에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회복시켜 주는 치료의학으로 질병과 치료기구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附缸療法特論 Ⅰ(Negative Pressure Therapy Ⅰ)
拔罐法, 吸角療法이라고도 하며, 고대에는 角法이라 하였고 현재는 眞空淨血療法이라고도 하는 附缸療法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附缸療法特論 Ⅱ(Negative Pressure Therapy Ⅱ)
拔罐法, 吸角요법이라고도 하며, 고대에는 角法이라 하였고 현재는 眞空淨血療法이라고도 하는 附缸療法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傷骨特論 Ⅰ(Bone Disease Ⅰ)
상골이란 골손상을 의미하며, 상골의 범위에 속하는 골관절의 감염, 골종양, 선천성 기형 등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傷骨特論 Ⅱ(Bone Disease Ⅱ)
상골이란 골손상을 의미하며, 상골의 범위에 속하는 골관절의 감염, 골종양, 선천성 기형 등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傷筋特論 Ⅰ(Muscle Disease Ⅰ)
外力이나 勞損에 의해 多發하는 筋肉疾患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傷筋特論 Ⅱ(Muscle Disease Ⅱ)
外力이나 勞損에 의해 多發하는 筋肉疾患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手技療法特論(Manipulation)
척추교정, 자율신경계조절, 경락의 흐름을 조절하는 방법을 손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水治療法特論 Ⅰ(Hydrotherapy Ⅰ)
물의 액체성, 기체성, 고체성의 모든 형태를 이용하여 인체에 내적 외적으로 자극을 줌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수치료법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水治療法特論 Ⅱ(Hydrotherapy Ⅱ)
물의 액체성, 기체성, 고체성의 모든 형태를 이용하여 인체에 내적 외적으로 자극을 줌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수치료법에 대해 深度있게 考察하여 이들 理論이 臨床에 適用할 수 있도록 硏究한다.
五痹特論(Treatment of Joint)
다섯 가지 痹證의 原因, 症狀, 治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痿病特論 Ⅰ(Atrophy Disease Ⅰ)
人體가 損傷을 입거나 혹은 邪毒이 侵襲하거나 正氣가 毁損된 후에 나타나는 筋力減少, 筋肉萎縮, 手足麻木, 隨意的 運動困難등의 症狀에 대한 病因病理, 症候分類와 治療原則 등에 관하여 考察한다.
痿病特論 Ⅱ(Atrophy Disease Ⅱ)
人體가 損傷을 입거나 혹은 邪毒이 侵襲하거나 正氣가 毁損된 후에 나타나는 筋力減少, 筋肉 萎縮, 足麻木, 隨意的 運動困難 등의 症狀에 대한 病因病理, 症候分類와 治療原則등에 관하여 深化있게 考察한다.
陰陽水治特論(Yin-Yang Hydrotherapy)
陰陽의 原理에 따른 治療방법을 물을 이용하여 硏究하고 경기의 흐름의 변화를 조절하는 방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理學療法特論 Ⅰ(Stimulus Element Therapy Ⅰ)
자연적인 물질이나 자연환경 등 자연적인 영향을 이용한 자극인자와 기기를 이용한 인위적인 자극인자를 이용한 한방 이학요법에 대해 考察 硏究한다.
理學療法特論 Ⅱ(Stimulus Element Therapy Ⅱ)
자연적인 물질이나 자연환경 등 자연적인 영향을 이용한 자극인자와 기기를 이용한 인위적인 자극인자를 이용한 한방 이학요법에 대해 深化있게 考察 硏究한다.
電氣治療特論(Electric Treatment)
저주파, 고주파를 이용하여 질병을 治療하는 방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節食療法特論 Ⅰ(Fast Therapy Ⅰ)
각자가 가지고 있는 生命力으로 身體內 抵抗力을 增强시켜 自然治愈 能力을 增加시키는 節食療法에 대해 深化있게 考察 硏究한다.
節食療法特論 Ⅱ(Fast Therapy Ⅱ)
각자가 가지고 있는 生命力으로 身體內 抵抗力을 增强시켜 自然治愈 能力을 增加시키는 節食療法에 대해 深化있게 考察 硏究한다.
淨血特論(Blood Purification)
非生理的인 體液인 痰飮의 生成, 原因을 파악하고, 그 原因을 治療할 수 있는 방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脊椎診斷特論(Diagnosis of Spine)
척추의 변화가 나타나는 原因을 다방면에서 診斷하여 臨床에 활용하는 방법을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脊椎治療特論 Ⅰ(Treatment of Spine Ⅰ)
척추의 질병에 따른 治療法을 수기법, 전기, 광선 등을 이용하여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脊椎治療特論 Ⅱ(Treatment of Spine Ⅱ)
척추의 질병에 따른 治療법을 수기법, 전기, 광선 등을 이용하여 深化있게 學習하고 硏究한다.
神經精神科學 專攻(신경정신과학 전공)
(Major of Neuropsychiatry)
◢ 碩․博士共通科目
呆病論 Ⅰ, Ⅱ(The Theory of Dementia Ⅰ, Ⅱ)
노인성치매, 혈관성치매 등 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치매의 원인, 증상, 치법에 관하여 알아보고 치매환자의 관리 대책에 대하여 연구한다.
夢病論 Ⅰ, Ⅱ(The Theory of Sleeping Disorder Ⅰ, Ⅱ)
동서의학적인 수면의 생리, 병리적 개념을 바탕으로 不眠, 多眠, 多夢 등 최근 증가하고 있는 수면장애의 원인, 증상, 치법에 관하여 연구해 나간다.
神病論 Ⅰ, Ⅱ(The Theory of Shin Disorder Ⅰ, Ⅱ)
神의 동양 철학적 개념과 한의학에 있어서의 개념에 대한 변천 과정을 비교 연구하고 임상에서 傷神의 생리, 병리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 고찰한다.
失志病論 Ⅰ, Ⅱ(The Theory of Despairing Disorder Ⅰ, Ⅱ)
失志病의 개념과 병리 특성을 살펴보고 腦內 생화학적 병리론과 비교 고찰하며 효과적인 치료법에 관하여 탐구한다.
心身症論 Ⅰ, Ⅱ(The Theory of Psychosomatic Disorder Ⅰ, Ⅱ)
다양한 심신증의 형태에 관하여 고찰하고 치료법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한다.
心虛病論 Ⅰ(The Theory of Deficient Heart Disorder Ⅰ)
心의 생리적 특성과 心虛病의 병리 특징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癲癎病論 Ⅰ, Ⅱ(The Theory of Epilepsy Ⅰ, Ⅱ)
癲癎의 腦內 부위별 발생에 따른 분류와 한의학적인 병리특성에 관하여 비교 고찰하고 한의학적인 치료법이 腦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癲狂病論 Ⅰ, Ⅱ(The Theory of Insane Disorder Ⅰ, Ⅱ)
癲狂에 대한 시대적 고찰과 아울러 병리특징을 살펴보고 전통적 치료법의 기전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더욱 특이성이 높은 치료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精氣神論 Ⅰ, Ⅱ(The Theory of Jeong, Qi and Shin Ⅰ, Ⅱ)
정신과 영역에 있어 精, 氣, 神의 의미와 생리, 병리 및 진단, 치료에 관하여 연구한다.
精神科 診斷論 Ⅰ, Ⅱ(Diagnostics of Oriental Neuropsychiatry Ⅰ, Ⅱ)
精神科 診斷의 특수성과 방법론, 병력청취, 면접, 신체적, 심리적 검사법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개발함을 목표로 한다.
精神論 Ⅰ, Ⅱ(The Theory of Spirit Ⅰ, Ⅱ)
精神에 관한 韓醫學的인 의미를 살펴보고 오장에 따른 精神 기능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에 관하여 탐구한다.
精神療法論 Ⅰ, Ⅱ(The Theory of Psychotherapy Ⅰ, Ⅱ)
移精變氣療法, 五志相勝療法, 驚者平之療法, 誑治療法, 導引療法 등 한의학적인 정신요법의 개념과 적응증 및 상세한 시술법에 관하여 알아보고 좀더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精神療法論 Ⅰ, Ⅱ(The Theory of Psychotherapy Ⅰ, Ⅱ)
移精變氣療法, 五志相勝療法, 驚者平之療法, 誑治療法, 導引療法 등 한의학적인 정신요법의 개념과 적응증 및 상세한 시술법에 관하여 알아보고 좀더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酒癖症論 Ⅰ, Ⅱ(The Theory of Alcoholism Ⅰ, Ⅱ)
주벽증의 원인, 증상, 관리, 치법 및 재활대책에 관하여 연구하고 현실화된 치료법에 관하여 연구, 고찰함을 목표로 한다.
七情病論 Ⅰ, Ⅱ(The Theory of disorder for Seven Emotions Ⅰ, Ⅱ)
喜, 怒, 憂, 思, 悲, 恐, 驚의 七情에 대한 개념과 생리, 병리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임상에서의 진단, 치료법에 관하여 토론한다.
四象醫學 專攻(사상의학 전공)
(Major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碩․博士共通科目
廣濟論 Ⅰ, Ⅱ(Extensive Salvation Ⅰ, Ⅱ)
人間의 健康과 人格의 修養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인간의 제반 생활규범을 硏究한다.
四端論 Ⅰ, Ⅱ(4 Clues Ⅰ, Ⅱ)
喜怒哀樂이 四象人의 肺脾肝腎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에 대하여 硏究한다.
四象方劑論 Ⅰ, Ⅱ(Sa-Sang Prescription Ⅰ, Ⅱ)
四象體質에 따른 處方을 分析, 硏究하여 臨床에 應用함을 目的으로 한다.
四象食品論 Ⅰ, Ⅱ(Sa-Sang Foods Ⅰ, Ⅱ)
四象人에 多用되는 體質飮食의 區別과 食生活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교육하고 이를 습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四象藥物論 Ⅰ, Ⅱ(Sa-Sang Medicine Ⅰ, Ⅱ)
四象人에 活用되는 藥物을 硏究하여 應用함을 目的으로 한다.
四象醫學論 Ⅰ, Ⅱ(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Ⅰ, Ⅱ)
四象醫學의 기본原理와 각종 체질유형, 성정, 生理, 病理的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臨床에 應用함을 目的으로 한다.
四元構造論 Ⅰ, Ⅱ(4 Basic Constitution Ⅰ, Ⅱ)
四象醫學에 응용된 사원구조론을 연구한다.
性命論 Ⅰ, Ⅱ(Nature and Destiny Ⅰ, Ⅱ)
東醫壽世保元에 제시된 철학이론으로 宇宙와 人間의 관계, 인간의 도리와 삶의 목적에 대해 硏究한다.
性情論 Ⅰ, Ⅱ(Nature and Feelings Ⅰ, Ⅱ)
東醫壽世保元의 性情論과 儒敎의 四端七情論을 比較 硏究한다.
少陽體質論 Ⅰ, Ⅱ(So-Yang Constitution(Young Yang) Ⅰ, Ⅱ)
소양인의 生理的, 病理的, 약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소양 체질에 따른 잡병의 治療원칙과 처방을 硏究한다.
少陰體質論 Ⅰ, Ⅱ(So-Um Constitution(Young Um) Ⅰ, Ⅱ)
소음인의 生理的, 病理的, 약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소음 체질에 따른 잡병의 治療원칙과 처방을 硏究한다.
醫源論 Ⅰ, Ⅱ(Medical Origin Ⅰ, Ⅱ)
사상의학의 의사학적 의의를 比較 硏究한다.
太陽體質論 Ⅰ, Ⅱ(Tae-Yang Constitution(Old Yang) Ⅰ, Ⅱ)
태양인의 生理的, 病理的, 약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태양 체질에 따른 잡병의 治療원칙과 처방을 硏究한다.
太陰體質論 Ⅰ, Ⅱ(Tae-Um Constitution(Old Um) Ⅰ, Ⅱ)
태음인의 生理的, 病理的, 약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태음 체질에 따른 잡병의 治療원칙과 처방을 硏究한다.
'[정신분석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예방과학교실 예방의학 (0) | 2016.04.15 |
---|---|
병리학 교실 (0) | 2016.04.15 |
한의예 학과 교과과정 (0) | 2016.04.15 |
한의예과 예과 교육과정표 (0) | 2016.04.15 |
한의예과 예과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