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おさん)

CALS [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 cycle Support ]

한신학 han theology 2014. 9. 20. 21:59

 

① 일종의 정보화 운동. 각종 장비와 제품의 설계, 조립, 생산공정을 단축하고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 공학적 활동. 흔히 '정보유통의 고속도로', '산업의 인터넷'이라고 비유된다. 원래는 1980년대 초 미국 국방성이 군사조달 시스템에서 '서류에 의한 불필요한 업무의 증가와 열악한 통신체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LS 개념을 개발·적용하기 시작했으나, 1990년대 군수물자를 납품하는 민간업체에 연결 사용되면서 CALS가 지닌 엄청난 원가절감의 위력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현재는 '제품의 설계, 제작 과정과 보급, 조달 등의 운용과정의 컴퓨터 정보통합 자동화(computer aided acqusition and logistic support)'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고, 갈수록 개념이 확대되어 최근에는 '광속교역(commerce at light speed)'으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CALS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자동화되고 통합된 상호 교환환경으로 변환시키는 경영전략이다. 다시 말해 시스템의 개발 및 운용과정에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는 자동화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업무 수행,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공유, 원가의 혁신적 절감, 종합품질경영(TQM) 능력의 향상 등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미국에서는 1997년부터 연방정부에 납품하는 모든 물품에 대해서 CALS(전자교역)을 의무화하는 한편, 미국을 비롯 유럽, 일본, 호주, 대만, 싱가포르 등 세계 30여 국가에서 CALS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영학자들은 CALS의 위력에 대해 "산업혁명 이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보의 표준화와 상호교류가 기업의 막대한 비용을 삭감시키는 것은 물론 아예 산업구조와 회사조직을 바꿔놓을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다. ② commerce at the light speed 빛처럼 빠른 전자상거래.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정보와 데이터들을 인터넷을 통해 교환함으로써 전자상거래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런 말이 생겼다.